선인장 국제시장 조사 및 수출 확대 방안

영문 제목
A research on the international cactus market and a plan to expand export
저자
박현태박문호권오복박영구
출판년도
2002-12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목적1 2. 선행연구 검토3 3. 연구범위와방법4제2장 선인장산업 현황과 교역동향 1. 선인장산업의여건변화6 2. 세계 화훼류의 교역동향과 전망8 3. 국내선인장산업 실태12제3장 선인장의 수출기반 분석 1. 선인장수출체제22 2. 선인장 수출체제상의 문제28 3. 선인장의수출경쟁력 검토34제4장 주요 수출시장의 특성과 전망 1. 네덜란드시장39 2. 미주 시장51 3. 중국시장68제5장 선인장 수출확대 전략 1. 수출확대를 위한기본방향83 2. 선인장 수출확대를 위한 추진전략88 3.선인장산업 주체별 역할99 4. 정책건의101제6장 요약 및 결론109부록114참고문헌134요 약 선인장이 국내 화훼부분에서 차지하는 생산규모는 크지 않으나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화훼류 가운데대표적인 수출품목이었다. IMF 외환위기 이후 수출이 정체상태에 있기는 하나 여전히 중요한 수출품목이다. 비모란, 산취, 소정 등 우리의접목선인장은 세계 물동량의 70%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수출시장에서의 인지도는 아직 높은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인장 수출이 정체된요인을 보면, 세계 선인장 시장은 확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생산비 구조, 수출시장에 대한 대응부족, 후발국의 부상 등 몇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수출경쟁력이 약화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우리 접목선인장 산업이 현재 수출부문에서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과거와 같이수출화훼의 중요한 품목으로 정착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리의 선인장 수출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격경쟁열위의 생산구조를 가지고 있다. 접목선인장은 생산의 특성상 노동집약적이고, 주로 도시근교 임차지 생산으로 중국, 터키 등 후발국에 비해가격경쟁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다. 둘째, 10월 이후에는 수입업자가 수입을 기피함에 따라 국내 수출물량이 적체되어 농가의 경영불안정을 초래하고있다. 셋째, 선인장 재배시설이 낙후되어 있고, 신품종육성을 위한 첨단기술 수준이 낮은 등 고품위 수출상품 생산을 위한 기반이 취약하다. 넷째,선인장의 수출시장 구조가 소수 바이어 주도로 형성되어 있어 영세한 국내 수출업체의 수출교섭력이 취약하다. 더욱이 협상력 강화를 위한 국내수출업체간의 공동대응 노력도 부족하다. 다섯째, 최근 운송비 절감을 위해 선박운송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장기간 운송에 따른 품질저하 문제가대두되고 있다. 여섯째, 현재의 수출형태는 반제품 위주의 수출로 수출에 따른 부가가치가 낮고, 연중 수출을 어렵게 한다. 마지막으로 그동안의수출성과에 안주하여 해외시장 정보나 시장개척을 위한 노력을 소홀히 하였다. 한편, 우리의 주요 수출시장인 네덜란드나 미주의 시장전망도 그리 밝아 보이지는 않는다. 네덜란드 시장의경우 접목선인장이 대중적이거나 그리 인기 있는 품목이 아닌 상태에서 네덜란드뿐만 아니라 유럽의 경기침체로 접목선인장 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소비자 입장에서 보면 선인장은 크기에 비해 가격이 비싼 편으로 선인장보다 시크라멘, 베고니아 등 소형 분화쪽의선호가 높은 추세에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네덜란드 시장에서 우리상품의 경쟁력이 계속 낙관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Edelcactus사나Ubink사 등 대형수입업체가 중국산의 품질이 빠르게 향상될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가지 긍정적인 요소는 완제품에대한 수입업체의 의향이 긍정적이어서 완제품 수출을 통해 수출물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시장은 접목선인장의 시장질서가 구축되어 있는 상태로 접목선인장의 대미수출이 단시일 내에 획기적으로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기존의 수입선 관리를 철저히 하고 새로운 품종 개발과 홍보활동이 뒷받침된다면 시장이 늘어날 여지는 있다.또한 접목선인장을 취급하는 월마트 등 대형 유통업체가 증가하는 추세인 만큼 접목선인장 소비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아직까지는 한국산접목선인장이 품질에서 경쟁력이 있어 당분간은 한국산을 선호하고 있으나 중장기적으로 중국의 기술수준이 한국과 비슷해지고 저가공세를 펼 경우미국시장에서의 경쟁도 우려된다. 캐나다 시장은 미국에 비해 협소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면서 인기 면에서도 그렇게 높지 않은 것으로보인다. 따라서 시장이 단시일 내에 크게 확장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다만 수입업체의 요구를 충족시켜 나갈 경우 캐나다 내수뿐만 대미국 수출용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캐나다시장은 현상유지 또는 완만한 신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이지만 미국에서처럼 중국이 중요한 변수가 될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시장의 전망은 전반적으로 어두운 편이다. 