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임송수 | - |
dc.contributor.other | 박용하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7:56:09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7:56:09Z | - |
dc.date.issued | 2001-12 | - |
dc.identifier.other | R433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504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3. 주요 연구 내용 4. 연구 범위와 방법 제2장 유전자 변형(GM) 농산물의 생산 현황 및 국내 수입실태 1. GM 농산물의 생산 현황 2. GM 농산물 재배 농가의 경제효과 3. GM 농산물의 수입 절차 4. GM 아닌 농산물의 수입가격 프리미엄 5. 주요 GM 농산물의 수입량 추정 제3장 GM 농산물의 관리정책 및 표시제 현황 1. GM 농산물 관리정책의 필요성 2. 외국의 GM 농산물 관리정책 3. 우리나라의 GM 농산물 관리정책 제4장 GM 농산물의 관리방안 1. GM 농산물의 관리체제에 관한 국제 규범 2. GM 농산물의 관리 방안 제5장 GM 농산물 표시제에 관한 분석 1. GM 농산물 표시제와 국제규범의 관계 2. GM 농산물 표시제에 관한 경제 분석 제6장 요약 및 결론 부록 부록 1. 외국의 GM 농산물 승인 현황 부록 2. 외국의 GM 농산물 관리정책 요 약 1. 연구 목적 유전자변형(GM) 농산물의 국내 수입 현황을 파악하고, GM 농산물에 대한 WTO 협정 등 국제 무역규범 및 다자간 환경협약(MEAs)의 접근 방식을 비교 분석함과 경제학적인 해석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국내 관리체제 정립 방안과 효율적인 표시제 운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2. GM 농산물의 생산 및 수입 현황 1990년대 중반 이후 유전자 변형(GM) 농산물이 상업적으로 재배되면서, 주요 농산물 수출국을 중심으로 그 생산량이 큰 폭으로 늘고 있다. 2001년 당시 GM 농산물의 재배면적은 약 5,000만ha에 이르며, 주요 GM 농산물은 콩, 옥수수, 면화, 유채 등이다. GM 농산물의 생산국은 미국, 캐나다, 아르헨티나 등 모두 15개국이다. 우리나라도 제초제 저항 벼, 바이러스 저항 감자 등 16작목 40여종의 GM 농산물을 개발하고 있으며, 4∼5년 후에는 일부 GM 농산물을 상업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농산물 수입국으로서 우리나라는 GM 콩, 옥수수, 면화, 유채 등을 수입하고 있는데, 특히 2000년 기준으로 GM 콩과 옥수수의 수입량은 각각 전체 수입량의 32%와 9%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3. GM 농산물의 관리정책 및 국제논의 동향 GM 농산물은 투입재 사용량 감소 및 단수 증대, 환경에 대한 압박 완화, 영양성분 개선 및 상품성 향상 등 사회·경제, 환경, 건강, 소비자 선택 측면에서 잠재적인 유용성을 가진다. 반면에 GM 농산물은 독점기업에 의한 시장 장악, 생태계 및 건강에 대한 위협, 소비자 선택권에 대한 위협 등과 같은 잠재적인 위해성도 지닌다. GM 농산물의 잠재적인 위해성과 관련해 우리나라, 유럽연합 등의 소비자들은 높은 우려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많은 나라들은 GM 농산물의 위해성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알 권리 및 소비 선택권 차원에서 표시제를 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GM 농산물과 식품에 관한 규정과 제도를 마련하고 있으며, 일부 GM 농산물과 식품에 대한 강제적인 표시제를 운용하고 있다. GM 농산물과 관련된 국제기구의 논의도 활발하다. GATT/WTO 체제 아래 1994년 GATT, TRIPs, TBT, SPS 협정들은 GM 농산물의 표시제 및 무역조치와 관련한 규정들을 제시한다. 생물다양성 협약의 바이오 안전성 의정서(BSP)는 발효될 경우 GM 농산물의 무역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식품규격위원회(Codex), OECD 등의 논의는 GM 농산물의 표시제와 관련한 국제기준의 설정과 관련되므로 국내 관리정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4. GM 농산물의 관리방안 국내외 여건 변화에 대응해 우리나라는 GM 농산물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적절한 정책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GM 농산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선결과제는 위해성 평가·관리·심사체계를 확충하는 일이다. 이와 관련해 위해성 평가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시설을 확충하며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GM 농산물에 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수입 GM 농산물에 대한 검역체계를 확립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부처간 명확한 업무 분장이 요구된다. 5. GM 농산물의 표시제 개선 방안 현재 시행하고 있는 GM 농산물의 표시제는 여러 보완적인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먼저 GM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정보를 확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환경 표시제의 운용에서 나타나듯이, GM 아닌 농산물의 인증 비율이 일정한 수준으로 조절될 때에 표시제의 효과가 지속될 수 있다. GM 농산물과 관련된 국제기구의 논의 동향을 면밀히 파악해 국제기준을 반영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이고 유연한 정책수단 개발이 필요하다. 표시제의 요건 가운데 증명서 구비 등은 실효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산물과 식품 사이에 일관된 표시내용 채택이 또한 필요하다. 끝으로, 중장기적으로 GM 농산물 유통의 투명성과 식품안전의 확보를 위해 정체성 보존(Identity Preservation) 체제를 확충하는 일이 과제이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Since genetically modified (GM) agricultural products were commercialized in the mid-1990s, some of leading agricultural exporting countries in the world have increasingly adopted biotechnology and led to a rapid expansion of GM agricultural production. Korea is also developing a variety of GM agricultural products, which are expected to appear in the market in four to five years. As one of major importers for agricultural products, Korea is presumed to import certain amounts of GM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soybeans, corn, cotton and rapeseed. In 2000, it is indirectly estimated