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호-
dc.contributor.other김창길-
dc.contributor.other안병일-
dc.contributor.other전익수-
dc.date.accessioned2018-11-15T07:44:07Z-
dc.date.available2018-11-15T07:44:07Z-
dc.date.issued2002-08-
dc.identifier.otherC2002-11-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3378-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개발의 목표 3. 연구의 내용 4.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농업경영의 위험관리 이론 1. 위험과 불확실성에 대한 의사결정이론 2. 위험의 계측과 위험관리 방법 3. 위험을 고려한 수리계획 기법 4. 채소경영의 불확실성과 위험요소 제3장 채소농가의 소득 변동 실태 1. 주요 채소의 생산 동향 2. 채소농가의 소득 구성과 소득 변동 실태 3. 주요 채소별 소득 변동의 시계열 분석 제4장 채소농가 소득 변동의 요인 분석 1. 소득변동 요인의 분석 방법 2. 주요 채소의 소득변동 요인분석 결과 제5장 채소경영의 위험 요소와대응 형태 1. 채소경영의 위험요소 2. 채소농가의 위험에 대한 대응 형태 3. 위험관리 형태와 채소 재배면적의 관계 분석 제6장 채소농가의 위�jㅁ에 대한태도 조사결과 1. 채소농가가 직면한 위험요소의 내용 2. 채소농가의 위험에 대한 태도 제7장 채소농가의 위험회피계수 추정 1. 위험회피계수 추정 이론 2. 위험회피계수 추정을 위한 조사설계 3. 위험회피계수 추정결과 4. 위험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제8장 위험을 고려한 채소경영계획 수립 1. 위험관리 전산프로그램의 체계 2. 채소경영계획 전산프로그램의 설치와 작동 제9장 채소농가 소득안정화를 위한 정책과제 1. 채소농업의 전망과 당면과제 2. 채소농가의 소득안정화 관련정책 요 약 문 Ⅰ. 제 목 채소농가 소득안정화를 위한 위험관리시스템 개발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중요성 최근 들어 자연 재해가 빈발하고 아울러 국내 농산물이 부분적으로 과잉 기조를 나타내면서 농가의 소득 안정이 정책 이슈로 제기되고 있으며, 특히 기상 변동이나 시장가격 변동 등 불확실성(uncertainty)과 위험(risk)의 영향을 비교적 많이 받는 채소농가의 경영 문제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 채소경영은 다기작·다품목 생산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사결정 영역이 광범위하며, 따라서 생산과정에서의 자연재해 및 출하시의 가격 파동 등과 같은 위험 요인에 대하여 불완전한 정보를 갖고 의사결정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불확실성에 대한 농업인의 태도와 의사결정 행태는 위험회피적(risk averse), 위험중립적(risk neutral), 위험선호적(risk lover)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며, 농업인의 위험 관리(risk management) 능력이 농가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경영의 불확실성과 위험 요소에 대하여 선진국에서는 여러 가지 확률적 분석기법을 통하여 그 효과를 계량화하고 경영정보로 활용하고 있으나, 국내에서 이 분야의 연구는 양적으로도 미미한 수준이며, 더욱이 영농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불확실성 하의 의사결정 기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최근 농촌 현장에도 개인용 PC가 많이 보급되면서 농업인들도 과학적인 경영관리 기법을 도입하려는 의욕이 강하며, 따라서 불확실성 하의 안정적 소득유지를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전산 프로그램(컴퓨터 S/W)을 개발하여 농업경영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책적인 측면에서, 개방화 진전에 따라 농산물 수급 안정을 비롯하여 농업인들이 안심하고 영농에 종사할 수 있는 농가소득 안전망(farm income safety net) 구축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소득변동이 심한 채소농가의 경영안정을 위한 정책을 체계화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이다. Ⅲ. 연구개발 내용 및 범위 이 연구는 크게 세 가지 분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첫째, 채소농가의 소득변동 실태와 요인을 분석하는 부분이다. 채소경영의 위험요소는 생산, 출하, 가격(유통), 제도적·정책적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위험관리는 사전적 위험관리와 사후적 위험관리로 크게 구분되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농가 입장에서 위험을 사전적으로 분산시키고 위험요인을 제거하기 위해 택하는 가장 일차적이고도 손쉬운 방법은 재배면적 조절이라는 형태이다. 이 연구에서는 주요 채소 31개 품목에 대해 위험 요인과 재배면적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위험 요인을 판별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지난 20년 동안 전반적으로 단수가 감소한 생산위험보다는 실질가격이 하락한 가격위험이나 실질경영비가 증가한 경영위험을 보인 품목이 많았으며, 위험에 대한 대응형태는 생산위험의 경우 위험회피를 보인 품목이 위험중립이나 위험선호를 보인 품목 보다 많았으나, 가격위험과 경영위험의 경우는 위험선호를 보인 품목이 위험회피나 위험중립을 보인 품목보다 많았다. 둘째, 채소농가들이 인식하고 있는 위험요소가 어떤 것이고, 이러한 위험에 대한 태도와 의사결정 행태를 조사분석하는 것이다. 채소농가가 실제로 직면하고 있는 위험은 가격위험과 생산위험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격위험에 대하여 위험회피 여부에 대한 의향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대부분이 위험회피 의향을 보이고 있었으며, 생산위험에 대한 회피여부 의향을 조사한 결에서도 대부분이 회피의향을 보이고 있어 이미 외국의 선행연구에서 알려진 것처럼 우리나라 농가들도 위험회피 성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채소농가의 위험회피계수를 추정하였는데, 위험을 회피하고자 하는 농가의 위험회피계수는 방법에 따라0.9498×10-5∼0.8503×10-5 와 0.2052×10-5 인 것으로 계측되었고, 위험을 회피하는 대신 프레미엄으로 지불할 용의가 있는 금액은 채소농가 전체적으로 100평당 189천원∼158천원 사이인 것으로 계측되었다. 위험회피계수는 주작목의 평균소득이 높을수록, 재배면적이 클수록, 경영주 연령이 높을수록 위험회피 성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농가의 총소득과 주작목 소득의 편차는 작을수록 위험회피 성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채소농가의 위험관리 형태로는 가격위험과 생산위험 관리에 가장 중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험을 고려한 수리계획 모형을 채용하여 농업경영자가 경영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는 전산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여기서 위험관리 모형은 평균-분산(E-V) 프로그래밍 기법을 도입하였다. 