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 - GEN AU - 이상민 PY - 2008/11 UR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5363 AB - 목재가 인류에게 미치는 영향은 시간이 흐르고 자원이 희소해질수록 가치 있게 느껴진다. 자원이 풍부한 과거에는 산림의 역할을 단순히 연료를 제공하는 대상으로 인지하였다. 그러나 산업이 발달하면서 늘어나는 산림파괴와 대기오염으로 인해 산림의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인식하게 되었다. 전 국토면적의 2/3를 차지하는 산림을 가진 우리의 경우에도 효율적인 산림이용은 국토관리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산림의 다양한 기능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산림을 구성하는 목재는 생육기간이 길고, 영향이 후세에까지 미치기 때문에 조림계획 단계에서부터 장기적이고 세밀한 준비가 요구된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실시한 이 연구는 산림의 이용가치를 최적화하고, 지속 가능한 산림경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목제품 시장과 원목 시장을 연결하여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동태적인 균형값을 찾았고, 장기적인 국산원목의 자급률을 보여줌으로써 가시적인 산림계획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목재시장을 품목시장과 원목시장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수급을 분석한 후, 서로의 수급관계를 이용하여 두 시장을 연결하는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특히 목제 품목은 중간재 성격을 띠므로 최종 상품의 수익 극대화 과정에서 도출되는 원료의 파생수요를 추정하였으며, 동시에 공급함수를 추정하여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함으로써 수급의 균형을 찾았다. 이렇게 구해진 해는 제품별 원목 투입비율을 적용하여 원목으로 환산하고 모든 제품의 원목 투입량을 합하여 우리나라 전체 목제품 시장의 원목 수요량을 구하였다. 목제품 시장의 원목 수요량을 국내재 공급량과 비교하여 부족한 양을 수입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코호트(Cohort) 모형을 통해 추정된 영급별 산림면적으로 국내재 공급 가능성을 분석하였는데, 전망 기간 내에서는 충분히 공급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효율적인 관리와 상품성을 높이는 수종개발 또는 기술 개발이 이루어질 경우, 6영급 재적의 20%만 벌채하여도 2050년 원목 수요량을 모두 충당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 - This study is design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on the optimal utilization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Korean forest for the forest planning of the government. The need for this study stems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 current management system could not continue to keep the resource cycle efficient. The two markets of products and raw materials are analyzed to develop a model as they are linked in a relationship of supply and demand. Since wood products are not utilized at the final stage of consumption, we estimated derived demand functions from profit maximization problems. A Simultaneous system provides an equilibrium for each product. The volume of products demand is converted into a volume of log demand by applying conversion factors. It is assumed that import volume is decided by subtracting domestic supply from the total demand.Domestic suppliable amount of log is estimated by Cohort age class analyses of forest area. The result says that there would be enough stock of the final age class for domestic supply until 2050. If we manage the forest more efficiently and develope more productive species, only 20% of the volume of final age class is sufficient for the expected total demand of 2050.There are some problems which decrease the reliance of the model. They should be complemented continuously even after this study. Finding an optimal rotation period of forest for sustainable management, which is originally designed, is also a very important task to enhance the quality of this research.Researchers: Lee Sang-Min, Chang Cheol-Su, Kim Kyeong-DukE-mail address: smlee@krei.re.kr, cschang@krei.re.kr, kdkim@krei.re.kr PB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TI - 목재의 수급 모형 구축 및 전망 TT - Modelling Supply-demand Structure and Outlook of Korean Timber TA - Lee, Sangmin TA - Chang, Cheolsu TA - Kim, Kyeongduk 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