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의 실태와 대책

영문 제목
The Effective Measures of Preventing and Extinguishing Forest Fires
저자
류장혁이광원
출판년도
1996-01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제2장 산불의 개념과 산불 방지시책의 변천
1.
산불의 의의와 개념
2.
산불 방지시책의 변천

제1편 산불의 실태와 발생요인

제3장 산불 발생 실태와 피해면적
1.
산불 발생 실태
2.
최근 5년간 산불 발생 실태
3.
봄철 지역별 산불 발생 실태

제4장 산불 발생 원인과 피해 규모
1.
원인별 산불 발생 실태
2.
지역별 원인별 산불 발생 실태
3.
지역별 원인별 월별 산불 발생 상황
4.
산불 피해 규모와 피해액

제5장 산불 발생 영향인자와 발생요인
1.
산불의 영향과 피해
2.
산불 발생 결정요인
3.
산불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인자

제2편 산불 예방 및 진화대책

제6장 산불 예방 및 방지대책
1.
산불 예방의 필요성
2.
산불 예방과 방지체계 확립
3.
산불 예방 기본조치와 행동지침
4.
산불 위험 취약지 관리
5.
산불 예방 홍보와 교육

제7장
산불 진화대책과 진화조직
1.
산불 조기발견 및 신고체제
2.
산불 진화대 조직 운영
3.
산불 발생 신고와 진화

제8장 산불 진화방법과 효율적 진화전술
1.
진화의 3원칙과 진화방법의 종류
2.
직접 진화방법
3.
항공기에 의한 공중진화
4.
간접 진화방법
5.
야간 산불 진화방법
6.
뒷불 정리

