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현태-
dc.contributor.other강창용-
dc.contributor.other정은미-
dc.date.accessioned2018-11-15T07:55:47Z-
dc.date.available2018-11-15T07:55:47Z-
dc.date.issued1999-12-
dc.identifier.otherR404-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476-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차례서문 제1장 서 론 1. 연구의필요성 2. 연구목적 3. 연구범위와 방법 제2장 친환경농산물의 생산과 소비 1. 친환경농산물의 개념 분류 2.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3. 친환경농산물의 소비 제3장 친환경농산물의 유통 실태 1. 친환경농산물의 시장규모 2. 친환경농산물의 유통경로 3. 친환경농산물 유통경로의 유형화 제4장 유통 유형별 유통활동 비교 분석 1. 분석 방향과 지표 2. 유형별 유통활동 비교 3. 유형별 유통경로의 전개방향 제5장 친환경농산물의 유통 개선 방향 1. 유통 개선의 기본방향 2. 친환경농산물 물류시스템 개선 3. 친환경농산물 품질관리제도 개선 4. 판매망 확충과 정책자금 지원 개선 제6장 요약 및 결론 Abstrat 부 록 부록 1. 친환경농산물의 품질 기준 부록 2. 친환경농산물 채소류의 시장 규모이 연구는 친환경농산물의 소비 확대를 통하여 환경농업의 발전을 도모한다는 전제하에 소비 확대를 위한유통 개선 방향을 모색한 것이다. (1) 친환경농산물의 생산과 소비 행태 첫째, 친환경농산물은 일반농산물에 비해 생산자의 수취가격이 높고 소비자의 지불가격이 높은 가격구조를지닌다. 이러한 가격구조에서 소비자의 소비욕구를 현실화시키기 위해서는 친환경농산물도 적정가격을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친환경농산물의생산자 및 유통업체 측에서 비교적 재배나 취급이 용이한 품목을 중심으로 생산·유통의 규모화·전문화를 통해 판매가격의 인하를 모색해야 한다. 둘째, 일반 소매점포(백화점, 대형할인점, 수퍼마켓 등)에서의 유통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친환경농산물의 유통경로가 기존 생산자단체·소비자단체의 직거래에서 일반 소매점포의 유통으로 빠르게 변화되고 있으며 유통경로가 다양화되고 있다. 셋째, 생산자가 ''품질인증''의 재배기준을 구체적으로 인지하는 경우는 83.2%에 이르지만 소비자의품질인증 및 표시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다. 결국 친경농산물의 생산·소비확대를 위해서는 품질관리제도의 정착이 필요하며 이러한 품질관리제도를소비자 대부분이 인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다. (2) 친환경농산물의 시장규모 친환경농산물로 유통되고 있는 쌀의 시장규모는 약 143억원으로 직거래에 의한 비중이 약83.3%이다. 반면 채소류의 시장규모는 최소 427억원에서 최대 497억원 정도로 추정되며 쌀과는 달리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백화점·할인점·대형수퍼의 시장규모가 최대 423억원으로 점유율이 85.2%, 소비자조직에 의한 시장규모는 약 64억원으로 12.8%이다. 이상과 같이 친환경농산물로 유통되고 있는 쌀과 채소류의 시장규모는 최소 570억원에서 최대640억원으로 추정된다. 쌀과 채소류 이외에도 과일, 특용작물, 축산물 등 차별가격에 의해 유통되고 있는 종류를 모두 포함할 경우 친환경농산물의시장규모는 640억원을 크게 상회할 것으로 추정된다. (3) 친환경농산물 유통경로의 유형화와 전개 방향 유통경로의 유형화를 위해 생산자조직 및 소비자조직의 유무를 기준으로 하였다. 현행 친환경농산물 유통이조직과 조직간의 거래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1유형은 생산자(조직)에 의해 의사결정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생산자 주도형이라 할 수있다. 이 유형의 장점은 품목별 전문화이다. 앞으로 일반 소매업체에서 친환경농산물의 판매코너가 확대될 것이 예상되므로 소매업체를 대상으로 특정품목의 전문 납품업체로서 특화할 필요가 있다. 한국유기농업협회 유통본부, 초월영농조합법인 등이 이 유형에 속한다. 제2유형은 생산자와 소비자조직이 모두 참여하고 있어 생산·소비자 공동참여형이라 할 수 있다. 수익성향상을 위해서는 그 동안 생산·소비회원간에 형성된 유대를 바탕으로 친환경농산물 판매뿐만 아니라 각종 환경 관련 수익사업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한살림, 한마음공동체 등이 해당된다. 제3유형은 소비자조직의 의사결정권이 강하기 때문에 소비자 주도형이라 할 수 있다. 생협간 연대나연합체를 통해 친환경농산물 유통활동만 담당하는 조직을 별도로 운영하므로써 규모의 경제를 살리고 유통의 전문성 확보가 필요하다. 이 유형에는단위생협과 21세기생협연대 등이 해당된다. 제4유형은 생산자와 소비자 조직을 가지고 있지 않은 전문업체가 유통기능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전문업체 주도형이라 할 수 있다. 판매장간 프랜차이즈 체인을 형성하여 친환경농산물 전문 소매업체로서 특화가 필요하다. 이 유형에는 풀무원내추럴하우스, 녹미촌 등이 해당된다. (4) 친환경농산물 유통 개선 방향 친환경농산물이 공급자중심 시장에서 소비자중심 시장으로 전환되고 있음에 따라 친환경농산물의 유통체계도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향에서 모색하였다. 먼저 친환경농산물도 적정가격 유지를 위해 도매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물류시스템이 필요하다.(공동)물류센터를 통해 친환경농산물의 수집분산과 적정가격 형성기능을 수행하고 물류비용의 절감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 소비자의 신뢰를 통한 친환경농산물의 소비확대를 위해서는 품질보증제의 정착이 필수적이다.따라서 현행 품질인증제와 표시신고제의 이원화 체계를 일원화체계로 정비하거나 개별법의 보완·시행이 필요하다. 세 번째로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친환경농산물을 취급하는 점포의 확대와 판매시설의확충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친환경농산물을 취급하는 단체가 영세하고 담보력이 부족하여 정책자금이유용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담보제도를 개선하거나 자금의 용도를 확대하여 친환경농산물의 유통이 활성화되도록자금의 확대뿐만 아니라 제도의 개선도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This research is to pursue marketing improvement in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under the presumption that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should be developed by a consumption expansion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The Market Siz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market size of environment-friendly rice is about 14.3 billionwon and the share of direct marketing by consumer cooperatives is about83%. The market size of vegetables is estimated to range from 42.7 to 49.7billion won. In their marketing, retail stores such as supermarkets, discountstores, and