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승열-
dc.contributor.other허덕-
dc.contributor.other정민국-
dc.date.accessioned2018-11-15T07:55:45Z-
dc.date.available2018-11-15T07:55:45Z-
dc.date.issued1999-12-
dc.identifier.otherR402-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474-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차 례 머 리 말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조사료 수급 현황 1. 축산여건 변화와 조사료 산 확대의 필요성 2. 조사료 수급 현황 3. 조사료 관련 정책 현황 제3장 조사료 생산·이용 실태 분석 1. 조사료 생산·이용 조사 실태 2. 조사료 생산비 및수익성 분석 3. 생산 확대의 제약요인 분석 제4장 조사료 생산·이용의 효과 분석 1. 조사료 수급추정 2. 조사료 생산·이용의 유리성 분석 3. 조사료 이용확대에 따른 경제적 효과 분석 제5장 조사료 생산 확대 방안 1. 기본 방향 2. 확대 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이 연구는 조사료 생산 및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농가조사를 통하여 조사료를 생산하고 있는 농가의 조사료 생산비를 분석하여 농가의 수익성을 조사료 자급률이 높은 농가와 낮은 농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조사료의 생산 및 이용 확대의 제약 요인을 검토하고 조사료 생산 확대의 필요성과 조사료 생산·이용확대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조사료 생산의 확대 방안을 모색하였다. 축산물 시장개방으로 인하여 경쟁체제가 심화되고 있고, 또한 차기 WTO 농축산물 협상 결과에 따른 관세 인하시 축산분야의 피해가 예상되고 있어 축산물의 생산비 절감과 품질경쟁력 제고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국내 조사료의 생산 확대를 통한 생산비를 절감하는 것이 당면과제이다. 환경보호에 대한 국민 관심의 증대라는 변화 그리고 소비자 욕구의 변화인 축산물의 안전성 추구, 고품질 요구라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조사료 생산과 가축분뇨처리를 연계시키는 리시아클링체계에 의한 환경친화적인 축산업의 발전이 요구되고 있다. 조사료의 국내 수급상황을 보면 초지 및 사료작물의 재배면적이 감소세를 보이고 조사료 급여비율이 40%를 상회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중 볏짚의 의존도가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정부는 조사료 생산확충 사업을 통하여 초지조성, 사료작물재배 및 부존자원의 이용 확대를 추진하고 있고 1999년 긴축재정으로 축산자금의 지원규모가 축소되었지만 조사료 생산기반확충 사업비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조사료를 생산하는 조사농가의 규모는 전국 평균보다 높았으며 조사료 급여비율은 1998년 전국 평균치인 47%에 근접하였다. 조사료 이용 방법은 한우의 경우 생초이용이 높고 젖소의 경우 싸일리지의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조사료 이용에 있어 차이가 나타났다. 가축분뇨를 사료포에 살포하는 자가 이용률이 성환두당 사료포 면적이 높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제4위전위 발생률은 성환두수당 사료포 면적이 클수록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이용 실태는 한우농가의 경우 자가 소유의 논은 6천평 정도이며, 임차한 논은 자가소유보다 2배 가까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밭의 경우도 자가 소유 밭보다 임차한 밭의 면적이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낙농농가는 젖소 두당 234평의 사료포를 경작하고 있으며, 사료작물로는 농가 평균 옥수수를 125평 재배하여 약 53%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청예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수단그라스, 호맥, 연맥 순으로 많이재배하고 있다. 조사농가의 조사료 생산비 및 수익성을 분석한 결과 건물기준으로 옥수수의 생산비가 77.7원으로 가장 낮고 다음으로 연맥, 수단그라스, 호맥, 라이그라스의 순이다. 조사료 급여비율이 높은 농가에서 두당산유량 및 유지방률, 체세포수 등이 우수하게 나타났고, 우유 kg당 생산비도 5.1% 절감되었다. 또한 급여비율이 높은 농가의 소득이 낮은 농가보다 26% 높으며, 소득률도 8.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당 사료포 면적이 넓은 농가가 두당 연간 산유량, 유지방률, 체세포수에서 우수하였고, 우유 kg당 경영비도 6.5%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나 생산비도 7% 절감되었다. 우유 kg당 소득은 263원으로 낮은 농가보다 23% 높으며 소득률도 6.3%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가조사 결과 조사료의 생산을 확대할 의향이 있는 농가는 전체농가의 62%이며, 전작(사료포)을 확대하겠다는 농가가 확대 의향을 가진 농가의 50%를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볏짚(논농사)의 이용, 답리작 사료작물의 재배로 나타났다. 답리작 사료작물의 재배 확대를 위한 논을 임차할 경우 논 소유주가 작부시기의 중복으로 쌀 수확량의 감소를 우려하여 사료작물재배 농가에 임차를 기피하고 있다. 농가의 가장 큰 경제적 제약은 조사료 생산기계 및 장비의 가격이 높은 데 있다. 구입시 농가의 부담이 크고 장비의 노후화로 장비의 교체시기가 다가온 농가의 경우 정부의 보조 지원이 없이는 교체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또한 지가 상승으로 사료포를 구입하거나 임차하는데 과다한 부담으로 사료포를 확보하기가 곤란하여 규모화를 이루기 어려운 것도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조사료의 생산·이용을 확대함에 따라 얻을 수 있는 농가 및 국가차원의 효과를 추정하였다. 조농비율 개선에 따른 배합사료의 대체효과는 조농비율이 현행 38:62에서 60:40으로 개선되었을 경우 배합사료 절약분은 연간 2,242천톤으로 추정되며, 수입절감효과는 배합사료 2억4천불∼3억1천만불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한우생산비 절감효과는 12.0%로 나타나고 낙농의 생산비 절감효과는 4.4%로 나타난다. 경제수명 연장에 따라 낙농은 연간 4,785억원, 한우는 연간 2,067억원의 경제적 효과를 창출한다. 번식률 제고에 따른 경제적 효과는 216억원, 젖소는 325억원으로 추정된다. 유지방 향상 효과로는 착유우 30두 규모농가는 연간 유대 증가는 1백만원이며, 총 유대 증가는 112억원으로 추정된다. 조사료 생산 확대를 위한 정책의 기본 방향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첫째, 조사료 자급률 제고이다. 사료포 개발 및 답리작 이용을 통한 자급률을 제고시켜 나감으로써 조사료 생산과 가축분뇨처리를 효율적으로 연계시키는 재환원(Recycling)체계로 환경친화적 축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양질 조사료의 생산을 확대하는 것이다. 