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농교류 활성화를 위한 농소정 협력사업 2차년도 평가와 개선방안
-
영문 제목
- An evaluation of the 2nd year project aimed to facilitate rural and urban exchange and the measures for improvement
-
저자
- 김병률; 김경필; 김태곤
-
출판년도
- 2001-04
-
목차
- 목 차
제 1장 서 론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연구목적
연구범위와 방법
관련 정책 및 선행연구 검토
제 2장
2000년도 농소정 협력사업 추진현황과 효과
사업추진 단체
농소정 협력사업의 효과
제 3장
2000년도 농소정 협력사업 평가
사업추진과정에 대한 평가
사업추진단체 평가
주요 프로그램 평가
제 4장 외국의
도농교류와 그린투어리즘
일본의 도농교류와 그린투어리즘
프랑스의 그린투어리즘
독일의 그린투어리즘
영국의 그린투어리즘
이탈리아의 그린투어리즘
외국의 경험으로부터의 시사점
제 5장
도농교류활성화를 위한 농소정 협력사업 발전방향
농소정 협력사업의 기본방향과 단계적 접근
농소정 협력사업의 세부적 발전과제
참 고 문
헌
부
록
부록 1. 시행단체별 사업내용
부록 2. 지자체 도농교류 주요 사업내용
부록 3. 프랑스,
이탈리아의 도농교류 및 그린투어리즘 방문조사 내용
요약
1. 연구의 목표
이 연구는 농소정
협력사업의 제2차 연도 수행내용에 대하여 시행단체별, 프로그램별로 사업 추진 내용에 대하여 평가하고 도농교류사업의 효과와 문제점을 도출하여 차기
연도 사업 추진에 반영하는 것이다.
또한 중장기적으로 농소정 협력을 통한 도농교류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중앙
및 지방정부 차원의 예산 확보와 지원체계, 사업자 선정과 사업관리방법의 개선, 민·관 협력체계 구축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2. 연구개발 내용
가. 2000년도 농소정 협력사업 추진현황과
효과
- 사업 추진 단체
- 농소정 협력사업의
효과
나. 2000년도 농소정 협력사업 평가
- 사업 추진과정에 대한
평가
- 사업 추진단체 평가
- 주요 프로그램
평가
다. 외국의 도농교류와 그린투어리즘
라. 도농교류 활성화를 위한 농소정 협력사업
발전방향
3. 연구결과
2000년도 농소정협력사업은 2000년 3월에 사업 추진
기본계획이 확정되고 사업공모와 심사를 거쳐 총 32개단체, 36개사업이 선정, 추진되었다.
농소정 협력사업의 효과는 도시소비자들의 농업·농촌에 대한 이해 증진, 농사
수확체험과 농장직판을 통한 농가소득 증대 기여, 도시민들의 농촌 지역 방문과 민박, 식사를 통한 농촌 지역의 활성화, 도시민과 농촌주민들의
만남을 통한 농민과 소비자의 연대의식과 공감대 형성 제고, 농민과 농촌주민들의 시야가 확대되고 농사와 향토자산, 농촌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
제고, 우리 농산물의 홍보확대와 환경·농지 보존운동의 확산 등이다.
사업 추진과정에 대한 평가결과, 농소정협력사업의 평가시기를 앞당겨 1∼2월 중
사업자선정이 이루어지고 시행단체수를 늘려 다양한 참가자들이 도농교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시행단체에 대한 평가결과 우수 10개단체, 양호 10개단체, 보통 10개단체,
부진 4개단체로 구분되었다. 사업 유형별 평균점수는 도농교류 협력사업이 25.5점, 농업·농촌 알리기사업 24점, 농업·농촌 지키기 사업
23.4점으로 도농교류 협력사업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게 추진되었음을 볼 수 있다.
우수 수행단체 및 사업은 농업기반공사의 농업·농촌체험학습, 농협중앙회의 꿈나무
벼사랑 농사체험, 팜스테이, 한국여성농업인중앙연합회의 자녀와 함께하는 농촌현장 체험, 장성군한마음영농조합법인의 도농공동체 농사체험 및 문화체험을
통한 직거래 교육, 환경농업단체연합회의 생명농사파종축제, 가을걷이 추수한마당, 친환경농업현장체험, YMCA의 이웃과 함께 쓰는 농촌체험일지
등이다.
외국의 도농교류협력사업 및 그린투어리즘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그린투어리즘
정신의 정확한 이해, 전체적인 전략 필요, 전문그린투어리스트 육성, 제도적인 정비와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도농교류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류주체의 다양화 및 차별화, 교류의 지속적인 추진,
중앙정부나 지자체의 체계적인 지원, 민간교류의 활성화, 마을 단위와 조직단위 중심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농소정 협력사업의 추진단계는 제1단계 붐조성단계, 제2단계 제도·기반정비 단계,
제3단계 확산 및 정착단계로, 현재는 시기적으로 제2단계에 해당하여 제도 및 기반정비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농소정 협력사업 발전을 위한 세부적인 내용으로는 가. 도농교류와 그린투어리즘 확산을
위한 법률 제정과 예산확대, 나. 지방자치단체의 도농교류 기반확충사업 추진, 다. 유사사업의 연계를 통한 상승 효과 도모, 라. 도농교류
참가단체와 체험현장 D/B 구축, 마. 사업 추진단체 및 관련기관의 협력체계 구축, 바. 사업 추진 홍보 및 성과에 대한 모니터 강화, 사.
그린투어리스트의 육성, 아. 농소정 협력사업 추진체계 개선, 아. 농소정협력사업 추진체계 개선, 주요 프로그램의 내용 및 추진방식 개선 및
보완이 필요하다.
-
발행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주제어
- 도농교류; 농소정협력사업
-
발간물 유형
- KREI 보고서
-
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3347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수탁보고서 (C)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