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전자상거래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

영문 제목
The Study on the Market situation and Activation plan for the Electronic Commerce in Agriculture
저자
이동필이장호전창곤한근수
출판년도
2000-12
목차
전자상거래는 거래비용을 절감하고 시간적·공간적 제약이 없는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여 유통의 효율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보고서는 우리 나라 농산물전자상거래에 관한 최초의 종합적인 실태
연구결과로 농산물전자상거래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목 차
제 1 장 서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3. 선행연구검토
제 2 장 농산물
전자상거래 개념과 정책적 의미
1.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개념
2. 전자상거래의 유형
3.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정책적 의미
제 3 장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실태
1. 전자상거래 시장규모
2. 농산물 전자상거래업체의 실태조사
3. 농업인 운영 전자상거래업체의 실태
제 4 장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소비자 실태
1. 농산물 전자상거래 이용자의 특성
2. 소비자들의 정보화 기반
3. 소비자들의 전자상거래 실태
4. 소비자들의 전자상거래 이용사유
제 5 장 국내외
전자상거래 동향 및 농산물 전자상거래 사례
1. 국내 전자상거래 동향
2. 외국의 전자상거래 동향
3. 농산물 전자상거래 사례
제 6 장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문제와 활성화 방안
1. 전자상거래의 일반적인 문제와 발전방안
2.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문제와 활성화
방향
3. 농산물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제 7 장 요약 및
결론
Abstract
부록
부록1. 농업인홈페이지를 통한 전자상거래업체
조사
부록2. 농산물전자상거래 소비자조사 설문지
부록3. 농산물 취급 전자상거래 사이트
리스트
요 약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농산물 전자상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세부정책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업체가, 어떤 형태로 농산물 전자상거래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들이 당면한 문제는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 대처하는
실증연구가 필요하다.
농산물과 식품을 취급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를 검색하여 취급 품목과 운영 방법,
애로사항 등을 파악하고, 농산물 전자상거래에 참여하는 생산자 및 소비자들의 특성과 참여방법, 전자상거래를 통한 이익과 애로사항을 파악하며, 이를
기초로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당면한 문제와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개발하는데 있다.
2. 연구범위 및 내용
주요 연구내용
(1)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개념과 의미
- 전자상거래의 개념과
유형
-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의미와 역할
(2) 농산물 전자상거래업체의 실태와 문제
-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실태와 관리운영방안
- 농업인 전자상거래 운영 실태와 문제
(3) 농산물 전자상거래 소비자 실태와
의사
(4) 국내외 농산물 전자상거래 선진사례
(5) 농산물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정책개발
연 구 방 법
관련문헌 및 선행연구
검토인터넷 검색(581개 업체)
농업인홈페이지 농가(40호) 조사
전자상거래 소비자(439명)조사
인터넷 검색(15개 업체)
3. 연구결과 요약
농산물 전자상거래는 사업영역과 취급 품목, 그리고
경영주체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는 광의의 개념을 적용하여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즉 '농산물전자상거래란 누가
사업을 하느냐에 관계없이 농산물가공품이나 식품을 포함한 농산물과 관련 서비스의 거래에 있어서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전자문서교환 등 전자적 방식에
의해 처리되는 거래'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통계청이 발표한 사이버 쇼핑몰 월간 매출액(2000. 7∼8월 평균) 자료를 보면
농수산물이 1,546백만 원(1.2%), 식음료 및 건강식품 3,953백만 원(3.0%), 꽃 1,238백만 원(0.9%) 등 6,738백만
원으로 전체 매출액 132,208백만 원 중 약 5.1%를 차지하고 있다. 농산물의 경우 전통시장에 의존하는 바가 크기 때문에 급격한 변화가
쉽지 않다는 사실을 전제로 할 때 대략 전체 전자상거래 매출액의 5.5% 수준을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로 파악하더라도 당분간 큰 무리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에서 운영되는 5개의 주요 검색업체를 조사한 결과 2000년 9월 현재
1,500여 개의 농산물을 취급하는 상거래 사이트가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 중에서 중복 및 폐쇄된 사이트를 제외한 결과 농산물을 취급하는
전자상거래 사이트는 581개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1999년 농업인 홈페이지 구축지원사업 대상자를 대상으로 전자상거래 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106 농가 중 40호(37.7%)가 응답하였는데, 이들 중 62.5%(25호)만 전자상거래를 포함한 전화주문판매나 직거래 경험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2000년 2월 사이트를 개설한 이래 10월까지 8개월간 거래회수는 2,134회, 매출액은 1,273백만 원으로 업체 당
거래회수는 50회, 매출액은 28백만 원으로 밝혀졌다. 거래 형태별 평균 거래횟수나 매출액을 보면 전자상거래가 14회(180만원)로 전화주문
112.5회(415만 원) 및 직거래 56회(6천3백9만 원) 보다 횟수나 규모가 훨씬 영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건강식품과 잡곡류가
거래회수나 매출액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소비자에 대한 조사는 농산물 전자상거래 경험이 있는 소비자 301명과 구매 경험이
없는 소비자 13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자 중 전자상거래로 농산물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사람의 분포를 보면 남성이
61%로 여성(39%)보다 많다. 연령별로는 25∼30세(42%) 및 30∼35세(24%)가, 학력별로는 대졸(68%)이, 지역별로는
서울(41%) 및 경기(14%)가 비교적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편 직업별로는 회사원(34%) 및 학생(20%), 전문직(17%)등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소득수준별로는 100∼200만원(47%)과 100만원미만(30%)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일반전자상거래 이용자들에 대한 조사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다.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주체는 개별 농업인이나
소비자만을 정책대상으로 하기보다는 일정한 규모를 갖춘 산지의 생산자단체와 소비지의 대형 유통업체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기존의 B2C 중심에서 앞으로는 일정한 공급능력을 갖춘 생산자단체가 백화점이나 가공공장 등 소비지의 대형 유통업체와 직거래를 하는 B2B
형태로 발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농산물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은 다음과 같이 6개를
제시했다.
