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민간유통업체를 중심으로 농축산물 소매구조가 급변하고 있으나 이에 대응하여 도매물류 구조는 아직 변화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최근 정부는 민간유통업체의 도매물류사업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따라서 농축산물 도매물류업의 잠재적 사업규모를 추정하고 민간유통업체가 농산물의 도매사업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민간 유통업체의 농축산물 도매사업에 대한 사업기회를 진단하고, 도매사업 참여시 효과적으로 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2) 농축산물 유통체계 현황 및 전망
농축산물의 유통경로는 생산과 소비의 영세분산성으로 5∼6단계로 복잡하며, 산지 출하형태는 개별판매 비중이 높으며, 공동판매는 대부분 공동수송 단계에 머물고 있다. 도매단계에서 유사도매시장의 비중이 높으며, 물류센터, 도매배송회사 등과의 다양한 경쟁체제가 구축되지 못하여 가격효율성과 거래의 투명성이 낮다. 소매단계는 소매기구의 영세성과 과밀성, 비조직화로 마진율이 가장 높다.
소비자의 구매형태가 분화되고 다양한 유통업태가 출현하고 있다. 생산측면에서 규모화, 전문화로 산지 물류기능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매유통체계는 규모화, 체인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업태가 다양화 될 전망이며, 도매단계의 경우 물류센터나 전문 도매배송업체에 대한 수요가 증가될 전망이다.
(3) 농축산물 도소매업 실태 분석
식료품을 취급하는 도매업태에는 도매시장, 도매배송업, 현금도매업 등이 있으며, 도매배송업은 1990년대 이후 업태의 다양화, 규모화 ,체인화 등으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현재 농축산물 도매배송업은 영세전문벤더 성격이며, 대부분 도매시장의 도매상이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생식품의 도매물류 경로는 도매시장→점포 경로가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며, 그 외 시장→벤더→점포 경로가 있다. 물류시설의 기능은 대부분 단순 창고기능이다.
(4) 소매업체의 구매행태 분석
소매업체의 판매구성은 1차식품 31%, 가공식품 27%로 식품 비중이 58%이며, 업태별 식품 구성비는 수퍼마켓 73%, 백화점 24%이다. 1차식품 부류별 비중은 축산물 28%, 청과물 22%, 곡물류 13% 순이다.
소매업체의 1차식품 구매주기는 곡물류 주 1∼2회, 채소와 과실류 매일, 축산물 매일 또는 주 3회 이상이며, 1회당 구매액은 전체적으로 평균 3,037만원이다. 1차식품 구입처는 곡물류와 축산물은 벤더업체, 채소류와 과실류는 도매시장 구입 비중이 높다.
소매업체는 도매물류회사에 대한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일괄구매 가능, 물류비용 절감, 대량구매에 의한 유통비용 절감 등이다.
(5) 농축산물 도매사업의 사업기회 전망
1차식품의 부류별 도매업 규모는 2003년 청과물 3조 8,156억원∼4조 2,185억원, 육류 1조 4,400억원∼1조 5,916억원, 곡물은 9,493억원∼1조 496억원으로 전망된다.
농축산물 도매업의 매출 이익률과 영업 이익률은 일반도매업과 비슷하나 매출 순이익률은 취급부류별로 차이가 난다. 농축산물 도매사업의 수익성은 운영주체에 따라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
도매사업의 기회적 요인은 유통구조의 급격한 변화와 정부의 유통투융자정책 등을 들 수 있으며, 위협적 요인은 다점포 대형체인점 확대, 무자료 거래 등 현실적 제약 등을 들 수 있다.
(6) 농축산물 도매사업의 효과적 진입방안
도매업태의 컨셉은 종합도매물류업이며,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복합적 물류의 효율화가 필요하며, 대상고객은 신업태 소매점이 효과적이다. 위험관리를 위해 사업다각화 도입도 검토되어야 한다.
고정출하선 확보를 위하여 작목반, 영농조합법인, 회원농협 등을 전속 출하조직으로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단계에서는 유능한 산지수집상을 고용하고, 점차 대규모 산지유통기구와 계약을 통한 구매를 증대시킨다. 상품은 도매시장 출하상품과 차별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브랜드는 생산자 고유 브랜드에서 차츰 자체브랜드 비중을 증가시킨다.
판매처 확보를 위해 도매시장과 상품, 서비스면에서 철저한 차별화가 되어야 하며, 조직화된 영세 체인본부, 비조직화된 대형 유통업체와 전략적 제휴를 통한 판매망 확보와 도매기능을 강화한다. 또한 소비자니즈의 다양화와 편리성 추구에 대한 대응이 강구되어야 한다.
제 1 장 서 론
제 2 장 농축산물 유통체계 현황 및 전망
1. 농축산물 유통체계
가. 청과물
1) 유통경로
2) 유통간계별 현황
나. 축산물
1) 유통경로
2) 유통단계별 현황
다. 곡물
1) 유통경로와 마진
2) 곡물의 유통현황
3) 미곡의 유통구조 변화와 전망
2. 농축산물 수입 및 유통현황
가. 농산물
나. 축산물
3. 농산물 유통정책 및 투융자 방향
가. 유통정책 방향
나. 투융자 계획
4. 농산물 유통체계의 변화전망
가. 유통환경의 변화
1) 소비자 수요의 변화
2) 유통시장 개방과 소비지여건 변화
3) 산지여건의 변화
나. 농축산물 유통체계 변화전망
1) 농산물
2) 축산물
3) 양곡
제 3 장 농축산물 도소매업 실태분석
1. 도매업
가. 도매업 현황
나. 도매배송업
다. 체인사업자
2. 소매업
가. 소매업 현황
나. 소매업태별 현황
1) 슈퍼마켓
2) 할인점
3) 백화점
4) 편의점
다. 소매업체의 산지직거래 현황
3. 도소매업의 물류실태
가. 도소매업 물류환경 변화
나. 도소매업 물류실태
제 4 장 소매업체의 구매행태 분석
1. 조사업체 개요
2. 소매업체의 판매현황
3. 소매업체의 구매행태
가. 구매현황
나. 구입처별 장단점
4. 소매업체의 도매물류회사에 대한 수요
제 5 장 농축산물 도매사업의 사업기회 전망
1. 농축산물 도매사업의 환경 분석
가. 식품 도매업의 규모전망
나. 수익률
다. SWOT 분석
2. 기존업체 분석
가. 농협(물류센타)
나. 축협
다. 양곡 도매업
제 6 장 농축산물 도매사업의 효과적 진입 방안
1. 도매사업 진입 기본전략
가. 업태 전략
나. 대산 소매업체
다. 진입지역
2. 산지 구매선 확보방안
가. 산지출하 실태
1) 출하형태
2) 산지 유통시설
나. 부류별 구매선 확보방안
1) 청과물
2) 축산물
3) 곡물
3. 판로 개척 및 단계별 사업전개 방안
가. 판로개척방안
1) 도매물류업의 기능
2) 판로개척방안
나. 단계별 사업전개 방안
4. 물류인프라 구축방안
가. 농축산물 물류시설
나. 물류시설 확보방안
다. 물류 정보화
제 7 장 선진국의 식품 도매업
1. 식품도매업의 추세
가. 미국
나. 일본
다. 독일
2. 식품 도매물류업체 사례
가. Dole Japan
나. CGC
다. JETRO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