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KREI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7:47:41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7:47:41Z | - |
dc.date.issued | 1999-12 | - |
dc.identifier.other | E027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3731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Contents Preface Chapter1 Agricultural Situation 1. Natural Environment and Population 2. Agricultural Resources 3. Agricultural Human Resources 4. Economic Development and Agriculture Chapter 2 Agricultural Economy 1. Agricultural Production 2. Farm Economy 3. Agricultural Marketing 4. International Trade 5. Farmers'' Cooperative Organizations Chapter 3 Commodities 1. Grains 2. Livestock 3. Horticulture 4. Forestry Chapter 4 Rural Development 1. Rural Development 2. Rural Social Welfare Chapter 5 Agricultural Policy Reform 1. History of Agricultural Administration 2.Implication of the Uruguay Round Agreement on Agriculture 3. Major Agricultural Policy Reform Chapter 6 Agriculture in the 21st Century 1. Prospect and Vision of Agricultural Policies 2. Agricultural Restructuring Focused on Family Farm 3. Sustainable Agriculture 4. Food Security 5. Agricultural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6.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Agriculture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농업의 현황과 발전, 그리고 농업정책의 역할을 외국인에게 소개하는 것이다. 특히 이 연구는 WTO체제의 강화, 농업부문의 강도 높은 구조개선 등 국내외 환경변화 속에서 한국농업이 어떻게 대응하며 발전해 왔는지, 분야별 전문가의 시각에서 진단하고 있다. 먼저 한국의 자연환경과 자원 현황을 소개하고 경제발전 과정에서 농업부문이 기여한 바를 밝혔다. 이와 더불어 농업생산과 농가경제에 관해 전반적으로 분석했고,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농산물 유통체계와 국제무역, 그리고 농업협동조합에 관해 살펴보았다. 곡물, 축산물, 원예, 산림 등 품목 중심으로 수급현황과 관련 정책에 관해 심층 있게 분석했으며, 관심이 늘고 있는 농촌개발과 복지부문도 자세히 다루었다. 또한 역사적인 흐름과 UR 농업협정 이행과정 속에서 진행되어온 농업정책과 그 개혁 내용과 성과를 담았다. 끝으로, 21세기를 맞는 한국농업의 비전을 제시했는데, 농업정책, 가족농, 지속 가능한 농업, 식량안보, 남북 농업협력, 국제협력 등이다. | - |
dc.title | Agriculture in Korea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REI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