- 상품의 품질규격화와 품질관리 시스템의 확립
-
농산물 물류표준화와 물류 시스템의 구축
- 농산물 표준바코드제의 도입,
- 농산물 전자상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통합정보체계의 구축
-
농촌 지역의 정보화 기반 확충과 정보화교육 및 훈련강화
- 농산물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의 틀을
확립하고 관련제도를 정비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electronic commerce(EC) in agricultural products and to suggest
policy direction to solve confronting problems of electronic commerce in
agriculture.
First of all, to understand overall situations of electronic commerce
in agriculture, this study investigated 581 electronic commerce sites dealing
with food and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internet search engine.
Also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106 farmers running their
own homepage and consumers with on-line shopping experience to analyze items
method of management, characteristics, participating method of producer
and consumer taking part in electronic commerc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lectronic commerce, etc.
The content of this study consists of 5 parts. These are:1) the
meaning and general idea of the electronic commerce in agriculture, 2) the
situation and problems of enterprises running EC business in agriculture, 3) the
consumer survey using electronic commerce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4) the
trend of electronic commerce both at home and abroad and an example of
electronic commerce in the agriculture, and 5) policy direction to activate the
EC business in agriculture.
Electronic commer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the
internet to emerge.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nic commerce in agriculture
compared to an existing off-line commercial transaction are as
follows:
1) One important consumer benefit associated with marketing
on the Web is the reduction of costs and prices by using the Web as a
distribution channel and simplifying multi-stage marketing process.
2)
It allows people to exchange goods and services immediately and with no barriers
of time or distance. Anytime of the day or anywhere, you can go on-line and buy
almost anything you want.
3) There is no need of an investment in shop
equipment.
4) The marketing on the Web, contrary to the traditional
off-line trade, depends on great amount of dynamic information and network
to support queries for consumer decision making.
5) One to one
marketing method, applied to more diversified customers suited to their tastes
and preferences, is possible.
The facts mentioned above considerably affect both the producers and
customers. The market growth of electronic commerce both at home and abroad will
continue at its dramatic pace.
The exact market share of electronic commerce in agricultural products
can not be known. But we can guess that 6% of the total on-line sales quantity
amounts to the volume of EC in agriculture(MAF, 2000).
To view overall situations of electronic commerce in agriculture, this
study investigated 581 electronic commerce sites dealing with food and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internet search engine. Now, below are
results.
The principal types of enterprise were private business(58%),
individual farmer(14%), producer organization(11%), a large distribution
center(10%), a wholesale store(4%), and a local government(3%).
The types of commercial transactions were shopping mall (55%), a
specialty store(25%), and an all-round shopping mall (20%).
The kinds
of commodities were health food(27.2%), general food(15.1%), sea food(11.1%),
grains(5.9%), and fruits(5.7%).
The management operational methods of electronic commerce sites
are as follows: (1) The ordering methods were internet on-line order(56%), mail
order(31%), both(86%). (2) The charging measures of the price were on-line bank
deposit(52%), both on-line bank deposit credit card(37%), electronic
money(4%). (3) The delivery measures were methods of using professional delivery
company(69%), mail(14%) and directly self-delivery(15%). These results a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electronic commerce in general.
Also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106 farmers running their
own homepage and 40(37.7%) of them responded. Now, below are several facts
analyzing the respondents.
The numbers of trades for 8 months beginning on February 2000 since
opening their homepage were 2,134(50 per farmer) and sales volume amounted to
₩1,273 million (₩28 million per farmer).
When viewing from the point of trade types, the quantities of on-line
trades were much smaller than those of mail order or direct transactions. The
average numbers of trades on the web were 14(mail order: 112.5, direct dealing:
56) and average sales volumes were ₩1.8 million(mail order: ₩4.15 million,
direct dealing: ₩63.09 million).
The targets of trades were general customer(60%), large-scale
distribution center(8%), wholesale dealer or a broker(6%), and dealer in the
producing area(4%). And the on-line bank deposit (70%) was main charging method
and the major delivery measures were methods of using professional delivery
company (58%) and mail(27%). But the most of the farm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homepage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farmers
satisfied with their homepages were only 10%), and expressed their disapproval
of the communication facilities networks.
For this study the consumer survey was conducted over the internet
from Oct. 16, 2000 to Oct. 20, 2000 to review the consumer behavior. The sample
size of this survey was 438 and among them customers who experienced
on-line-shopping in agriculture were 301. As a result, this study reviewed demo-
graphic characteristic, information level, consumer behavior for the respondents
experienced with EC in agriculture. Now the survey conducted over the internet
was to help determine what a customer thinks about electronic commerce.
Furthermore, it was to help determine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electronic
commerce.
This study developed policy directions to solve facing problems of EC
in agriculture resulted from the analysis of survey and other references. These
policy alternatives to be developed can be summarized as:1) establishing a
policy decision for standardization of commodities and their quality control
system; 2) setting up an agricultural policy for standardization of logistic
system; 3) introducing the standardized bar-code system to agricultural
products; 4) developing the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to promote
agricultural trades on the web; 5) establishing the policy for supporting EC
trades in agriculture and improving various laws and regulations in such a way
to meet the realistic needs of them; and 6) expanding a foundation of
information facilities the super-highway networks widening education and
training for relevant information technologies.
발간물 유형
KREI 보고서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493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 (R)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Files in This Item: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pdf (7.86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