볏짚 위주의 조사료 급여형태에서 우량 사료작물의 종자를 개발 보급하여 목초나 사료작물 등 양질의 조사료 공급체계로 전환함으로써 가축의 생산성 향상 및 배합사료 절감효과를 통해 양축농가의 경영소득을 증대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조사료의 생산성 및 경제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사료작물 재배면적을 확대하여 규모화하고 생산의 기계화를 촉진함으로써 조사료 생산성을 높이고 생산비를 낮추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수입조사료보다 경제성이 있는 양질의 조사료를 급여하여 축산물의 국제경쟁력을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Forage is the essential feed for ruminant animal, thus the adequate feeding for dairy and beef cattle have enhanced the economic performance and benefited the livestock farmers. Ideal feeding ratio of forage should be sixty percent of the total ration, however, thirty-eight percent of forage had been fed for Korean dairy and beef cattle in 1997. To cut down the production costs during the IMF bail-out program in 1998, livestock farmers have increased the production of forage, which resulted in improving the forage feeding ratio to forty-seven percent. Even though the government encouraged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forage by the subsidy of seed, fertilizer and machinery expense since 1992, the cultivated area of grass and forage crops have decreased from 271 thousand ㏊ in 1990 to 157 thousand ㏊ in 1998. It is important to expand the production and the utilization of forage not onl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and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livestock products, but also recycling the animal manure to be utilized in the forage crop land and the idle la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tuation of the forage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survey farms and to analyze the forage production costs and profitability of forage production in dairy and beef cattle farms. Als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striction factors for expanding forage production, and look into the economic effects of expanding forage production in farm and national level. Beef cattle farm owned the two ㏊ of paddy field and the rented land doubled the size of land owned. Also, rented upland was bigger than the owned. land. Dairy farmers were more concentrated on the upland forage crops than the double forage cropping in paddy field. Their owning of land for forage was higer than the rented land. Average farm cultivated the 0.078 ㏊ per cow for forage production and corn were cultivated by fifty-three percent of land, followed by sudangrass, rye, and oat in largest order. To analyze the profitability of dairy farms with forage production and utilization, survey farms were divided into two criteria to compare the profit per 1㎏ of milk production. One is forage feeding ratio, above 56%, and below 45%. The other is forage cultivated area per dairy cow, above 0.073 ㏊ and below 0.067 ㏊. The farms with 56% forage ratio, or with crop land above 0.073 ㏊ were superior to the others, such as milk production per cow, milk fat content, and somatic cell count, resulting in lower production costs and higher incomes and profits. To expand the forage production and utilization, there were many factors such as economic, technical, and institutional factors to improve and develop. In conclusion, primary policy directions to expand forage production are divided into three. First, the forage self-sufficiency ratio should be promoted. Second,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forage should be expanded. Third, the forage productivity and economic value should be enhanced. To meet these directions, the followings are the major scheme to consider. Adoption of incentive system to the expanding forage cropping for upland and double cropping in paddy field should be considered, such as support of rent for forage cropping use, and direct payment system. The government support and subsidy for purchasing fund of forage production machinery for farmers and forage production organizations should be continued. Also, new variety and high-quality forage seeds should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to the farmers. Local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agricultural and livestock cooperatives and agricultural colleges should be linked together to provide the production technology to farmers and the private consulting program could play the part of a technical guidance.-
dc.title조사료 생산확대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Expansion of Forage Production-
dc.typeKREI 보고서-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Seungyoull-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uh, Duk-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eong, Minkook-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 (R)
Files in This Item:
조사료 생산확대방안 연구.pdf (2.19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