department stores account for 85.2% or 42.3 billion won and consumerorganizations take up to 12.8% or 6.4 billion won. An estimated total market size of environment-friendly rice andvegetables is between 57.0 and 64.0 billion won. Including other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fruits, speciality crops, andlivestock products that are being marketed with premium price, the market sizewould exceed over 64 billion won.Types of Marketing Channels and theirDevelopment Marketing channels have been categorized by the measurewhether there are producer or consumer organizations. It is because themarketing flow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etweenorganizations are significant. The first type is a producer-led marketing channel in whichproducers make all the decisions. The merit of this type is product-specificexpertise. As marketing volume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products increase in retail stores, producers must be specialized in providingspecific products to retailers. This type includes Korea Organic FarmingAssociation and Cho-Woal Farm Association Corporation. The second type is a producer-consumer coordinated marketingchannel. To improve profitability, various environment-related,profit-generating projects should be carried out based upon a strong tie betweenproducers and member registered consumers, jointly with environment-friendlyagricultural products marketing. It includes Hansalim and Hanmaum Community. The third type is a consumer-led marketing channel in whichconsumer organizations dominate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Byoperating a separate body in charg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products based upon the tie between consumer cooperatives and federations, itmust realize the scale economy and secure marketing expertise. This typeincludes unit consumer cooperatives and 21st Consumer CooperativeFederation. The fourth type is a specialized business-led marketing channelwhere neither producer organizations nor consumer organizations areinvolved. In this case, it is important to pursue specialization asretailer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terms of buildingfranchise chains among retail stores. This type includes Pulmuone Natural Houseand Nokmi Village.Direction of Marketing Improvement in Environment-FriendlyAgricultural Products In the midst of a transfer from a producer- to a consumer-orientedmarket in the marketing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isresearch seeks ways to improve the marketing system of environment-friendlyagricultural products, satisfying consumers' demand. First, a distribution system that performs wholesaling functionsfor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must be prepared so as tomaintain fair prices. The Common Distribution Center must help collect anddistribut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seek ways to reducethe costs. Second, the quality certification program must be fullyimplemented to enhance consumer confidence and expand the consumption of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order to do this, the currentquality certification program and the labeling report program must be convergedinto a consistent system or each program must be improved to a large extent. Third, the number of stores and marketing facilities dealing with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must be increased and reinforced toimprove consumer access. Finally, since marketing organizationsdealing with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re insignificant innumber and size, it needs to increase policy funds for their marketing andenhance the distribution system by improving the security system and expandinguse of the funds.-
dc.title친환경농산물의 유통 개선방향-
dc.title.alternativeMarketing Improvement i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dc.typeKREI 보고서-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Hyunta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ang, Changyo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eong, Eunmee-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 (R)
Files in This Item:
친환경농산물의 유통 개선방향.pdf (2.75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