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우환-
dc.contributor.other장철수-
dc.contributor.other정정길-
dc.contributor.other손철호-
dc.date.accessioned2018-11-15T07:44:18Z-
dc.date.available2018-11-21T01:19:50Z-
dc.date.issued2002-12-
dc.identifier.otherC2002-27-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3394-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편 연구의 개요제 1 장 연구의 개요 1. 연구 배경과필요성3 2. 연구의 목적5 3. 연구의내용6 4. 연구 방법7제 2 편 중국 밤 산업 동향11제 2 장 중국 밤나무 재배 동향제1절 밤나무의 종류 및특성 1. 전 세계 밤나무종류13 2. 중국의 밤나무 종류14 제2절중국의 밤나무 분포와 품종자원 현황 1.분포17 2. 지방별품종특성19 3. 중국의 주요 보급품종 및특성25 제3절 중국내 한국산 밤나무의 공급 및재배현황 1. 한국산 밤나무의 종류 및특성27 2. 중국내 한국산 밤나무의공급현황30 3. 중국내 한국산 밤나무의 재배현황31제 3 장 중국 밤 생산 및 관리 동향 제1절 밤 생산 실태 1.세계의 밤 생산동향과 중국의 역할38 2. 중국의 밤생산동향40 제2절 중국의 밤나무 관리실태 1. 밤나무의관리개요53 2. 중국의 밤나무 관리실태55제3절 중국의 밤나무재배 지원실태와 밤 관련 연구동향 1. 중국의 밤나무 재배지원실태57 2. 최근 중국의 밤재배 및 연구추진동향59제 4 장 중국의 밤 유통, 소비 및 가공산업 동향 제1절 중국의 밤 유통과 소비실태 1. 유통동향692. 소비동향73 제2절 중국의 밤 가공산업 실태75제 5 장 중국의 밤 수출·입 동향7 제1절 중국의 밤 수출 입 추진과정79 제2절 중국의밤 수출 입 실적 1. 수출 입동향81 2. 한국의 대중국 밤 수출 입실적83 제3절 밤의 통관 및 보조금제도 1. 중국의 밤수입통관제도84 2. 수출장벽 및 보조금85제 3 편 중국 밤 산업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방안제 6 장 중국 밤 산업의 전망제1절 중국의 밤 생산 전망89 제2절 유통·소비·가공산업전망 1. 유통전망91 2. 소비전망92 3. 가공산업 전망92 제3절 수출입 전망93제 7 장 중국 밤 산업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방안 제1절 중국의 밤 산업이 한국에 미치는영향95 제2절 국내 밤 산업의 대응방안1. 한국 밤 산업의 현 위치98 2. 대응방안의기본방향99 3. 생산분야대응방안103 4. 소비·유통·가공산업대응방안108 5. 수출 입대응방안111 6. 산림정책적 대응방안114참고문헌117부록 1 중국의 밤나무 보급품종 종류와특성119부록 2 대중국 밤 수출 입현황132부록3 제1차 중국 출장결과136부록 4 제2차 중국 출장 결과149요 약1. 중국의 밤나무 재배 및 밤 생산동향■ 중국은 세계적인 밤 생산국으로 매년 밤 생산량이 급증하는 추세세계의 밤 생산량은 1985년 이후 증가하는 추세이며, 세계 밤 생산량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급증하는추세임.- 세계 밤 생산량 : 414천 톤('85) → 970천 톤('01)- 중국이 차지하는 비율 : 20%('85) →63%('01)- 2001년 현재 중국의 밤 재배면적은 133만ha로 추정되며, 연간 생산량은 615천 톤으로서 1986년 이후 증가하기시작하여 1990년대 중반 이후 연간 10% 이상의 급증 추세를 보임.- 최근 15년 동안 6.5배 증가 : 1986년(95천 톤) →2001년(615천 톤)- 주요 밤 생산 지역은 山東省(146천 톤), 河南省(85천 톤), 湖北省(70천 톤), 安徽省(45천 톤)등이며, 10천 톤 이상 생산지역도 14개성에 달함. 