즉, 목적함수를 전체 기대 수익에서 위험회피 계수()에 전체 수익의 분산을 뺀 값을 최대화하는 수리계획 기법이다. 이 기법에 의한 경영계획 수립의 절차를 간략히 요약하면, 먼저 농업경영자가 사전적으로 위험에 대한 태도를 입력하게 되면 위험회피 성향에 따라 선택 가능한 품목이 제시되고, 이들 품목에 대하여 제약조건과 기술계수 및 이익계수를 근거로 수리계획법을 통하여 재배면적과 총소득을 시산하는 방식이다. 이 경영계획 수립에는 품목의 범위를 채소류에 한정하고 과채류 16개 품목, 엽채류 8개 품목, 근채류 10개 품목, 양념채소 9개 품목의 총 43개 품목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경영계획 수립을 위한 수리계획 모형에는 강우 확률을 명시적으로 반영하고 작부체계 등을 충분히 고려하면서 작목이 선택되도록 설계하였다. 나아가 전산 S/W 프로그램은 개인용 PC 운용체제에서 농업인들이 쉽게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개발하였고, 농림기술관리센터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다운로드(down load)를 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이 수리계획 모형 S/W 프로그램에는 43개 채소의 최근 10년간(1990∼2000)의 가격, 소득, 경영비 등이 연도별 그래프와 평균치로 제공되고 있는데, 앞으로 농업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품목별 정보가 매년 최신 정보로 갱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이 연구는 기술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정책적인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측사업의 강화하여 파종·정식단계부터 관측정보를 신속·다양하게 전파함으로써 자율적으로 재배면적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생산액이 많고 가격변동이 큰 품목위주로 관측대상품목을 확대하고, 관측모니터를 확대하여 산지상황을 신속하게 파악·분석하여 품목별 생산자 조직, 관련 기관 등에 신속히 전파하고, 수급불안정이 예상될 때에 생산조정 등 조기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 생산기반을 확충하여 안정생산·공급체계 구축해야 한다. 한발·강우 등을 극복할 수 있는 생산기반시설 확충으로 고랭지 등 수원부족지역에 관정, 집수정 등 관수시설을 지원하여 가뭄을 극복하고, 비가림시설 지원으로 장마철 탄저병 등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유통시설을 생산기반과 연계 지원하여 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소형저장고·예냉시설 등 저장시설을 지원하여 출하조절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생산자조직에 의한 생산조정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농산물 수급관리체계를 제도화하여 생산·출하조정 및 수매·방출의 자동작동 체계를 구축하고, 수급 조정에 역행하는 조직과 개인에 대해서는 최저가격 등의 수혜대상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책임과 의무를 동시에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부와 협동조합이 공동으로 수급안정사업자금을 조성하여 산지조합에 지원체계를 조성하며, 산지의 협동조합이 농가와 출하조절 약정을 맺고 약정물량에 대해 출하조절을 실시하여 수급안정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Ⅳ. 연구개발 결과 및 활용에 대한 건의 이 연구는 개방화 시대에 대비하여 채소농가의 소득안정화를 위한 위험관리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따라서 정부와 농업인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먼저, 채소농가의 위험 요인과 관련 요인을 구명하고 위험에 대한 태도를 정량적으로 계측하였으며, 여기서 도출된 요인별 효과는 채소농업과 관련된 시책 및 정책지원의 중요성을 판단하는데 유익한 지표가 될 것이다. 특히 이 연구는 농가 면접조사를 통하여 농업경영자가 인식하고 있는 위험요소와 위험관리 형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미가 크며, 이러한 조사 결과를 통하여 채소농가가 가격위험과 생산위험의 관리에 가장 중점을 두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현재 추진되고 있는 가격안정사업이나 생산기반 정비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논리를 뒷받침하고 있다. 위험관리(risk management) 연구는 일반 경영학 분야에서는 연구 축적이 많아 실천성을 높이고 있는데 비하여, 농업경영 분야에서는 이 연구에서 처음으로 농가조사를 토대로 위험에 대한 태도와 위험회피 계수를 분석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연구의 축적이 적다. 따라서 이 연구의 시도가 농업경영의 위험관리 기술개발에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다음으로, 위험관리 의사결정 모형으로서 채소농가의 경영계획 수립을 위한 전산프로그램을 개발하였는데, 이 프로그램은 개별농가가 어떠한 작목을 선택하여 채소경영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인지 의사결정하는데 유익한 자료가 될 것이다. 특히 농업경영자 스스로가 자신의 위험에 대한 태도를 판단하도록 하고 이에 근거하여 선택 가능한 채소 작목을 선택할 수 있는 의사결정프로그램을 구축하였으며, 나아가 이용자가 PC와 대화하면서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특히 기술계수에 대해서는 영농 실정에 알맞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석 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피드백 체계를 갖추었다. 따라서 현재의 채소농가가 아니더라도 앞으로 채소 농사를 하고자 하는 사람들도 경영설계를 위한 도상 연습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 전산프로그램은 금번 연구로 완결된 것이 아니며, 위험관리에 관심 있는 연구자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보완되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분석한 채소류의 품목별 소득변동 실태와 관련요인 자료가 지역농업의 계획 수립과 영농 지도에도 널리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CONTENTS Ⅰ. Introduction Ⅱ. Risk Factors and Risk Management Theory 1. Decision Making Theory under Risk and Uncertainty 2. Risk Measuring and Risk Management Methods 3. Mathematical Programming with Risk 4. Uncertainty and Risk Factors in Vegetable Farming Ⅲ. Current Situation of Vegetable Farming Income 1. Current Situation of Major Vegetable Production 2. Income Components and Variations of Vegetable Farming 3. Current Situation of Major Vegetable Farming Income Ⅳ. Analysis of Income Variation Factors in Vegetable Farming 1. Methods