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최경환 | - |
dc.contributor.other | 정명채 | - |
dc.contributor.other | 박대식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7:43:34Z | - |
dc.date.available | 2018-11-21T01:19:52Z | - |
dc.date.issued | 2000-12 | - |
dc.identifier.other | C2000-45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3332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 차 제 1장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연구의 목적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연구의 내용과 방법 제 2장 기존교과서(제 6차 과정)의 농업관련 내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검토 대상 전반적인 문제점 학년별 문제점과 개선방안 제 3장 제 7차 교육과정의 개요 제 7차 교육과정의 개요 「사회과」교과의 구성 내용(교육과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개정작업 진행 상황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농업 관련 내용 개정 방향 제 4장 개정 교과서(제 7차 요육과정)의 검토 내용 검토대상 전반적인 문제점 학년별 문제점과 수정방안 교과서 검토 결과의 반영 방법 교과서 검토 결과의 반영 실태 제 5장 외국의 어린이 농업 교육 실태 일 본 독 일 미 국 외국 사례의 시사점 제 6장 금후 농업 관련 각종 교과서 개편 대응 방안 금후 각종 교과서 개편 대응의 필요성 농업 관련 교과서 검토 협의회(가칭) 운영 교과서 집필진에 대한 정보 및 자료의 지속적인 제공 각종 보조교재의 작성 · 배포 교사들의 농업 · 농촌 체험 기회 제공 교과서 편찬과정의 지속적인 참여 제 8차 교육과정 개편 대응 방안 참고문헌 부 록 요약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농업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양적 비중은 감소하고 있으나, 식량안보, 환경보전, 국토의 균형발전, 전통문화와 가치관의 계승 등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multifunctionality)이 강조되고 있다. 급변하는 여건에서 농정을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농업 농촌의 현실과 가치에 대하여 국민의 올바른 이해가 절대적이다. 특히 새천년의 주역인 어린 학생들이 농업 농촌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학생들이 각종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는 가장 중요한 매체는 교과서로서, 교과서에 농업 농촌 관련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느냐에 따라 어린이들의 이해의 정도에 커다란 차이를 가져 온다. 이 연구는 현재 개정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3∼6학년 사회 교과서의 농업 관련 내용을 검토하여 수정 보완방안을 제시하고, 금후 농업 관련 각종 교과서 개편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2. 기존 교과서의 검토 결과 현재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3∼6학년 사회 교과서의 농업 관련 내용을 검토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시간이 전체적으로 부족하고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비율이 낮아짐 시대에 뒤떨어진 교육내용ㆍ사진배경 및 그림이 많이 실려 있음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농정 실적 및 방향을 제대로 반영치 못하고 있음 지속 가능한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인간과 자연, 경제와 환경, 문명과 생태계의 공존공영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대로 강조하지 못함 농업은 생명산업, 환경친화적 산업인 동시에 첨단 복합 산업으로 21세기 유망산업으로 성장가능하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설명하지 못함 농업은 눈에 보이지 않는 공익적 기능이 대단히 크다는 점에 대한 설명이 부족함 3. 개정 교과서의 검토 결과 제7차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전면적인 개정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3,4학년 사회 교과서(실험본)와 5,6학년 사회 교과서(원고본)를 검토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농촌 지역은 아직도 정비가 덜 된 지역, 산촌 지역은 사람이 살기에 불편한 곳으로 비쳐짐 농촌 지역은 젊은이들은 전부 도시로 나가고 노인과 부녀자만 사는 곳으로 서술됨 농업의 기계화가 부각되지 않음 전문용어의 사용이 부적절함 농업 관련 내용이 5학년에 집중되어 있음 - 교과과정상 농어업을 5학년에서 다루게 되어 있으나 한 학년에 집중되어 내용이 반복되는 느낌이 있어 지루함 종합적으로 볼 때 제7차 교육과정 수립시 농업 분야만을 별도로 검토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농업 관련 내용이 체계적으로 반영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됨 4. 농업 관련 내용의 반영 방향 개정 교과서의 검토 결과를 토대로 농업 관련 내용의 반영 방향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전문용어로 쓰인 농업 관련 내용을 초등학교 학생이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변경 시대에 뒤떨어진 교육내용 사진배경 및 그림을 개선 농업에 대해서 잘못 기술된 부분을 올바르게 개선 농업의 중요성을 기술 신지식농업, 친환경농업 등 새천년 농업의 미래상을 기술 5. 교과서 검토 결과의 반영 방법 개정 교과서의 농업 관련 내용에 대한 검토 결과를 교과서 개정에 반영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하였다. 검토 내용을 집필자들에게 전달하여 집필시 참고하도록 함 연구진의 한 사람이 심의회에 참여하여 검토 의견을 반영함 집필자들이 농업 농촌 현장 시찰을 통해 농업 농촌의 현실을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함 집필자들이 필요로 하는 관련 사진자료들을 제공함 6. 외국 사례의 시사점 생활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를 택해 어린이들이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농업을 이해하도록 접근하고 있음 일본의 경우 소학교 5학년 사회 교과서의 절반 정도를 농업 분야에 할애하고 있음. 특히 쌀에 대하여 많이 다루어 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음 다양한 보조교재나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음. 국가가 직접 보조교재를 작성 배포하기도 하지만 지방자치단체나 농협 등에서도 농업 관련 보조교재를 작성하고 있음 최근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인터넷을 어린이 농업교육에 적극 활용하고 있음 7. 금후 각종 교과서 개편 대응 방안 농업 농촌 관련 내용을 교과서에 제대로 반영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며 다양한 접근방법을 동원할 필요가 있다. 농업 관련 각종 교과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체계를 갖추어야 함 교과서 집필진이나 교사들에게 각종 자료나 정보를 충분히 제공함 교과서 집필진 및 교사들이 직접 체험을 통해 농업 농촌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 장기적으로는 각급 학교 교과서에 농업 농촌 관련 내용을 체계적으로 반영시키기 위해서는 2002년 이후의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할 필요가 있음 | - |
dc.title | 초등학교 교과서 농업관련 내용 개정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amending the primary school textbook on agriculture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i, Kyeonghwan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Joung, Myoungchae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Park, Daeshik | - |
dc.embargo.terms | 9999-12-31 | - |
dc.embargo.liftdate | 9999-12-31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