최근 중국은 밤나무 품종개량 및 재배관리의 강화로 단위 면적당 생산량의증가뿐만 아니라 大粒種 밤 재배면적이 급속히 증가함.- 중국산 밤 품종 중에도 한국산 밤과 크기 면에서 유사한 밤 품종이 보급되고 있고,또한 다량 생산되고 있음.- 중국이 군밤용 중심의 밤 생산에서 깐밤용 밤 생산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어 깐밤시장에서의 한국과 경쟁이불가피한 실정임.■ 한국산 밤의 중국 내 밤 재배 및 생산의 증가 산동성 일조시의 황동진에 한국산 계통의 밤나무가 1996년부터 Y통상을 통해 종자, 묘목, 접수의형태로 유입되어 현재 1,000ha 정도의 밤나무단지가 조성됨.- 1999년부터 한국산 밤을 생산하기 시작하여 2000년도에 100톤,2001년도에 500톤을 생산하였고, 2002년에는 2,500∼3,000톤을 생산계획중임. 요령성 단동시 일원에 한국 및일본산 계통의 밤나무 10여종이 13천 ha 정도 재배되고 있으며, 연간 2,000톤 정도 생산되고 매년 증가함. 산동성일조시의 경우 2000년 현재 약 2,000ha의 한국·일본산 밤나무를 재배하고 있지만 조만간 3,300ha까지 밤나무 재배면적 확대계획- 산동성 임기시의 경우 약 670ha의 한국밤 생산기지를 조성할 계획■ 중국의 밤나무 재배관리의 강화와 지원 확대 재배관리 형태가 야생 채취형에서 집약재배형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밤 재배 주산지를 중심으로 밤나무재배관리가 강화되는 추세임.- 실생묘 번식에서 접목묘 번식에 의한 집단재배로 전환 확대되고 품종선발 등 식재 관리가 급속히 확산되는경향 중앙정부차원에서 생산농가에 대한 직접 지원은 없지만 밤나무 육종 등 기술개발 분야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이 이루어지며,지방정부차원에서는 다양한 지원책이 강구됨.- 밤 연구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기관에서 선발육종, 품종개량, 저장가공기술 개발, 밤가공제품생산 등 다각적인 연구를 수행-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생산단지의 조성, 영농자금지원, 토지자원세 면제, 생산기반시설 지원 등 다양한지원정책을 강구하고 있음.2. 중국의 밤 유통 소비 가공산업 동향 중국의 밤 유통은 재배농가 → 중간 수매기구 → 대외무역회사 또는 도매상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보이며,일부는 재배농가에서 직접 도매상이나 소비자(시장, 가공업체)로 이어지는 유통구조를 보임. 중국에서 밤은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있으며, 주로 소비철인 가을과 겨울에 간식용으로 소비되고, 1차 가공을 통해 상품화된 후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임. 외국의 밤가공기술이 유입되어 밤 가공제품이 생산되고 있으며, 많은 식품업체들이 밤을 이용한 가공제품의 개발에 노력하고 있음.- 한국 밤가공업체들의 중국 진출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 생밤이 중국에 수출된 후 현지에서 가공되어 중국 내 소비 또는재수출됨.3. 중국의 밤 수출입 동향 2001년까지는 생밤수출에 대해 국가의 쿼터허가증관리(EL제도) 실시로 5대 국영무역업체가 담당함.그러나 중국의 WTO가입으로 2002년부터는 수출이 자유로워져 수출 루트가 다변화될 전망임. 밤 수출은 생밤과 조제밤의 형태로수출되며, 생밤은 30만 톤 정도가 일본 중심으로 수출되고, 조제밤은 3∼4천 톤이 대만 중심으로 수출됨.4. 