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허장-
dc.contributor.other정은미-
dc.contributor.other김창길-
dc.date.accessioned2018-11-15T07:55:58Z-
dc.date.available2018-11-15T07:55:58Z-
dc.date.issued2000-12-
dc.identifier.otherR417-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489-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시·군 등에서 친환경농업 실천계획을 작성할 때 필요한 자료의 수집, 현황 파악과 분석 방법, 문제점도출과 대응방안 모색 등 계획 수립에 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목 차제1장 서 론1. 연구의 필요성2. 연구의 목적3. 연구의 범위와 방법4. 기존 연구의검토제2장 농업환경 모형의 구조와지표체계1. 지역 단위 농업환경 모형의 의미2. 모형의구조3. 모형의 지표체계 구성제3장 지역 단위 농업의환경부하1. 투입/산출 수지분석의 기본방향2.투입량3. 흡수량과 발생량4. 발생량(축산부문)5. 정화량 및 배출량(축산부문)제4장 사례 연구1. 사례지역의 선정2. 사례지역의 농업현황3. 사례 지역 농업환경 평가제5장 효과적인 실천계획 수립을 위한과제1. 자료수집 체계의 확립2. 계획 수립 체계의확립3. 지역 단위 복합경영 모델의 개발4. 지역 종합환경개선 방안의 모색제6장 요약 및 결론Abstract부 록부록 1. 농업생태계의 물질 순환부록 2. 네덜란드의 지역 단위 농업환경 관리시스템요 약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방법 [환경농업육성법]에 따르면 "환경농업육성5개년계획"에 따라 시군은 실천계획을 수립하도록 되어 있으나, 지역 단위에서 실천 가능한 계획이 수립,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농업 실천을 위한 계획수립의 방법 및 지침제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현재까지의 각종 농업환경 관련 연구성과들을 체계화하여 적용할 필요가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지역 단위 농업환경 부하 요인의 흐름과 양을 파악하는 모형의구상 - 사례 지역에 적용함으로써 실용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실천계획 수립을 위한 데이터의 체계적 확보의 필요성을제시 지표체계의 구축을 위하여 국내외 관련 문헌을 검토하고 각종 원단위 등 기본자료를 수집하였다. 사례조사를 위하여 농업인,관련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고, 농촌진흥청 산하 농업과학기술원이 작성한 인터넷 D/B인 [농업토양환경정보시스템]을 통하여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2. 지표체계의 구상 모형은 기본적으로 지역의 특성과 여건(condition, C) 파악, 농업의 환경부하현황(state, S) 분석, 그리고 이에 입각한 문제점별 실천계획 수립(plan, P) 등, C-S-P체계로 구상한다.지표체계는 부문(sector)―요인(factor)―지표(indicator)의 3단계로 구성하고 각 지표는 고유의 스케일(scale)을 가지도록구성한다. - 지표의 종합화를 통해 요인별 진단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다시 부문별로 종합화하는 상향적 방법을사용 - 종합화는 지역의 특성, 시기 등 시간과 공간적 여건을 고려하여 계획가의 판단에 따라 적절한 가중치를부여3. 투입/산출 수지분석 경종, 축산 부문에 투입되어 흡수된 뒤 발생,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그 경로별로 추적,분석함으로써 지역의 흡수능력과 환경부하 현황을 고려한 적절한 양의 투입재 사용으로 농업환경의 보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도록한다. 경종부문 - 비료, 농약투입량에서 흡수량을 뺀 것을 오염물질 발생량으로 봄. -비료흡수량은 작물별 표준시비량 자료를 사용하고, 농약은 관행사용횟수와 안전사용기준상 사용횟수를 비교하여 산출축산부문 - 축종별로 고시되어 있는 배출원단위와 비료성분(N,P,K)함유율 단위를 활용하여 비료성분 발생량을추정 - 축산폐수정화처리시설을 통하여 자원화 또는 정화처리 후 방류되는 양을 추정함으로써 오염물질 배출량을 추정4. 사례연구 사례연구는 농업과학기술원의 [농업토양환경정보시스템]이 구축된 충북 진천군에 대하여실시하였다. 사례 지역 토양의 화학적 성질은 논의 경우 적정범위에 있는 항목이 하나도 없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밭의 경우도 양이온이 불균형한 편이며 유효인산이 특히 지나치게 집적되어 있다. 비료의 경우 사용량은 성분별 축분퇴비 이용량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학비료의 양의 합으로 보고, 작물별 표준 시비량에 따른필요 비료량을 흡수량으로 가정할 때, 현재 이 지역에서는 질소 1,759톤, 인산 1,202톤, 칼륨 1,425톤이 잉여 상태로 공급되고 있는것으로 분석되었다.5. 효과적인 실천계획 수립을 위한 과제 효과적인 실천계획의 수립에는 정확한 자료의 수집체계 확립이선결과제이다. - 농약 비료사용과 가축분뇨처리 등을 농가가 기재하도록 하는 환경기장제도(Green AccountingSystem)의 도입이 필요하다. - 원단위 자료, 계수의 산출이 필요하며, 장기적으로는 토양과 지표수, 지하수 등 수자원의오염정도를 정보화하여 종합적인 [농업환경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계획 수립에 활용하도록 한다. 계획 수립체계의 확립을 위하여 계획 수립의 지침(guideline)이 마련되어야 하며, [농업 농촌환경설계사] 또는[환경농업설계사] 등 전문가를 양성하여야 한다. 친환경농업 실천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지역 단위에서 축산, 경종, 원예,과수 등이 서로 연계하여 자원을 순환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경영 모델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지역의 종합적 환경개선을 지향하여야 한다. 즉, 친환경농업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마을의 생태적 개발이나환경기초시설 투자사업과 같은 친환경적 농촌발전 프로그램들이 종합적으로 계획에 포함되도록 해야 할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This research has the objective to provide a basic framework to make aregional plan for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Preparation of regionalplan is mandated by the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e Promotion Act of 1998.In this report, the following two things are of particular interests. Firstly, amodel for regional agricultural environment is designed, and, in the model, aframework to analyze the flows of the input/output elements under someconditions as well as factors and indicators