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주민의 삶의 질 측정에 관한 연구

영문 제목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Indicators for Rural Residents in Korea
저자
박대식최경환
출판년도
2002-12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1
2.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3
3. 연구의 내용과 방법6
제2장 삶의
질 측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삶의 질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검토10
2. 삶의 질의 측정방법13
3. 삶의 질 지표로 이용할
수 있는 관련 지표14
4. 삶의 질 지표의 설정방법15
제3장 농촌주민의 삶의 질 측정 관련 국내 통계자료의 현황과
문제점
1. 전국 단위 통계자료17
2. 도 단위
통계자료19
3. 시·군 단위 통계자료21
제4장 주요 선진국 및 국제기관의 삶의 질 지표체계
검토
1. 주요 선진국의 삶의 질 지표체계24
2.
국제기관의 삶의 질 지표체계30
3. 시사점33
제5장 농촌주민의 삶의 질 지표체계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1. 전문가 의견조사 개요35
2.
응답자들의 일반적 특성37
3. 전문가 의견조사의 주요 결과38
제6장 농촌주민의 삶의 질 지표체계 시안의 문제점 파악을 위한
주민조사 결과
1. 농촌
주민조사 개요45
2. 응답자들의 일반적 특성46
3. 농촌
주민조사에서 파악한 삶의 질
지표체계 시안의
문제점48
4. 농촌주민의 삶의 질 지표체계 조정에
있어서
현지 주민조사 결과의 활용내역49
제7장 농촌주민의 삶의 질 지표체계
1.
농촌주민의 삶의 질 지표체계의 기본방향52
2. 농촌주민의 삶의 질의 부문 및
관심영역53
3. 농촌주민의 삶의 질 지표체계56
4. 용어 해설
및 산식70
제8장 농촌주민의 삶의 질 측정 관련 조사체계의
확립
1. 전국 단위의 기존 통계자료의 활용85
2.
간이조사 방안87
3. 총 조사 방안87
4. 도 및 시·군 단위
통계 생산체계의 개선88
제9장 요약 및 결론89
부록
부록 1. 농촌주민의 '삶의 질' 측정에 관한
전문가 의견
조사표98
부록 2. 농촌주민의 '삶의 질'
측정지표의
문제점 파악을 위한
현지조사표113
부록 3. 농촌주민의 삶의 질 실태조사 결과130
Abstract134
참고문헌136
요 약
농촌주민의 삶의 질 측정 관련 자료로는 [한국의 사회지표], [농촌생활지표]등이 있으나 각각 '삶의
질'의 일부분만을 다루고 있다. 더구나 농촌주민의 삶의 질 측정 관련 통계자료나 선행연구들은 여전히 양적 지표 중심일 뿐만 아니라 농촌주민의
입장에서 이해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여 농촌주민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정말로 중요하고 심각한 문제가 무엇인지를 충분히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① 농촌주민의 삶의 질 수준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지표체계를 마련하고, ②
앞으로 농촌주민의 삶의 질 실태를 정기적으로 조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 방법은 기존자료 조사, 델파이조사 방법을 통한 전문가 의견조사, 농촌주민의
삶의 질 지표의 문제점 파악을 위한 현지 주민조사 등이다.
농촌주민의 삶의 질 지표체계 최종 시안은 7개 부문(경제적 삶, 건강한 삶, 안전한 삶, 편리한 삶,
쾌적한 삶, 안정된 삶, 즐기는 삶)의 총 87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대표지표는 총 26개인데, 경제적 삶 부문에서 4개(가구소득,
소득만족도, 직업만족도, 평균 근로시간), 건강한 삶 부문에서 4개(주관적 건강 평가, 와병일수, 의료기관에 대한 접근도, 보건의료서비스
만족도), 안전한 삶 부문에서 4개(보고된 범죄 발생 총 건수, 전화폭력 경험,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 정도, 지역사회의 안전 수준에 대한
만족도), 편리한 삶 부문에서 3개(주택에 대한 만족도, 컴퓨터 사용시간, 자동차 소유 여부), 쾌적한 삶 부문에서 4개(상수도 보급률,
수질오염도, 하수·오수 처리 방법, 지역사회생활의 쾌적성에 대한 만족도), 안정된 삶 부문에서 3개(노후준비 정도, 학력, 교육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즐기는 삶 부문에서 4개(공연장·전시장 관람, 신문구독, 문화·여가시설 만족도, 사회단체 참여)의 지표가
선정되었다.
