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지역혁신 네트워크의 구성과 기능에 관한 사례 연구

영문 제목
A Case Study on the Networks of Regional Innovation in Rural Korea
저자
김정섭송미령
출판년도
2007-04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농촌 지역혁신 네트워크의 구성과 기능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있었다. 네트워크 접근방법을 통해 17개 지역의 61개 혁신 활동에 대한 사례 조사의 내용 분석 및 특성이 다른 2개 네트워크의 밀도와 중심성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발견한 몇 가지 사실과 그것을 토대로 정리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농촌 지역혁신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주체들은 지역 내부와 외부의 행위자로 구분할 수 있는데 지역 외부 주체들의 역할은 그다지 크지 않았다. 지역 외부에 소재하는 대학이나 컨설팅 기업들이 연구?개발에 참여하고는 있지만 제한적 활동에 불과하였다. 그들이 연구 용역 시장에서의 거래 관계를 매개로 참여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점 또한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연구?개발 활동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농촌 지역에는 연구?개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인프라구조가 잘 갖추어져 있지 않은 현실에서, 중앙정부 정책이 지역 외부의 전문적인 연구?개발 조직들이 농촌 지역혁신 활동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것은 바람직하며 앞으로도 지속되어야 한다. 다만, 그 조직들이 지역 내 주체들과 맺는 연계의 성격이 시장거래 관계가 아닌 지역혁신체계 내에서의 협력 관계가 되도록 정책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농촌 지역에서 상품 혁신이나 생산과정 혁신을 이끄는 연구?개발 활동은 농업인이나 농촌관광 경영체들이 직접 자신들의 경험과 암묵지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전개되는 사례가 훨씬 많았다. 엄밀한 의미에서 과학적인 연구는 아니더라도 실용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는 생산자들의 연구?개발 활동을 지원하는 수단(예: 현장애로 기술 개발 지원)을 관련 정책 사업 내용 안에 적극적으로 포함시켜야 한다. 셋째, 다수의 생산자들에게 지식이나 기술을 전파하는 혁신전파 활동은 상품 혁신과 생산과정 혁신 분야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었다. 그리고 혁신전파를 본연의 임무로 하는 공공기관 이외에도 생산자들이 직접 혁신 전파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았다. 시장 상황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진취적인 생산자들이 보유한 혁신 기술이나 지식을 지역 내에 확산시키기 위해 시도한 몇몇 시?군의 창의적인 노력과 노하우를 많은 지역들이 벤치마킹하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다. 넷째, 농촌 지역혁신 네트워크의 주요 기능은 ‘조달’, ‘원자재 및 폐기물 흐름 관리’, ‘교육훈련 및 학습’, ‘마케팅’, ‘연구?개발 및 기술보급’이었다. 그 밖에도 네트워크 형태의 조직을 구성하여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중앙정부 정책이 네트워크 형성을 강제하거나 유도할 때 참여자들의 동기나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기능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는 네트워크 효과를 내지 못하는 옥상옥에 불과한 조직을 낳을 수도 있다. 농촌 지역혁신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이라는 기존의 관점을 견지하되, 목적과 기능을 좀더 구체화하고 다듬은 네트워크 형성을 촉진하도록 정책을 보완해야 한다. 다섯째, 중앙정부나 광역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은 주로 농촌 지역혁신을 위한 물적 자원을 제공하는 데 머물고 있다. 중앙정부 정책의 ‘네트워크 접근방법’은 부분적으로 성과를 거둔 측면이 있지만, 여전히 농촌 지역 수준에까지 정책이 의도하는 그 취지가 충분히 전달되고 있지는 않는 것 같다. 물적 자원 제공 외에도 농촌 지역 내외의 주체들이 수평적인 협력 관계를 토대로 개발 활동을 전개할 때 얻을 수 있는 장점이나 효과, 네트워크 접근방법을 취하는 개발활동의 추진 절차에 관한 노하우, 목적에 적합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사회적 기술(social skill) 등 정보 및 지식을 전달하려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후속 연구를 위해 몇 가지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농촌 지역 내외의 수평적 협력 관계를 중심에 두고 지역혁신 네트워크를 분석했다. 농촌 지역의 농특산물 공급사슬에 배태되어 있는 수직적 협력의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특정 농특산물이 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농촌에서 해당 상품의 생산자, 원자재 공급자, 유통 종사자 등이 공급사슬을 따라 연계되어 있는 경우, 그 주체들 간의 협력과 시너지는 농촌개발 분야의 중요한 과제이다. 둘째, 연구를 통해 농촌 지역혁신 네트워크의 다섯 가지 기능을 확인했다.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는 어떤 배경과 동기 속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구조적 특징은 어떤지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는 다양한 유형의 농촌개발 정책 메뉴를 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농촌 지역혁신 네트워크를 정책이나 시장 등 환경 변화에 따라 그 구성을 바꾸어가면서 동시에 여러 가지 혁신활동을 연쇄적으로 또는 동시적으로 창출하는 일종의 ‘진화하는 체계’로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조사한 사례 지역들에서 한 종류의 혁신활동만이 이루어진 곳은 없다. 진화론적인 관점에서 농촌 지역혁신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현장의 주체들에게 실천적인 조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네트워크의 경제적 효과를 계량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네트워크 접근방법을 취하는 정책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다면, 정책 수립과 집행에 필요한 지지를 이끌어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osition and functions of the rural area's regional innovation network, one of the relational structures of collective actions aimed at accelerating innovation activities in rural areas, and to identify more issues to consider. To this end, case examples of 61 innovative activities from 17 regions were analyzed. The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it is desirable that the central government implements the policy of encouraging external R&D organizations to participate in rural area's regional innovation activities, but the policy needs to be revised to make external R&D organizations and regional entities have more cooperative relations within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Second, the R&D activities for product and production innovation in the rural areas mostly use first-hand experiences and tacit knowledge of farmers and rural tourism management entities in many cases. Policy projects should include the means to support the production of practical research results.Third, the activities of distributing knowledge and technical innovation to a number of producers are mainly conducted during product and production process innovation. It is needed to help other regions benchmark the creativeefforts and expertise of a few regions which widely spread the innovative technology and knowledge possessed by market sensitive and progressive producers.Fourth, the existing view on the network building for rural innovation should be maintained, while the policy revision should be performed to accelerate the formation of the network having detailed and refined purpose and functions.Finally,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roles are limited to providing material resources for rural area’s regional innovation.
목차
1. 서론2. 이론적 배경3. 농촌 지역혁신 네트워크 사례 분석4. 결론
서지인용
page. 61 - 81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주제어
농촌개발; 지역혁신; 네트워크; rural development; regional innovation; social network
발간물 유형
KREI 논문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8664
Appears in Collections:
학술지 논문 > 농촌경제 / JR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Files in This Item:
농촌 지역혁신 네트워크의 구성과 기능에 관한 사례 연구.pdf (455.32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