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동환-
dc.contributor.other전창곤-
dc.date.accessioned2018-11-15T07:55:02Z-
dc.date.available2018-11-15T07:55:02Z-
dc.date.issued1995-12-
dc.identifier.otherR333-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407-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머리말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범위와 주요 연구내용 3. 연구방법 제2장 우리 나라 농산물 유통체계의 현황과 특성 1. 유통체계 분석의 이론적 틀 2. 주요 농산물의 유통체계 3. 우리 나라 농산물 유통체계의 특성 제3장 유통 서비스 시장 개방 실태와 파급영향 1. 유통 서비스 시장 개방내역 2. 외국 식품유통업체의 국내진출 동향과 전망 3. 유통 서비스 시장 개방의 파급 영향 제4장 농산물 유통 서비스업의 새로운 동향 1. 신유통업태 현황 2. 신유통업태의 농산물 구매행위 분석 제5장 농산물 유통체계 변화의 전망과 대응방안 1. 유통체계 변화의 전망 2. 대응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부록 주요 외국의 농산물 유통체계 참고문헌 (1) 이 연구는 유통서비스시장 개방에 따른 농산물 유통의 여건변화와 농산물유통업의 새로운 동향을 파악하여 우리 나라 농산물유통체계의 장기적인 변화를 전망하고 그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하였다. 유통체계분석은 유통단계간의 거래방식에 초점이 맞추어 졌으며, 상적인 유통기능이 주로 다루어졌다. (2) 우리 나라의 농산물유통체계는 영세다수의 분산된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해 주는 수집단계와 분산단계가 필요하여, 유통단계가 많고 유통마진율이 높은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유통단계간 수직적 조정은 대부분 시장(예: 산지가축시장, 공판장, 도매시장 등)을 통하고 있으며, 직거래, 인테그레이션, 계약생산 등의 비중이 작은 특징이 있다. 도�소매업체� 규모가 작아 그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수퍼마켓과 같은 근대적인 소매기구의 발전이 초기 단계에 있다. (3) 유통서비스시장 개방은 1981년 7월부터 외국인투자를 허용함으로써 시작되었으며, 그 후 점포수 및 매장면적에 대한 제한이 지속적으로 완화되어 왔다. 1996년부터는 소매점에 대한 점포수 및 매장면적 제한이 완전히 폐지될 계획이다. (4) 유통서비스시장에 대한 외국인투자 폭의 확대로 외국 식품유통업체의 국내진출이 가시화되고 있다. 유럽, 미국, 일본 등의 식품유통업체가 우리 나라에 직접진출(투자)하고 있으며, 투자업종별로는 하이퍼마켓(Hypermarket)과 같은 대형소매점, 회원제 창고형 도매업 및 식료품도매업 등이다. (5) 유통서비스시장이 완전 개방되면 현재 초기 단계에 있는 신유통업태의 도입을 가속화시킬 뿐만 아니라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신업태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농산물유통에 있어서도 변화가 예상되며, 특히 식품소매업에 해외 및 국내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점포스타일이 도입되고 대기업을 중심으로 하여 대규모화, 체인화가 진행될 것이다. (6) 유통시장개방과 더불어 새로운 형태의 식품소매업이 도입되고 있다. 수퍼마켓과 편의점의 점포수가 증가하여 식품소매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할인점(Discomt Store) 회원제 도매클럽(Membership Wholesale Club)과 같은 신업태도 최근 급속히 도입되기 시작했다. (7) 수퍼마켓 및 가격파괴형 할인점의 농산물구매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식품은 대형 수퍼마켓체인, 소형 수퍼마켓, 가격파괴형 할인점 모두에서 중요한 품목이며, 이들 업체가 농수산물 소매유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앞으로도 증가할 전망이다. 소형점포의 경우 농수산물의 구입시 도매시장에의 의존도가 절대적으로 높았으나 점포수가 30개 이상인 대형 수퍼마켓 체인들은 산지직구입 등을 통해 농수산물구입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대형업체를 중심으로 농수산물의 산지직구입이 앞으로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8) 농산물유통체계의 변화를 전망하면, 유통서비스시장의 개방, 대기업의 유통업참여, 저가격 지향적 소비패턴의 정착에 따라 식품소매업이 대형화, 체인화될 것이다. 소매업의 대형화, 체인화는 공동출하에 의한 출하규모 확대, 유통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대형소매업체에 의한 도매기능의 활성화를 유도할 것이다. 따라서 농수산물의 유통경로가 다양해져 다원화된 유통체계를 가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산지에서는 생산의 주산지화, 출하시설에 대한 투자확대 등의 요인으로 공동출하의 비중이 높아질 것이며, 대형 소매업체는 산지농가와 계약재배, 인테그레이션 등 다양한 형태의 수직적 조정방식을 채택할 것으로 예상된다. (9)이러한 유통체계변화를 볼 때, 정부는 유통경로의 다원화 및 민간유통업체의 성장에 따른 유통정책을 모색해야 한다. 정책의 대상이 도매시장 일변도에서 벗어나 소매유통업체에 대한 관심증대가 필요하며, 새로운 식품유통업체의 동향에 대한 연구와 현황파악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 아울러 유통참여자 및 유통경로간의 공정경쟁을 유도하여, 효율적인 유통업체들이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산지의 유통시설에 대한 투자는 유통개선의 기초적인 물적 기반이므로 지속되어야 할 것이나, 공영도매시장 및 물류센터에 대한 투자는 운영부실에 따른 비효율화, 중복투자의 가능성 때문에 투자계획을 신중히 재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유통정보 및 규격화, 품질검사 등은 유통개선을 위한 중요한 공공재이므로 정부가 이러한 유통조성기능에 대한 역할과 투자를 증대시켜야 할 것이다. (10)식품소매업이 대형화, 체인화되면 수입농산물에 대한 접근성이 용이하여 농산물수입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어 생산자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조사대상 수퍼마켓 대부분이 앞으로 수입농산물의 비중을 증가시킬 계획으로 나타나 생산자의 농산물판매에 대한 의식전환이 필요하다. 생산자들은 소비자 지향의 마케팅활동과 품질개선이 필요하고, 앞으로 그 역할이 증대될 소비지 유통업체와의 연계성 제고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생산자단체도 적극적으로 판매활동을 개발하고 추진해야 할 것이다.-
dc.title유통 서비스시장 개방에 따른 농산물 유통체계의 변화와 대응방안-
dc.title.alternativeChanges on the Agricultural Marketing System due to Trade Liberation of Service Industries-
dc.typeKREI 보고서-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Donghwa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eon, Changgon-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 (R)
Files in This Item:
유통 서비스시장 개방에 따른 농산물 유통체계의 변화와 대응방안.pdf (4.21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