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계임-
dc.contributor.other최지현-
dc.contributor.other안병일-
dc.date.accessioned2018-11-15T07:55:56Z-
dc.date.available2018-11-15T07:55:56Z-
dc.date.issued2000-12-
dc.identifier.otherR415-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487-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시계열·횡단면 자료와 설문조사를 통해 김치 소비 변화를 파악하고 소비자의 선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향후 김치의 수요구조 및 수요량을 전망하고, 김치 관련 채소류의 생산과 김치의 가공·수출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차 례 제 1 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범위 및 분석방법 제 2 장 김치 수급구조 1. 김치 수급구조 2. 공장김치시장의 구조와 문제점 제 3 장 김치의 국내 수요 분석 1. 김치의 소비구조 분석 2. 김치 소비 결정요인 분석 3. 김치 수요함수 추정 제4장 김치 수출시장 분석 1. 김치 수출실태 2. 김치 수출의 문제점 3. 김치 수출 증대방안 제 5 장 소비자의 선호 및 구매행태 분석 1. 김치 소비 행태 2. 가정 김치의 소비 행태 3. 시판김치 구입 행태 및 만족도 4. 향후 시판김치 구입의향 제 6 장 김치 수요 전망 1. 김치 및 김치 원료용 채소류 수요 전망 2. 향후 김치시장 전망과 정책과제 제7장 요약 및 결론 Abstract 부록 1. 시판김치 및 김치의 지출함수 추정 부록 2. 일본의 김치 시장 부록 3. 소비자 선호조사 분석결과 부록 4. 김치 소비에 대한 설문조사표 요약 1. 연구의 목적 김치 수요는 식생활의 서구화 간편식 보급 증대와 신세대의 선호 변화로 감소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김치 수요 변화에 사회적 관심이 높은 것은 주원료인 배추 등 원료농산물의 상당 부분이 김치 생산에 투입되고 있어 김치 수요 변화가 해당 채소 수급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최근 일본에 한국 김치의 소비 붐이 일면서 김치 수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어 국제적으로도 김치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시계열 횡단면 자료를 이용하여 김치 소비 변화를 파악하고 소비자의 선호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김치 수요구조 및 수요량을 전망하고 김치 관련 채소류의 생산과 김치의 가공 수출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 김치 수급구조 김치 소비량은 1995년 이후 150만톤 전후로 변동하고 있으며, 1999년에는 136만톤(배추김치 95만톤)인 것으로 추정된다. 공급주체별로는 가정생산김치 59%, 시판김치 34%, 요식업체 생산김치 7%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업체수가 증가하고 대기업이 경쟁적으로 진출하면서 공장김치시장의 경쟁이 날로 심화되고 가정용 포장김치에 주력하는 대기업과 대량수요처용 벌크시장에 주력하는 농협과 영세기업으로 시장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42개 업체 조사결과 당면 문제는 배추 등 원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문제, 폐수처리 문제, 판매확대 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김치의 국내 수요 분석 김치 소비는 1980년 이후 연평균 2.5%씩 감소한 반면, 가정에서 소비하는 시판김치는 1995∼99년간 연평균 7.7%의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계절별로는 신선배추가 주년 공급됨에 따라 김치 소비가 연중 평준화되는 추세를 보인다. 가계생산함수모형을 이용하여 시판김치지출함수 추정 결과 노동기회비용이 높은 가구일수록 시판김치지출이 증가하며, 가구주 연령이 적고 학력이 높을수록 시판김치를 많이 구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가정생산김치소비는 거주형태나 연령별 성별 구성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계절별 김치 수요함수를 추정한 결과 소득탄성치는 가을김치 수요의 경우 -0.44로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줄어드는 추세를 반영하는 반면 고랭지김치는 1.77로 최근 수요 증대를 반영하여 높게 나타났다. 1999년도 김치 원료용 채소류 수요는 배추 1,505천톤(생산량기준:60%), 무 446∼523천톤(31∼36%), 고추 72∼81천톤(34∼38%)등 이었다. 4. 김치 수출시장 분석 김치 수출은 1988년 이후 연평균 13.5%씩 증가해 왔으며, 97% 이상이 일본으로 수출되고 있다. 현재 김치 수출은 국내 생산의 1∼2%, 일본 김치시장의 9.5%를 차지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수출 증대의 잠재력은 매우 크다. 김치 수출 증대방안에 대해서 18개 수출업체에 대해 조사한 결과 한국 김치 고유 브랜드를 부착하고 고유상품 캘릭터와 용기를 개발하여 일본 기무치와 차별화시키는 것이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그 밖에 일본 소비자의 세밀한 기호에 대응한 위생 및 품질관리, 소포장 개발, 다이어트식품, 건강식품으로서의 홍보 등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소비자의 선호 및 구매행태 분석 서울시내 686가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김치를 구입해서 먹지 않는 가구가 대부분이었으나(76.1%) 맞벌이 가정의 경우 정기적으로 구입해서 먹는 비율이(13.0%) 일반 가정보다(4.0%) 보다 높았으며, 소득이 높은 가구일수록 김치를 구입해서 먹는 비중이 증가하였다. 김치를 구입해서 먹지 않는 가구 중 가족이나 친지에서 조달해서 먹는 경우는 16.1%이었다. 배추김치는 주로 포기김치(87.9%)로 담그고 있었다. 소비자들은 김치 구입시 맛(50.5%), 가격(21.0%), 위생상태(20.6%)를 고려하며, 농협김치는 국산 원료 때문에 일반 회사 제품은 맛 때문에 구입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판김치의 원산지 표시제도 실시는 응답자 대부분(93.1%)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포장한 김치와 포장하지 않은 김치 모두에 대해 실시해야 한다는 응답이 68.9%로 절대적으로 많았다. 6. 김치 수요 전망 2005년까지 김치 1인당 소비량은 1.5%씩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어, 중기적으로 볼 때 향후 김치시장은 현 수준인 연간 130∼140만 톤 정도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계절별로는 봄김치와 고랭지김치의 수요가 증가하는 반면 가을김치는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어, 김치 수요의 주년화 경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판김치의 가정용수요는 14%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일본에 대한 김치 수출은 연평균 12∼18%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김치 붐이 지속될 경우 20% 이상 급격히 증가할 가능성도 크다. 이러한 여건 변화에 대응하여 원료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배추의 생산기반은 유지되어야 하며, 수요에 맞게 식부면적의 계절별 조정도 필요하다. 