for analyzing the regionalcharacteristics are included. Secondly, the model is applied to the actualcase--Jinchon County.Data for the study have been gathered from diverse research results. Inparticular, the Agricultural Soil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aninternet-based database crea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Science and Technology(NIAST)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hasprovided the study with key data for the case area. For the case study,extensive interviews with local officials and farmers were per- formed.The model("C-S-P model") is composed of: the analysis of the regionalconditions(C), the current environmental states(S), and the planning(P) based onthe analysis.In the input/output analysis framework, fertilizers, herbicides, pesticides,and livestock manures are included. Basically, the discharged amount of pollutedelements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the elements entered intothe crop and livestock sectors and the amount of the elements absorbed or usedby the crop and/or livestock.From the case study, it is found that the agricultural sector of JinchonCounty has more than proper amounts of fertilizer components: for the nitrate,1,759 tons, for the phosphate, 1,202 tons, and for the potassium, 1,425 tons areover-supplied. The over-supplied fertilizers will affect the agriculturalenvironment of the County negatively by being discharged and leached to thesoil,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A few suggestions are offered for better regional environment- friendlyagricultural plan. The foremost important thing is to establish a datacollection system. Many crucial data, for instance, on the amount of herbicidesused on the farms, are not available. The "Green Accounting System," which manyEuropean countries have already adopted, is suggested for the matter. The systemwill not only be contributory to reduce the amount of inputs, but also helpcreate many standard unit numbers to be used for analysis andestimation.Another crucial thing is to create a standard guideline or manual whichprovides detailed procedures to follow in making the plan by the local planners.This guideline needs to include the location of data, the method for datacollection, the techniques for the analysis, and so on. Of course, the guidelineis only for reference, and each region ought to reflect its own localcharacteristics and own practical objectives in the plan.More fundamentally, many experts on the regional planning will be demanded inthe near future. Such programs as expert training need to be created in the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arts.As the environment-friendlyagriculture is based on the cyclical utilization of the resources within ageographic boundary, various types of agricultural management ought to becombined. In other words, some compound model which links, for instance, theforestry, the livestock sector, and the crop sector, needs to be devised inwhich the woodchips from the forest are mixed with the manure and then providedas the crop fertilizers.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gricultural modelneeds to be united with the rural model, that is, a more elaborated model willwork as a kind of integrated environmental improvement plan which embracesliving environment as well. It will include the removal of the pollution fromthe wastes, the investment in the environmental basic facilities, like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e building of the eco-friendly villages, and so on.-
dc.title지역단위 농업환경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Regional Agricultural Environment-
dc.typeKREI 보고서-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eo, Ja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eong, Eunme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Changgil-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 (R)
Files in This Item:
지역단위 농업환경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pdf (2.76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