for Analyzing Factors of Income Variations 2. Analytical Results of Income Variation in Major Vegetables Ⅴ. Risk Factors and Countermeasures for Vegetable Management 1. Risk Factors of Vegetable Farming Management 2 Risk Behaviors of Vegetable Farming Households 3.Risk Management and Acreage Variation Ⅵ. Risk Recognition and Behaviors of Vegetable Farming Households 1. Risk Factors and Reality Confronting with Vegetable Farming 2. Risk Attitudes of Vegetable Farmers Ⅶ. Estimation of Vegetable Farmers' Risk Aversion Coefficients 1. Theory of Estimating Risk Aversion Coefficients 2. Survey Planning for Estimating Risk Aversion Coefficients 3. Estimated Results of Risk Aversion Coefficients 4. Analysis of Factors for Influencing Risk Aversion Ⅷ. Management Planning of Vegetable Farming under Risk 1. Systems of Computational Programs for Risk Management 2. Computational Programming Operations of Vegetable Farming Management Ⅸ. Policy Directions for Stabilizing Vegetable Farming Incomes 1. Prospects and Urgent Tasks of Vegetable Farming 2. Income Stabilization Policies for Vegetable Farmers SUMMARY Ⅰ. Title Developing Risk Management System for Stabilizing Vegetable Farming Income Ⅱ. Significance and Objectives of the Study Risk is widely seen as an issue of critical importance to farmers' decision making and to policies affecting those decisions since it adds a considerable degree of complexity to decision analysis. In reality, vegetable farming management shows a characteristic of multi-cropping and multi-items on the production aspect and so covers a wide scope of decision making process. Thus, vegetable farmers make a decision given risky and imperfect information on natural disasters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price fluctuation in the shipment process. Farmers' attitudes towards risk show a various spectrum such as risk averse, risk neutral, and risk lover. Because farmers vary in their attitudes towards risk, risk management cannot be viewed within a "one size fits all" approach. Different farmers confront different situations and their preferences towards risk and their risk-return tradeoffs have a major effect on decision making in each given situation. Although farmers in similar situations can differ greatly in their response to risk, they need some more qualitative information and managerial tool using user-friendly computer software for risk management. There is a very limited domestic research work in farmers' decision making process under risk and uncertainty although major advanced countries have a lot of studies on risk measures using econometric and stochastic theories. The overall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isk management system for stabilizing vegetable farmers' income. The specific objectives are to identify risk factor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confronted by vegetable farmer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estimate vegetable farmer's risk aversion coefficients using econometric and mathematical programming approaches. Ⅲ. Content and Scope of the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different fields as follows: First, it covers analyzing current situation and factors of income variations in vegetable farming sector. There are many sources of risk in vegetable farming sector, ranging from production, shipment, price, and marketing risk to institutional risk including policy change. Vegetable farmers have many options such as ex ante and ex post approaches in managing agricultural risks. On the farmer's aspect, the most feasible approach is an acreage control with risk response. This study identified risk factors and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risk factors and acreage for 31 items of vegetables. The analytical result showed that price risk with real price down and management risk with real cost increase there were more a predominant tendency than production risk with yield decrease during last twenty years. There were more vegetable items showing that risk preference appeared to be more prevalent risk attitude in managing production risk amongst Korean vegetable farmers. However, in managing price and management risk, risk neutral or risk averse