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치주-
dc.contributor.other이장호-
dc.contributor.other이철현-
dc.contributor.other한상립-
dc.contributor.other강정혁-
dc.date.accessioned2018-11-15T07:55:04Z-
dc.date.available2018-11-15T07:55:04Z-
dc.date.issued1995-12-
dc.identifier.otherR336-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410-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머리말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과 범위 3. 연구방법 제2장 농업관측사업의 현황 1. 농림수산 관련 관측사업의 현황 2. 농업관측사업의 제문제 3. 이용자의 정보 요구 현황 제3장 주요 선진국의 관측사업 실태 1. 일본의 농업관측체계 2. 미국의 농업관측체계 3. 대만의 농업관측체계 4. 데이터 베이스 및 소프트웨어 활용 현황 제4장 향후 농업관측사업 기본방향 1. 농업정보체계의 정의 2. 농업관측정보의 구성 및 기능과 요건 3. 통합 농업관측 정보체계 제5장 세부 실행계획 1. 농업관측위원회 및 정보처리 전담기관의 구성 2. 해외 관측정보 수집·분석체계 구축 3. 모니터 운영 4. 농업관측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구축 5. 관측정보 분산망 구축 6. 관측 시스템의 단계적 구축 제6장 요약 및 결론 부 록 1. 일본의 농업정보체계 2. 농림수산 통계관측심의회 관계 법령집 참고문헌 (1)현재 농업관측업무는 관측담당기구가 체계화되어 있지 않아 관측업무의 계속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이는 전문적인 관측기법의 연구개발과 일관성있는 자료 및 경험축적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관측업무의 발전을 가로 막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으며, 생산자단체가 관측업무를 직접 담당함으로써 객관성있는 관측이라는 점에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관측업무 전담기관에서 관측팀을 설치하여 관련자료의 통합, 수급상황 분석 및 예측, 관측결과의 작성 등을 체계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이 연구는 실제로 농업관측을 실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수행되었다. (2)기존의 농업관측사업 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농림수산부, 농협, 축협, 수협, 농수산물유통공사, 수산청, 농수산물유통정보센터 등 농림수산부 산하기관의 관측업무의 현황을 관측업무 체계, 조사내용, 조사대상, 조사방법, 조사시기, 농업관측정보 내용별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농업과 특성상 우리나라와 매우 유사한 일본의 농업정보체계와 농업정보화의 동향 및 농업관측업무체계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밖에 미국, 대만 등의 농업관측 현황을 농업관측 연혁, 제도 및 운영, 관측 내용면에서 검토하여 우리나라 농업관측 실행계획 수립에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3)통합농업정보화의 일환으로서 농업관측사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우선 다양한 농업정보의 생산과 분산에 대해 객관적인 입장에서 각 기관의 정보생산·가공 및 분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조정할 수 있는 「농업정보조정기구(농업관측위원회)」 가 구성될 필요가 있고, 관측업무는 고도의 기술과 경험이 축적되어야 하므로 「관측전담기구(정보처리전담기관)」가 상설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농림수산 관련정보를 생산하는 농림수산 관련기관에서는 각기관에서 생산한 고유한 자료를 수집·가공하여 독립적으로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한다. 한편 「정보처리전담기관」에서는 분야별 해당 기관의 지원 및 종합조정, 소프트웨어의 개발지원 및 전문 데이타베이스를 효율적, 경제적으로 서비스할 온라인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농림수산 관련정보를 체계적으로 통합관리한다. 여기서 구축되는 「농업관측정보시스템」은 가공 데이타베이스를 기초로 시스템개발자가 생산 및 수요의 추세를 분석하여 특정 품목에 관한 수급을 예측하고 이를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생산자와 상인 그리고 소비자에게 모두 관측정보를 이용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이 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dc.title농업관측사업 실행을 위한 기초연구-
dc.title.alternativeAn Approach to Conducting Korea's Agricultural Situation and Outlooks Program-
dc.typeKREI 보고서-
dc.contributor.alternativeNameOh, Cheeju-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Chulhy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n, Sanglyp-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ang, Jungheuk-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 (R)
Files in This Item:
농업관측사업 실행을 위한 기초연구.pdf (3.6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