중국의 밤 산업 대응방안■ 국내 밤 생산안정정책 기조 유지 중장기적으로 현행 10만톤 밤 생산 기조를 유지하되 재배관리의 강화와 우량품종의 확대 보급 등을 통한단위면적당 생산량 증가를 통해 재배면적은 부분적 조정- 현재 3만톤은 깐밤 수출용, 7만톤은 내수용- 장기적으로 3만톤은 깐밤수출용, 7만톤은 내수용, 가공제품 수출용으로 장기 비전 강구 재배면적의 향후 대책은 밤나무 재배자 실태조사 등을 통한산지체제의 분석결과를 통해 수립- 실태조사를 통해 단위면적당 생산량 조사와 방치 또는 방치 가능 밤나무 재배지를 파악하여 향후 재배면적대책 수립에 활용■ 중국 밤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 강구 및 생산안정정책 유지 명품(고 품질) 밤 생산시스템 구축- 우량 기능성 품종 보급- 산성화된 밤나무림 토양의 회복 및 무농약시스템의 적용- 재배관리의 강화- 명품의 홍보(밤 박람회, 밤 축제등) 생산기반의 확충- 밤나무 작업로 시설의 개선지침 수립 및 개선 지원- 밤나무재배농장 규모의 확대 및 규모확대자금 지원 강구- 밤나무 전문작업단 육성- 기계장비의 개발 및 보급밤나무 묘목의 유통체계 확립- 우량묘목의 생산체계 확립- 밤나무 묘목의 유통 시스템구축 친환경 밤 생산시스템의 확립- 기능성·내병해충성 신품종의 개발-양분종합관리시스템 및 해충종합관리시스템의 조속한 확립- 무공해 임산물의 인증제 도입 밤나무 경영개념의도입- 농장개념의 도입- 규모별 경영모델 정립 밤 재배관리 체제의 확립과지원체계의 확립- 전국적 밤 실태조사를 통한 밤 재배관리 체제의 확립- 방치 밤나무림의 관리 강구- 밤나무재배의 지원제도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통해 지원제도 실효성 도모■ 국내 밤 가공업체의 경쟁력 강화 국내 밤 가공업체의 전략적 중국진출이 가능하도록 하며, 국내 밤 가공산업의 보호를 위하여 밤 가공산업의활성화 및 밤 가공제품의 다양화 중장기적으로 밤 가공제품의 다양화를 위한 밤 가공기술 및 제품 개발 관련 연구의 강화 및가공시설투자의 지원 저가 중국산 냉동 밤 또는 깐밤 수입의 확대가 전망되기 때문에 국내 밤 가공업체의 보호를 위한 냉동 밤등에 대한 관세율 조정 등 신중한 대처■ 수출 확대를 위한 밤 가공제품의 개발 및 시장개척 1차 깐밤가공수출중심에서 2·3차고급가공제품의 개발을 통한 시장개척과 수출시장의 다변화 중단기적으로 안정적인 원료공급 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깐밤 수출시장을지속시키고, 장기적으로 깐밤 중심의 수출구조에서 밤 가공제품으로의 수출구조의 변화를 도모하여 일본시장 중심의 수출에서 북미 등 수출선의 다변화강구■ 밤 전문연구기구 및 전담 부서의 설립과 인력확보 시대적인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중장기적인 밤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밤 연구 관련 전문연구기구의 설립과 전문인력의 확보가 절실히 요구됨.- 국내 밤 생산 유통실태와 해외 밤 산업의 동향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태조사를 통하여 장·단기 정책적 대응방안 모색- 국내 밤 생산업자와 수출업체의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 생산, 유통, 가격, 수출 입 동향에 관한 장·단기 관측 정보 제공-
dc.title중국의 밤 산업 동향-
dc.title.alternativeTrends of the chestnut industry in China-
dc.typeKREI 보고서-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ang, Woowha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ang, Cheolsu-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ung, Chunggil-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on, Cheolho-
dc.embargo.terms9999-12-31-
dc.embargo.liftdate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수탁보고서 (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