appeared to be more prevalent than risk lover. Second, it was identified risk factors confronted by vegetable farmers and analyzed their risk attitudes and decision making process using survey data. The analytical showed that the most prevalent risk in vegetable farmers is price and production risk. As shown in other foreign studies, most of farmers showed a tendency to risk averse attitude. The Arrow-Pratt risk aversion coefficient was found to be from 0.9498×10-5 to 0.8503×10-5 and 0.2052×10-5 depending on applied risk averting method. These figures implies that most vegetable farmers are averse to risk when faced with risky outcomes. Risk premium which equivalent to willingness to pay for risk aversion was found to be 158,000∼189,000 per 100 pyeong (Korean unit of area, 1 pyeong = 1.8㎡) based on average vegetable farming household. The vegetable farmers with more increasing average income, more wide acreage, more growing older, showed a tendency to be more risk averse and emphasized on production and price risk in their risk managerial decision making process. Third, it developed a computation program for risk management using a mathematical programming tool. The methodology in this study has been employed to mean-variance model (or called E-V model) with an objective function maximizing the value of overall expected value. The procedure for planning of farm management is on inputting each farmer's risk attitude on the screen as the first step and then appears possible options of crop items. Then, the program would be suggest an optimal solution subject to constraint, technology coefficient, and profit coefficients. The scope of the crop commodities covers 43 vegetable items such as 16 kinds of fruit-bearing vegetables, 8 kinds of leafy and 10 kinds of stem vegetables, 10 kinds of root vegetables, and 9 kinds of spice and culinary vegetables. In particular, the mathematical programming for management planning in this study clearly considered the probability of regional rainfall and feasible cropping system. Finally,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risk management in vegetable farming sector. In dealing with risky situation on the aspect of policy development, the Agricultural Outlook Project on forecasting prices and supply-demand of vegetable commodities should be enhanced to adjust vegetable acreage. In addition, autonomous production adjustment by vegetable farmers' organization should be promoted for a stable supply and demand control. Ⅳ. Application of the Result and Sugges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vegetable farmers' risk management tool and policy makers in their decision process for income stabilization in an era of import liberalization. In particular, using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on risk attitude and identifying risk factors in vegetable farming, it provides a guideline of risk management in vegetable farming sector for farmers and policy makers. This study has implication on developing agricultural policies on vegetable farmers' risk management. olicy makers and planners need to consider farmers' risk averse behavior not only when setting policies and programmes directly affecting the riskiness of farming, such as price stabilization. Developed program in this study is very useful for decision making on crop selection by vegetable farmers under risky situation using user-friendly talks with personal computer and then applying for mathematical programming application. With minor adjustments, the risk decision model could be expanded to regional farm planning and extension.-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채소농가 소득안정화를 위한 위험관리시스템 개발-
dc.title.alternativeDeveloping Risk Management System for Stabilizing Vegetable Farming Income-
dc.typeKREI 보고서-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Jeongho-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Changgil-
dc.contributor.alternativeNameAhn, Byeongil-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 Iksu-
dc.subject.keyword채소-
dc.subject.keyword농가소득-
dc.subject.keyword위험관리시스템-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수탁보고서 (C)
Files in This Item:
38770p.pdf (1.47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