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date.accessioned2018-11-15T07:46:56Z-
dc.date.available2018-11-15T07:46:56Z-
dc.date.issued1999-10-
dc.identifier.otherD137-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3657-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들어가는 말제 2 장 농촌정비 정책의 추진 실태1. 1960년대: 지역사회개발2. 1970년대: 새마을 운동3. 1980년대: 정부주도 하향식 개발방식 정착과 지역별 종합개발방식 시도4. 1990년대: 농촌정비 사업의 제도화 및 소지역 종합개발방식의 확산제 3 장 농촌의 현황과 농촌정비를 둘러싼 여건1. 우리 농촌의 현황2. 기존 농촌정비 정책의 한계3. 농촌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기대제 4 장 환경친화적 농촌마을의 정비 방향1. 환경친화적 농촌마을 정비의 필요2. 환경친화적 농촌마을의 개념 정림3. 정책 시스템으로서의 환경친화적 농촌마을 정비제 5 장 환경친화적 농촌마을 정비를 위한 정책 과제1. 정책목표의 수정2. 정책수단의 개선3. 구체적 행동 과제 및 시범적 정책 프로그램 제안제 6 장 외국의 환경친화적 농촌정비의 사례와 시사점1. 외국의 환경친화적 마을2. 외국 사례의 시사점부록: 미래 우리 농촌마을의 모습은 어떠해야 하는가?-
dc.title환경시대의 농촌정비 방향과 과제-
dc.title.alternativeDirection and tasks for improving rural villages in the era of environment-
dc.typeKREI 보고서-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연구자료 (D)
Files in This Item:
환경시대의 농촌정비 방향과 과제.pdf (2.99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