중국 자체의 선인장 생산은 크게 증가한 반면 소비는위축되어 공급과잉 상태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한국 진출업체의 기술 파급효과로 한국산과 거의 동일한 수준의 상품이 생산되고 있어소비자의 판단기준으로는 상품의 차별화가 어렵다. 특히 유통구조가 낙후되어 소매단계에서는 한국산과 중국산간에 가격차별화를 기하기 어렵다. 이러한시장구조 하에서 중국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고소득층을 겨냥한 고품질, 고가격 상품전략과 중국상품과의 시장차별화를 위한 유통망이요구된다. 선인장산업을 둘러싼 대내외적인 여건을 볼 때, 향후 발전전망이 그리 낙관적인 것만은 아니다.접목선인장의 수출수요는 전 세계적으로 약 1,000만 본 정도로 추정되는데, 접목선인장의 상품적 특성 때문에 수요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기대하기는 어렵다. 제한된 시장 하에서 우리나라의 수출비중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접목선인장 산업은 성숙기에 접어들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1980년대 중반 이후 우리가 과거 일본의 지위를 누리고 있으나 이제는 방어적인 입장에 서있다. 성숙기를 계속 연장하기 위한 대응전략이 절실히요구되는 시점이다. 이러한 여건에서 우리의 선인장 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가격경쟁보다는 품질경쟁으로 승부할수밖에 없다. 세계 화훼류의 소비시장 구조가 종전의 대량소비 시장에서 고품질 시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소비시장 조류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전략이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접목선인장에서 벗어나 보다 포괄적이고 넓은 시야에서 발전방향을 강구해야 한다. 화훼소비의 세계적인 패턴이인공적이고 장식적인 꽃보다는 자연적이고 친환경적인 꽃으로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통신기술과 운송수단의 발달로 소비자에 대한 접근성이용이해짐에 따라 소비자 지향적 수출전략을 추구해 나가야 한다. 우리의 선인장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기본방향 하에서 선인장 수출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할 당면과제가 있다. 첫째, 현재의 수출상품보다 색상의 선명도가 우수하면서 균일한 상품, 다양한 형태의 품종개발로 소비자기호에 부응하는 최고의 수출상품(premium grafted cactus)을 생산해야 한다. 둘째, 생산비 절감을 위해 접목활착율을 제고시킬 수있는 기술개발과 선박운송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개발 투자가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수출상품의 부가가치를 제고시키고, 농가의생산자원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반제품 위주 수출형태에서 완제품 위주 수출체제로 전환해야 한다. 넷째, 기존 바이어와 수출농가·업체간에상호 이해를 넓히고 유대를 강화할 수 있도록 공동 마케팅 활동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수출업체간의 내실화를 위해 수출협의회의 운영을개선하고, 국제시장에 공동대응 할 수 있도록 업체간에 연대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 여섯째, 농가의 수출경쟁력 강화와 잠재시장 개척을 위해수출농가를 중심으로 한 수출조직체를 육성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선인장산업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 내수기반을 강화해야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제들은 선인장산업을 구성하고 있는 어느 한 주체의 힘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렵다.선인장농가, 조합, 수출업체, 국공립연구소, 농수산물유통공사 등 각 주체의 역할분담과 협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한 바탕 위에서 중앙정부 및지방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뒷받침될 때 가능하다. 세계 화훼업계는 그동안 네덜란드를 비롯한 서구 선진국이 주도해 왔다. 그러나 근년에 화훼산업이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각광을 받으면서 양호한 기후조건과 저렴한 인건비 등 생산의 효율성 측면에서 경쟁력 있는 신흥국가들이 세계 화훼시장에 진출함에따라 기존 화훼시장은 변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또한 소비자의 화훼에 대한 구매욕구와 양태가 부단히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적응력이떨어질 경우 기존 화훼 선진국도 어려움에 직면할 전망이다. 접목선인장 시장도 마찬가지다. 우리 접목선인장이 위축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발전하기위해서는 이러한 세계시장의 변화를 항상 주시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는 체제를 갖추어야 할것이다.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주제어
선인장 선인장수출 화훼
발간물 유형
KREI 보고서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3393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수탁보고서 (C)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Files in This Item:
선인장 국제시장 조사 및 수출 확대 방안.pdf (1.08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