제9장
결 론

록 산불 진화 실기능력 배양 기동훈련 시나리오 사례
참고문헌



(1) 산불 발생 실태와 원인
○ 산불 통계가 시작된 1957년 이후 1995년까지 29년간 총 10,803건의 산불이
발생하여 146,995ha의 산림을 소실, 한해 평균 300.1건의 산불이 발생하여
5,068ha의 산림이 소실된 셈이다. 계절별로는 전체 산불의 절대다수인 77%가
봄철에 발생하고 있으며, 다음이 겨울로 10%, 여름에 7%, 가을에 6%로 가장 적다.
○ 월별 산불 발생 상황을 보면 2∼4월인 봄에 발생건수의 76%, 피해면적의 86%로
건수와 피해면적 모두 가장 많다. 다음으로 11∼익년 1월인 겨울에 건수의 11%,
피해면적 8%, 5∼7월인 여름은 건수의 7%와 면적의 4%를, 8∼10월인 가을에는
건수의 6%, 면적의 2%로 사계절중 가장 적게발생한다.
○ 요일별로는 일요일의 산불 발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평균적으로
일요일의 산불발생이 21%로 가장 많고, 월요일에 16%, 화, 수, 목요일에 각 13%,
금, 토요일에 각 12%로 가장적게 발생되고 있다. 대체로 일요일과 월요일을 합한
2일간에 전체 산불의 37%가 발생하고 있다.
○ 시간별로는 1일중 14시부터 18시까지 오후 시간대에 전체 산불 발생 건수의 가장
많은 49%가 발생하고 있다. 다음은 정오에 38%로서 11시부터 18시까지의 정오와
오후 시간대에 87%가 발생되고 있다. 임내공간이 충분히 더워지고 건조한 오후
시간대에 산불이 많이 발생한다.
○ 1979년 이후 총 산불 발생 1,063건중 기타 원인을 포함한 거의 100%가 인간
활동과 관련된, 즉 사람에 의해 산불이 일어나고 있다. 그중 반수에 해당하는
가장 많은 49.0%가 입산자 실화에 의한 산불 발생으로 밝혀지 고있다.
(2) 산불 피해 규모와 피해액
○ 지난 1953년 이후 산불 피해면적은 146,995ha에 소실된 피해재적은 268,
715m3으로서 매년 평균 8.142.8m3의 산림을 소실하였다. 1979년 이후 17년동안 총
산불 피해면적은 16,885ha이고 재적피해 55,446m3에 피해액은 2,220,742천원이었다.
산불이 나면 산림 ha당 131,500원의 피해를 보는 셈이다.
○ 산불 피해액은 산림청 예규 산불 종합 지침에 의거 산정하고 있는데, 산림
피해액의 산정방식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는 산불에 의한 재적
피해만을 피해로 보고 있다는 점이다.
○ 1995년 산불 피해를 실제 계산한 결과 ha당 입목피해 440,200원과 피해지를 완전
복구하는데 필요한 조림 육림비 m2당 696원, ha당 6,903천원을 피해복구비로 계상할
경우 직접피해만 ha당 약 7,343천원이 된다. 여기에 1990~94년 산불 발생시 ha당
동원인력 148명에 대한 인건비 4,825천원과 헬기 사용비 7,365천원을 합한
12,190천원이 순수한 개념의 간접 피해액으로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직·간접 피해액을 합한 총산불 피해액은 19,533천원이 된다. 이를 1995년
산불 피해 면적 1,013ha에 대입하면 1995년 총산불피해액은 20,232,852천원이 나온다.
이는 산림청이 채용한 산정방식에 의해 산출된 450,678천원에 비하여 44.9배 많은
액수이다.
(3) 산불 발생 결정요인과 영향인자
○ 산불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수하게 많다. 그러나 이를 가장 단순하게
일반화한다면 산불 발생과 피해를 결정하는 요인은 산불 발생건수와 건당
피해면적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산불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산불 발생건수 자체를 줄이거나 건당 피해면적을 줄이는 방법이다. 산불
발생건수를 결정하는 요인을 보다 단순화하면 산불 발생건수는 인구증가, 소득 수준,
여가시간, 관광 인구, 강수량, 전년도 산불 발생건수 등 6가지 요인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 여기서 산불 발생 결정함수식을 일반화한다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MF = f (Pg, Ni, Lt, Lp, Ra, Ff, Fnp, . . . )
MF; 산불 발생건수 Pg; 인구
Ni; 소득 수준 Lt; 여가시간
Lp; 관광인구 Ra; 강수량
Ff; 산림내 가연물의 크기
Fnp; 전년도 산불 발생건수
○ 1973년부터 1995년까지 23개년간의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산불 발생
결정함수식을 회귀방정식에 의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ln Mf=28.456+1.436lnPn-1.938lnRa+0.528lnVf -1.158lnFnp
(4.169)** -5.386)** (7.123)** (-8.167)**
R2 = 0.894 D.W = 1.090
○ 상기 모형에 의하면 인구, 즉 입산 인구와 산림 축적이 증가하면 산불 발생이
증가하는 인구증가와 산림 축적량의 탄성치가 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강수량이 증가하고 전년도 산불 발생건수가 크면 당해년의 산불 발생건수가 감소하는
강수량과 전년도 산불 발생 탄성치가 부(-)로 나타났다. 추정된 함수식에 의하면
다른 여건의 변화가 없는 한 인구가 10% 증가하면 산불은
14.3% 증가하며 산림 축적이 10% 증가하면 산불은 5.3%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5월간의 강수량이 10% 증가하면 산불 발생은 19.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전년 대비 전년도 산불 증가율이 10% 증가하면 산불은 11.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 피해면적에 영향을 미치리라고 생각되는 영향인자를
선택하여 산불 피해면적 결정함수식을 구한 결과는 다음과같다.
ln DAf = 4.784 - 0.443 lnNPf - 1.445 lnHn + 0.597 lnVf
(-5.153)** (-4.584)** (2.668)
R2 = 0.83 D.W = 1.292
○ 상기 모형에 의하면 산불 진화인력과 헬기 보유대수가 증가하면 산불 피해면적이
감소하는 진화인력수와 헬기 보유대수의 탄성치가 마이너스(?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림 축적량이 증가하면 산불 피해면적은 증가하는 산림축적의 탄성치가 정(+)으로
나타났다. 추정된 모형에 의하면 다른 여건의 변화가 없는 한 진화인력이 10%
증가하면 산불 피해면적은 4.3 % 감소하며, 헬기 보유대수가 10% 증가하면 산불
피해면적은 14.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림 축적량이
10% 증가하면 산불 피해면적은 5.9%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앞으로 산불 발생을 줄이고 산불 피해를 줄여 나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강수량이
적은 봄철, 특히 임내습도가 낮은 시기를 산불 발생 위험기로 보고 이에 적극 대응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입산 인구에 대한 적절한 통제와 교육을
강화하고 대국민 홍보활동에도 전력을 기울여 나가야 할 것이다. 발생한 산불에
대해서는 조기에 산불을 진화할 수 있는 조기발견 신고체제의 확립과 인력 진화와
함께 현대적 진화장비를 갖춘 헬기의 확보 및 효율적 진화전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발간물 유형
KREI 보고서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3970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정책연구보고 (P)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Files in This Item:
산불의 실태와 대책.pdf (6.14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