고랭지배추와 봄배추의 경우 고품질 배추 생산을 위한 품종개발도 정책적으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수출 증대를 위해서는 고유브랜드로 수출하고, 한국 김치의 우수성을 널리 알릴 수 있는 홍보와 판촉을 지속적으로 추진해나가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The Kimchi is known as one of the famous Korean traditional food. Recently, consumption of Kimchi decreased as eating patterns have become westernized. It is very important to obtain insights into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Kimchi consumption patterns because consumption of Kimchi heavily affects demand for vegetables such as cabbage, radish, red pepper and garlic, which are major raw materials of Kimchi.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to predict consumer demand for Kimchi in Korea. The data used in the empirical analysis are the household component of the Urban Household Budget and Expenditure Survey and time series data associated with prices of Kimchi and consumer surve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consumers' preference for Kimchi. Total amount of Kimchi consumption in 1999 are estimated as 1,360 thousand metric tons. The commercially marketed Kimchi accounted for 34 percent of total Kimchi consumption, while the home-made Kimchi share is 59 percent. Consumption of Kimchi annually decreased 2.5 percent since 1980. Per capita consumption of Kimchi has been on the down, reaching 29kg in 1999. In 1999, based on the household survey, only 10 percent of households purchased the commercially marketed Kimchi.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o-demographic variable on commercially marketed Kimchi consumption, the household production function was introduced and the Heckman's two step procedure was used for the estimation. The expenditure function of total Kimchi was estimated by Tobit model.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existence of women's employment and the income is highly associated to commercially marketed Kimchi consumption. It implies that the opportunity cost of labor in a household directly affects the commercially marketed Kimchi consumption. Kimchi is highly preferred among adult over fifty years. The expenditure elasticity for Kimchi was different across the season. The elasticity during summer is 1.77 while 0.4 during fall, implying Kimchi consumption increases during summer even though cabbage is relatively expensive during the season as the household income increases. Export to Japan accounted for 97 percent of total Kimchi exported. Export of Kimchi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1980. The annual increasing rate is 21 percent since 1980. Especially, the volume of export increased 50 percent between 1998 and 1999. In order to increase export of Kimchi, first of all, exporting companies should have their own brands for the exported products and differentiate Korean Kimchi from Chinese and Japanese Kimchi. The results of consumer survey indicated that 13 percent of households which both husband and wife have a job, surveyed periodically purchase commercially marketed Kimchi. 11 percent of households who do not purchase and 25 percent of households who receive Kimchi from relatives now answered that they will purchase Kimchi in the near future. Most consumers are very aware of identification for the origin of raw materials such as cabbage, garlic, and red pepper, which are used for the Kimchi. Consistent with expectations, 69 percent of consumers who purchase Kimchi answered that they wanted to buy Kimchi rather than prepare because kimchi preparation is time consuming and hard work. It is predicted that Kimchi consumption will annually decrease by 0.7 percent by year 2005. And per capita consumption is expected to decrease by 1.5 percent by year 2005. It implies that the demand for vegetables related to Kimchi as well as Kimchi will not decrease rapidly in a mid term. On the other hand, demand for export is expected to increase by 20 percent.-
dc.title김치수요의 변화와 전망-
dc.title.alternativeConsumer Demand Analysis for Kimchi-
dc.typeKREI 보고서-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Kyeiim-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Jihye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Ahn, Byeongil-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 (R)
Files in This Item:
36362p.pdf (2.7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