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송미령 | - |
dc.contributor.other | 박시현 | - |
dc.contributor.other | 이규천 | - |
dc.contributor.other | 성주인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7:44:23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7:44:23Z | - |
dc.date.issued | 2002-12 | - |
dc.identifier.other | C2002-37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3401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 차 제 1 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과 목적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3 3. 연구의 추진 체계5 제 2 장 농촌지역의 여건 변화와 도·농 통합 1. 농촌의 여건 변화와 전망7 2. 농촌의 새로운 가치와 도·농 통합적 농촌발전전략14 3. 외국에서의 도·농 통합적 발전전략16 제 3 장 도·농 통합형 정주기반 구축의 의의 1. 도·농 통합형 정주기반 논의의 역사적 배경과 전개 과정26 2. 도·농 통합형 정주기반 구축의 정의와 필요성37 3. 도·농 통합형 정주기반 분석의 틀44 제 4 장 지역 유형화와 농촌지역의 유형별 특성 1. 지역 유형화의 전제와 방법45 2. 요인분석 결과의 해석52 3. 각 지역 유형별 농촌 특성 비교63 4. 소결69 제5장 농촌지역의 정주 여건과 특성 1. 사례지역 선정과 접근 방법72 2. 농촌지역 정주 여건의 주요 특징75 3. 도·농 통합형 농촌 정주기반 형성과 농촌지역발전111 제6장 도·농 통합형 농촌 정주기반 구축을 위한 방향과 과제 1. 도·농 통합형 농촌 정주기반 구축의 방향 설정118 2. 도·농 통합형 농촌 정주기반 구축을 위한 전략의 모색124 3. 도·농 통합형 농촌 정주기반 구축을 위한 계획적 과제 153 부록 Ⅰ 시 군별 요인점수159 부록 Ⅱ 주민 대상 설문조사표164 참고문헌171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도·농 통합형 농촌 정주기반 구축방안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The Rural Settlement Development based on Urban-Rural Interactions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Song, Miryung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Park, Sihyun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Gyucheon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Seong, Jooin | - |
dc.subject.keyword | 도농통합 농촌발전전략 국토종합계획 농업농촌발전계획 농촌정주기반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