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조덕래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7:54:52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7:54:52Z | - |
dc.date.issued | 1995-04 | - |
dc.identifier.other | R318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391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머리말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정책의 흐름과 기존 연구 3. 연구 범위 및 연구 내용 제2장 수급 불안정문제와 발생요인 1. 장기적 문제와 발생요인 2. 단기적 문제와 발생요인 제3장 공급조정 가능성과 정책과제 1. 공급조정 가능성 분석 2. 공급조정 정책과제 제4장 출하조정 가능성과 정책과제 1. 출하분포 변화 분석 2. 출하조정 가능성 분석 3. 출하조정 정책과제 제5장 요약 및 결론 (1) 공급 조정을 위한 정책과제 ○ 생산 단계에서 시장 공급량 조절을 위해서는 영년생 작물의 특성상 장기적인 재배면적 조절 가능성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방법이 없으므로, ① 장기 유통정보 시스템을 개발하여 가격 등 수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장기 예측, 농가에게 제공함으로써 농가 스스로 재배면적을 조절하도록 유도해야 하며, ② 수출시장 개척자금 지원규모 확대, ③ 수출 전망이 밝은 과일에 대한 연구-보급 투자 확대, ④ 수입 과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2) 출하 조정을 위한 정책과제 ○ 생산시기의 집중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품종 분포의 다양화를 위한 품종개발-보급 투자의 확대와 시설에 대한 지원자금 규모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저장시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저온저장시설 규모를 확대하고 시설의 현대화를 추진해야 한다. | - |
dc.title | 주요 과일의 수급안정을 위한 기초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A Fundamental Study on Demand and Supply of Major Fruits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 Duckrae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