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동필-
dc.contributor.other강정혁-
dc.contributor.other이영대-
dc.contributor.other정윤용-
dc.contributor.other김종선-
dc.contributor.other백인환-
dc.date.accessioned2018-11-15T07:42:23Z-
dc.date.available2018-11-21T01:19:31Z-
dc.date.issued1997-05-
dc.identifier.otherC1997-03-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3223-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기존의 정보화사업은 품목 및 지역별 이용자들의 구체적인 정보화 여건이나수요,능력 등을 반영하지 못한 채 개인용 컴퓨터와 상업적 통신망을 기초로 추진되고있으며 특히 농촌지역은 정보화에 대한 인식이나 정보매체의 보급, 정보의 생산과이용, 정보통신기반시설 등에 있어서 도시보다 매우 불리한 입장에 있기 때문에정보화가 진전될수록 정보격차가 심화되고 있다. 이 연구는 지역개발의 수단으로써농촌지역 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농촌지역의 정보화수준과, 농촌지역정보화 관련 정책의 추진실태 와 문제를 파악하고, 구체적인농촌지역 정보화사업의 추진방안을 검토하였다.(2) 연구범위 및 자료 이 연구는 1차년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례연구에 중점을 두었다.정보화의 추진으로 현저한 개발효과가 기대되는 특정작목에 전문화된 지역(경북의성군)을 선정하여 이 지역의 농민(고추, 사과, 마늘재배농민 각 90호)과 유관기관종사자(군청, 농협 및 농촌지도소 등 90명), 그리고 연관업체 종사자 50명과 25개의유관기관을 대상으로 정보화마인드, 정보매체의 보유 및 이용실태, 그리고정보수요와 지역정보화에 대한 의사를 조사하였다.(3) 농촌지역의 정보화 실태 및 지역간 정보격차 주민들의 정보화에 대한 인식, 지역통계정보의 생산실태, 정보통신시설과 서비스,방송과 신문.잡지 등 정보매체의 보급 및 이용실태를 비교한 결과 농촌지역의정보화 수준이 서울, 수도권 및 대도시 지역에 비해 크게 낙후되어 있다. 지역간의 정보격차를 파악하기 위해 ① 정보화마인드(전문대졸 이상 인구수), ② 정보생산(정보관련 종사자수, 정보생산관련업체수) 및 유통(정보관련산업체 매출액), ③ 정보매체의 보급(TV, 컴퓨터, 전화 및 공중전화기 보급대수), ④ 정보매체 및 서비스의 이용(전화통화도수, 우편물이용량, 이동전화, 무선호출, 전자식 특수서비스, PC통신가입자수), 그리고 ⑤ 정보산업의 발전(정보기기산업체수, 정보처리산업체수) 등 5개 지표를 이용, 정보화지수를 산출한 결과 서울이 203.9인데 비해 대도시는 86.8, 기타 농촌지역은 58.0으로 지역간 심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4) 농촌지역정보화 관련정책의 추진실태와 문제 ''80년대 말부터 정보통신부와 내무부, 통상산업부 및 농림부 등에서 농촌 지역을대상으로 다양한 정보화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국가정보화와 지역정보화와의연계성이 취약하며 특히 정보 낙후지역으로서 농촌의 정보화에 대한 종합적이고체계적인 대책이 미흡하다. 또한 농촌지역 정보화업무를 담당하는 관련 부처간및 중앙과 지방자치단체간에 공조체제가 미비하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역할과기능에 대한 조정이 미흡한 실정이다. 농촌지역에 위치한 20개의 지역정보센터에 대한 사례분석결과, 자본금4,000만원에 직원 1∼2명을 둔 영세한 규모가 대부분으로 극심한 자금난과 인력부족을겪고 있다. 또한 정보공유에 대한 인식부족과 제도적장치 미비로 지역내 공공기관이나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일부 홍보성 정보만 수집,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자료수집(자료보유기관의 비협조)과 자료가공(전문인력 부족) 및 자료입력(입력인원부족과 자료의 비정 형성)이 어렵기 때문에 지역의 특색있는 정보를 개발,보급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정보서비스의 이용자는 주로 학생과 일반인으로농민은 11.1%에 불과한데 이는 농가의 저조한 컴퓨터보유와 이용능력, 그리고 관심있는 정보의 부족과 정보마인드의 부족 때문이다.(5) 의성군 농촌지역정보화 촉진을 위한 사례연구 사례연구에서는 1차년도의 연구결과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의성군 지역개발의여건분석과 개발방향 설정, 그리고 고추, 사과, 마늘농사를 중심으로한 지역농업개발(NEW PAGE전략)과 고추, 사과, 마늘의 생산 및 유통과정의 문제와발전방향 검토, 의성군의 정보화여건과 실태파악, 지역정보화구상을 위한 관련정보의공급실태 및 수요분석, 그리고 마지막으로 의성군 지역정보화 발전계획을 제시하였다.또한 농촌지도소와 농림수산정보센타의 도움으로 의성군의 종합적인 정보뿐만 아니라지역의 특화산업에 대한 정보를 공중통신망을 통해 제공 하였으며, 그 내용은 별도의책자로 발간하였다.(6) 정책적 시사점 농촌지역의 정보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정보마인드의 확산과 전문인력 양성을위한 교육 및 훈련을 강화해야 한다. 즉 지역주민의 정보사회에 대한 이해와정보이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제고 및 컴퓨터 조작과 이용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향상시키는 한편, 특수 목적의 자료수집 및 분석, 고급 정보통신기술, 현장에서필요한 다양한 SW개발 등을 담당할수 있는 전산.정보부문 전문인력의 양성이필요하다. 농촌지역정보화 기반시설의 정비와 정보매체의 보급 및 지역의 정보통신산업체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그리고 지역정보의 수집, 분석 및 제공체계의확립과 관련제도를 정비해야 하며 지역정보화사업을 효율적 으로 추진하기 위한중추 거점으로서 공공성을 갖는 종합적인 지역정보 센터를 설치.운영해야 한다.-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농촌지역의 정보화 실태와 발전방향 : 농촌지역의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연구-
dc.title.alternativeSituation and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Rural Informationalization-
dc.typeKREI 보고서-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Dongphill-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ang, Jungheuk-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Jongsun-
dc.embargo.terms9999-12-31-
dc.embargo.liftdate9999-12-31-
dc.subject.keyword농업정보시스템-
dc.subject.keyword농업경제문헌검색어집-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수탁보고서 (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