that GM soybeans account for 32% of total soybeans import and GM corn amounts to 9% of total corn import by the country. Adoption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is a double-edged sword in terms of its impact on society and ecological environment. On the one hand, it may contribute to farm profitability by reducing input use and boosting yield, reduction of environmental stress, and improvement of nutritional values and food quality. On the other hand, GM agricultural products could cause potential harms to the world by allowing multinational companies to exercise monopolistic market power, increasing threats to ecosystem and human health, and undermining consumers choice in the market. Studies show that the potential threats of GM agricultural products are of great concern to a majority of consumers. In this respect, many countries have adopted risk management systems and introduced labeling schemes for GM agricultural products with a view to securing consumers right to choose and information.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that is establishing relevant regulations and policies and operating a mandatory labeling scheme for GM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 In addition to domestic levels, a few international organizations give efforts to address biotechnological issues and institute international regulations and guidelines for GM organisms. In particular, GATT/WTO agreements such as 1994 GATT, TRIPs, TBT and SPS provide with basic rules for labeling schemes and trade measures, which may apply to the cases of GM agricultural products. Once ratified, the Cartegena Protocol on Biosafety under the Convention of Biodiversity is likely to impact transboundary movement of GM agricultural products largely. Other international bodies including Codex and OECD are struggling to set up international standards for GM food labeling schemes. Being subject to international regulations, Korea is required to establish effective management systems and labeling schemes for GM agricultural products. A prerequisite condition for the systems is to prepare specific rules and guidelines for risk assessment, risk management, and risk analysis.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ssessment techniques and facilities commensurate with fostering experts. It also calls for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that accumulates and distributes data and information for GM agricultural products. A current quarantine system must be extended and then applied to GM agricultural products from overseas lest unapproved or unidentified GM agricultural products should enter the border. In the administration level, specific and distinctive roles and responsibility should be assigned to relevant ministries such that each ministry is able to participate in policy implementation efficiently. Modification or introduction of supplementary measures woul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urrent labeling schemes. Firstly, labeling schemes would be viable only when consumers recognition of GM agricultural products is sustained and the public is continuously provided with related information. Secondly, in order to maintain price premiums for non-GM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market, its share in total agricultural outputs should be controlled under a certain level. Thirdly, since a few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re setting up common standards for labeling, domestic schemes must be flexible enough to reflect and comply with those guidelines. Fourthly, some of labeled information and labeling requirements must be modified in order to meet the originally designed goals. Finally, it requires the Identity Preservation(IP) system to acquire transparency and food safety in marketing of GM agricultural products. | - |
dc.title | 유전자변형 농산물의 관리 및 표시에 관한 정책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Management and Labelig Schemes for Genetically Modified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im, Songsoo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Park, Yongha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