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제1장 추진배경과 연구방법
추진배경 및 필요성
연구목적
연구수행 추진체계
연구방법 및 내용
사업추진경과
제2장 농산물유통 정보화 현황분석
농산물유통 현황분석
농산물유통정보화 현황분석
농산물유통정보화 정책방향
농산물유통정보화 문제점 및 핵심과제
제3장 농산물유통정보 요구사항 분석
생산출하프로세스 분석
의사결정 프로세스 정의
정보요구 분석
선진사례분석
목표시스템 구상
제4장 농산물유통종합정보세스템 구상
기본방향
목표시스템 정의
주제별 정보모형
의사결정 단계별 정보모형
정보분삭시스템 구축
농산무유통종합정보시스템 활용 사례
제5장 하부정보시스템 구축
사지정보시스템
소비지정보시스템
물류정보시스템
수출입 및 해외정보시스템
예측정보시스템
기상정보시스템
일반정보시스템
제6장 농산물유통종합시스템 구축전략
기본전략
단계별 추진전략
유통정보화를 위한 환경개선
농산물유통정보화 전담조직 운영방안
제 7장 추진일정 및 투자계획
추진일정
투자계획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개방화 시대에 농산물의 생산과 가격동향에 대한 정보는 합리적이고도 신속한 생산 및 판매전략을 구축
가능하게 함으로써 농가소득의 안정과 부가가치 제고에 필수적이다. 특히, 농산물의 생산, 출하의사결정 과정에서 국내외 관련 품목의 생산과
시장수급에 관한 사전정보는 농업인의 합리적인 영농계획을 수립하는데 밑그림이 될 뿐만 아니라 품목별 재배면적, 작황, 출하에 관한 정보는 농산물
수급정책 수립과 농업 관련 단체 및 유통업체의 의사결정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농산물 생산, 출하에 관한 자료를 생산, 수집, 분석, 가공하여 의사결정에 실질적으로
활용하기 좋은 정보를 생산하고, 이를 분산시키는 [농산물 생산·출하 의사결정에 관한 지원정보시스템]개발을 위한 마스터플랜 구축을 연구목적을 하고
있다.
2. 연구방법 및 범위
농업경제 전문가의 관측사업 경험과 정보 시스템 전문가의 정보전략계획수립 경험을 바탕으로 한
조사/분석방법론을 적용하여 문헌조사와 전문가 의견조사 및 표적집단면적(농업 및 정보기술 전문가집단) 등을 실행하였고, 13개 품목의 프로세스
단계별 Case Study를 통한 정보요구 모형과 정보 제공 전략모형을 제시하였고, 이를 반영한 Prototype을 구현하여 사용자 요구에
적합한 시스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대상 품목은 채소류 9개 품목(무, 배추, 고추, 마늘, 양파, 파, 오이, 수박, 참외)과 과일류
4개품목(사과 ,배, 포도, 감귤)이다.
3. 연구결과
농산물 유통 종합정보 시스템은 농산물수급과 가격안정을 최우선 목표로 농업생산자(조직)를 주고객으로 하여
농산물 유통정보의 집중과 이용 및 교환이 가능하며 데이터의 확장보다는 가공에 중점을 두는 정보 시스템을 구축한다.
목표 시스템은 산지/소비지/물류/수출입 및 해외정보 시스템 등 하부정보 시스템과 농산물 유통 종합정보
DW(data warehouse)와 예측정보 시스템 그리고 정보분산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하부정보 시스템 중 산지정보 시스템 구축은 단기적으로 현행 산지유통정보 조사활동을 개선, 보완하여
Agent를 활용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산지정보 수집, 가공 시스템을 구축하고, 중기적으로 생산자조직과 산지유통시설을 대상으로 한
산지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를 추진하며, 장기적으로는 농가를 대상으로 한 경영 컨설팅과 연계한
농가경영관리S/W를 통해 정보를 수집한다.
소비지정보 시스템은 단기적으로 전국 공영도매시장 전자경매 경락정보의 실시간 전송체계 조기구축과 안정화와
연계하며, 중기적으로는 농림부 유통정보 조사요령에 의해 수집되는 유사도매시장과 소비지시장 가격조사를 강화하고 관련기관별 정보공유체계를 확립한다.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대형 유통업체의 POS시스템정보와 연동하여 소비자정보를 수집하여 정보 시스템을 구축한다.
물류정보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크게 도로정보, 수송정보, 저장정보, 물동량정보로 분류되는데,
도로정보는 한국도로공사 등 전문기관의 정보 시스템을 활용하고, 수송정보는 물류 시스템을 구축한 다른 기관 및 물류기업과의 업무제휴를 통해
수집하며, 저장정보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관측센터에서 실시하는 조사 시스템을 확대 발전시켜 수집하며, 물동량정보는 공영도매시장, 종합유통센터의
주산지별 반입량 또는 출하량조사 시스템을 활용하여 수집한다.
수출입 및 해외정보 시스템에서 수출입정보는 KT-NET(무역종합정보망)을 통해 관세청의 수출입정보를
제공받고, 해외정보는 검색 엔진 도입과 정보검색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과 농업 관련 주재원(농무관, 농수산물유통공사 해외주재원 등)을 통해
수집하는 방법 및 해외 전문기관과의 업무제휴와 유료모니터를 위촉하여 정보를 수집하여 구축한다.
농산물 유통 종합정보 DW는 산지정보, 수출입정보, 소비지정보, 물류정보, 해외정보 등 각
하부정보시스템별로 수집된 data를 분류, 가공하여 주제별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들 하부정보 시스템으로 필요한 정보를 추출, 재가공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품목결정, 정식시기 결정(월, 일) 등 생산의사 결정과 시장출하, 출하시기, 출하시장 결정 등 출하의사결정 단계별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별도로 농업경제전문가들이 지속적으로 관리 가능한 예측정보 시스템을 별도로 구축하여 예측정보를 생산,
제공한다.
정보분산은 인터넷을 통한 정보 서비스와 PDA/휴대폰을 통한 문자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와 함께 잡지/서적/보고서 등의 인쇄매체 및 신문, 월보, 관보와 같은 인쇄매체 그리고 전화,FAX를 통한 1:1정보제공과
방송(대중파, 케이블TV, 위성방송)을 통해 이루어진다.
농산물종합유통정보 시스템 구축은 출범단계, 발전단계, 완성단계 등 3단계로 추진되어야 하는데 첫째,
출범단계에서는 관련기관간 기능연합과 농산물종합유통정보 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전 기반을 조성해되어야 하며, 둘째, 발전단계에서는 효과적인
네트워킹을 통한 정보집중 시스템을 구축하며, 셋째 완성단계에서는 농산물 유통정보의 Hub 역할을 수행할 농산물종합유통정보 시스템을
완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