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이장호 | - |
dc.contributor.other | 이재성 | - |
dc.contributor.other | 남수정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7:54:07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7:54:07Z | - |
dc.date.issued | 1991-12 | - |
dc.identifier.other | R252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324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연구의 목적 농가경제조사는 농가경제의 동향과 경제사회의 제 변천에 따르는 농업경영의 구조 변화를 파악하여 농업경영의 개선, 농어촌소비수준의 측정, 농가경제의 지표 및 패리티지수의 산출 등 농업정책 수립과 국민소득 추계를 위한 기초자료 및 농업문제 연구의 실증적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농가경제조사 시스템은 자료의 저장 및 제공방법이 생산 위주의 시스템이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농업정보시스템의 분석 및 설계의 구체화작업의 일환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농가경제조사의 시계열 데이터를 정비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최종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USER INTERFACE의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2.연구방법 구체적이고 실질적이며 현업부서에서 사용가능한 데이터 베이스를 개발하기 위해서 우선 기존의 개발모형(System Development Life Cycle)을 검토하여 개발단계별 모형의 특성을 정리하였으며, 개발단계표준화 및 데이터 베이스의 Documentation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농가경제 데이터 베이스를 이미 공표된 농가경제 결과보고서의 내용을 수록한 책자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과 농가소득, 가계비, 농가자산, 부채동향 등을 포함하는 농가경제 동향정보 시스템으로 구분하여 설계하였다. 또한 이들 데이터 베이스에 각종 모형을 연결하여, 직접 자료의 분석이 가능토록 하였다. 3. 주요 연구내용 (1) 농가경제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의 현황 분석 농림수산부에서 조사하고 있는 현행 농가경제 조사업무의 흐름도를 검토하였으며, 농가경제 조사자료의 이용 현황을 이용기관, 주기, 이용내역, 이용자료의 형태, 이용목적에 따라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현행 농가경제조사 시스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검토하여 효율적인 자료 이용방안을 제시하였다. (2) 농가경제 책자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농림수산부에서 이미 공표하여 발간된 농가경제조사 결과보고서의 시계열자료를 정리하여 시스템 계층구조, 화면구조 및 출력화면을 설계하고 데이터 베이스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데이터 베이스를 통하여 연도별, 경지규모별, 지대별, 월별 자료의 검색 및 분석이 가능토록 하였다. (3) 농가경제 동향정보 시스템 농가소득, 가계비, 농가자산, 농가부채 등 농가경제 동향정보 시스템의 계층구조 및 화면구조를 설계하였으며, 이들의 결과가 표(Table)나 그래프의 형태로 분석되어, 화면에 직접 출력될 수 있도록 하였다. (4) 농가경제 모델베이스 시스템 농가경제 데이터 베이스를 이미 개발된 모델에 연결하여 모델의 분석결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모델 베이스 시스템 계층구조 및 화면구조를 설계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직접 화면에서 표(Table)나 그래프의 형태로 조회할 수 있도록 하였다. (5) 농가경제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Documentation 농가경제 책자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농가경제 동향정보 시스템 및 농가경제 모델 베이스 시스템에 대해서 각각 분석, 설계, 개발, 운용의 개발단계별로 Doucumentation을 작성하여 부록으로 첨부하였다. 4. 연구결과의 활용 농가경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자료의 신속한 제공과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고, 이미 개발되어 있는 각종 모델에 데이터 베이스를 직접 연결하여 활용함으로써 단순한 자료의 검색뿐 아니라 조사자료의 분석, 예측도 가능토록 하였다. 그러나 집계 공표된 농가경제 조사자료 이외의 원래의 농가경제 조사자료(raw data)는 데이터 베이스 구축에 필요한 자료량이 과다하여 데이터 베이스화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될 것이다. 또한 모델 베이스 시스템도 비정형화된 업무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므로 문제해결을 위한 시스템 구축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암으로 계속적으로 유지보수와 모델의 분석, 검증이 필요하다. | - |
dc.title | 농가경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설계 및 구축에 관한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f Farm Household Economic Database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