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박시현 | - |
dc.contributor.other | 송미령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7:46:56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7:46:56Z | - |
dc.date.issued | 1999-10 | - |
dc.identifier.other | D136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3656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 차 제1편독일편 제1장 마을 조성과 환경 들어가는 말 농촌마을은어떻게 변화했는가? 오늘날 우리는 미래의 우리 마을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가? 마을의 조경 그러면 무엇을 할 것인가? 어디에 특히 중점을 둘 것인가? 제2장 미래의 생태마을 시범사업 생태마을 개발의 추진분야 생태지향적 마을개발의 절차 시범사업 성과의 농촌개발수단 적용가능성 제2편 미국편 제3장 지속가능한 농촌계획의 시도 시작하는말 정부의 정책 프로그램 민간운동 차원의 노력들 제4장 미국의 생태마을 팜 마을의 위치와 형성 마을 주민들의주요 소득기반 마을의 물리적, 생태적 환경정비 생태마을 교육센터 생태적 마을 가꾸기의 동인: 마을 공동체의 역할 제3편 일본편 제5장 환경시대의 농촌정비 국토구조의 변화와 농촌환경을 둘러싼 상환 농촌 생태계 재생의 분석틀 농촌 환경정비계획 생태마을 정비 사업 제6장 일본 群馬縣 川場村의 생태마을 계획 사례연구의 개요 사례연구 : 川場地區 제4편 프랑스편 제7장 프랑스의 지속적 개발계획과 농업 및 농촌개발 들어가는 말 지속적 개발계획 실험적인 시행 결론 | - |
dc.title | 외국의 환경친화적 농촌정비 -독일, 미국, 일본, 프랑스의 사례- | - |
dc.title.alternative | Environment-friendly rural village improvement in foreign countries - Case examples of Germany, the U.S., Japan and France -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Park, Sihyun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Song, Miryung | - |
dc.subject.keyword | 독일 | - |
dc.subject.keyword | 미국 | - |
dc.subject.keyword | 일본 | - |
dc.subject.keyword | 프랑스 | - |
dc.subject.keyword | 농촌정비 | - |
외국의 환경친화적 농촌정비 -독일, 미국, 일본, 프랑스의 사례-.pdf
결과 데이터 / 9.06 M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