농촌주민의 삶의 질 측정 관련 조차체계는 전국 단위의 기존 통계자료를 활용하는 방안, 농촌주민의 삶의
질 실태에 관한 간이 및 총 조사 방안, 도 및 시·군 단위 통계 생산체계의 개선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전국 단위의 기존 통계자료를 활용하는 방안으로는 우선 통계청의 [한국의 사회지표], 농촌생활연구소의
[농촌생활지표] 생산 시에 기존의 모든 지표들에 대하여 가급적 동부와 읍·면부간의 비교분석을 추가하도록 요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농촌주민의 삶의 질 실태에 관한 간이조사 방안은 농촌주민의 삶의 질 지표체계 중의 대표지표를 중심으로
매년 간이조사를 하는 방안이다. 농촌주민의 삶의 질 실태에 관한 총 조사방안은 농촌주민의 삶의 질 지표체계를 근거로 삼아 매 5년마다 삶의 질
지표 전체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는 방안이다.
도 및 시·군 단위 통계 생산체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① 도별 사회지표의 생산을 장려하고 지표 생산
시에 도·농간 비교를 의무화하고, ② 도 및 시·군 단위 통계자료 생산 시에 중앙 단위의 '삶의 질' 관련 통계자료와의 연계를 강화하며, ③ 도
및 시·군 단위 통계자료의 조사체계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농촌주민의 삶의 질 지표체계(최종 시안) 또는 통계청의 [한국의 사회지표]체계 중심으로
개편하도록 유도해야 하며, ④ 도 및 시·군의 통계연보 조사항목을 전면적으로 재조정하고 관련 통계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농촌주민의 삶의 질 지표체계가 구체적인 지표생산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통계청,
농림부, 농촌진흥청과 같은 정부 중앙 부처, 연구기관, 지방자치단체간의 긴밀한 협조가 필수적이다. 그리고 이들간에는 기존의 조사체계, 인력,
예산 등을 감안하여 적절한 역할 분담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prepare the
quality of life indicators which measure exactly the level of rural residents'
living in Korea; 2) to establish the survey system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residents periodically. The major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were the collection of existing related data, the E-mailed
survey, and the field survey. The collection of existing related data was
conducted by investigating the data of related 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research institutes.
The E-mailed survey was administered by the one hundred specialists to
collect the opinions of the quality of life related experts. The field survey
was administered by the residents of 6 village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entative quality of life indicator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ies, percentage, mean were used to organize and summarize the data of
E-mailed and field survey.
A final proposal on the quality of life indicators for rural residents
in Korea consists of 7 fields(economic, healthy, safe, convenient, comfortable,
stable, enjoyable life) and 87 indicators. Also, the final proposal consists of
26 representative quality of life indicators(household income, incom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verage work hours, subjective health
evaluation, days in bed,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satisfaction with
health and medical service, number of reported criminal offenders, experience of
telephone-harassment, reported fear of crime, satisfaction with community
safety, satisfaction with housing, average hours of using computer, car
possession, water supply rate, water pollution, sewage treatment, satisfaction
with the amenity level of community, preparation for old-age, education,
satisfaction with education service, attendance at performance and exhibitions,
newspaper subscription, satisfaction with culture and leisure facilities,
participation in social group).
The method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residents can
be classified into 4 ones: 1) use of the existing national statistical data; 2)
handy survey on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residents; 3) comprehensive survey
on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residents; 4) the improvement of statistics
production systems at the unit of province, city, and county.
발간물 유형
KREI 보고서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515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 (R)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Files in This Item:
농촌주민의 삶의 질 측정에 관한 연구.pdf (836.64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