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 방안

영문 제목
How to Build Capacity of Rural Social Enterprises
저자
마상진김창호권인혜
출판년도
2010-10
초록
이 연구는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과 관련한 학문적, 정책적 논의의 단초를 마련한다는 관점에서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선행연구 고찰,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실태 조사, 그리고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과 사례 고찰을 하였고, 이를 토대로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역량 강화와 관련하여 어떠한 기본 과제가 추진되어야 하는지를 도출하고자 하였다.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역량 자체에서 차이가 나지만 그러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활동의 측면에서도 농촌지역의 사회적기업에는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다. 농촌지역은 각종 공공・민간의 사회적경제 관련 물적・인적 자원의 규모가 도시에 비해 적을 뿐 아니라, 관련 주체들의 기본 자질도 일반적으로 떨어진다. 특히 상업적 기업 환경과 관련한 경험이 일천하고, 역량 강화와 관련한 각종 교육이나 컨설팅 경험도 희박하다. 따라서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는 기본적으로 이러한 농촌이 가지는 특수성이 충분히 반영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추진과제로 이 연구에서는 ① 사회적기업 역량 진단 및 역량 강화의 모형 개발, ② 잠재적 농촌지역 사회적기업가 발굴 및 지원, ③ 농촌지역 지역자활센터의 활용 강화, ④ 지역 수준(중앙·광역·기초) 간 수직적 역할 분담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easures to build capacity of rural social enterprises. For the purpose, this study reviewed related theoretical researches, capacity building policies and efforts, and social economy in Europe.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capacity and the capacity building needs of rural social enterprises based on a survey of 258 social enterprises including 107 accredited social enterprises, 59 pre-accredited social enterprises, and 71 self-reliance communities jahawlgongdongche, and case studies of rural social enterprises. As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basic direction for capacity building and several measures to facilitate capacity building of rural social enterprises. Capacity building policy and efforts should be oriented to consider relatively weakness of rural social enterprises for the shortage of social resources in rural area and capacity building opportunities such as education and consulting services compared to urban social enterpris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the study developed the following four measures to activate capacity building of rural social enterprises: ⓛ developing basic model for capacity assessment and capacity building of rural social enterprises; ② fostering future rural social enterpreneurs and supporting them to develop; ③ promoting rural self-reliance center jiyokjahwalcenter as local capacity building supporting agency for rural social enterprises; and ④ setting up vertical cooperating system among central, regional and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Researchers: Sang-Jin Ma, Chang-Ho Kim and In-Hey Kwon Research Period: 2010.1~2010.10 E-mail Address: msj@krei.re.kr
목차
제1장 서론제2장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이론제3장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실태와 역량 강화 요구제4장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관련 제도 현황제5장 유럽의 사회적기업 역량 강화 사례제6장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과제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과제명
농촌지역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기업 육성방안 연구(2의1차년도)
주제어
지역개발; 사회적기업
발간물 유형
KREI 보고서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9553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 (R)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Files in This Item:
농촌지역 사회적기업의 역량 강화 방안.pdf (1.09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