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인정-
dc.date.accessioned2018-11-15T07:56:23Z-
dc.date.available2018-11-15T07:56:23Z-
dc.date.issued1980-06-
dc.identifier.otherS002-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522-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문제의 배경과 연구목적 2. 개념의 정의 : 농촌 새마을 운동과 농촌개발 3. 연구방법 4. 연구의 전개 제 2 장 농촌 새마을 운동의 내용과 추진체제 1. 이론적 접근 2. 농촌 새마을 운동의 전개과정과 이념 및 목적 3. 농촌 새마을 운동의 세가지 영역 4. 추진체제와 지원방식 제 3 장 농촌 새마을 운동의 추진실적 1. 새마을 사업의 투자규모와 부문별 배분 2. 투자재원의 조달 3. 새마을 사업의 부문별 실적 제 4 장 주민들의 가치관과 의식구조 1. 서 2. 주민들의 가치관 3. 주민들의 태도유형 4. 주민들의 가치관과 태도유형의 변화에 있어서 새마을 지도자의 영향 제 5 장 농촌의 발전적 리더쉽 1. 서 2. 농촌 리더쉽의 생성 3. 새마을 지도자의 재임형태 4. 새마을 지도자의 사회·경제적 배경 5. 새마을 지도자의 역할수행 6. 새마을 지도자의 동기수준과 행동유형 제 6 장 농촌 새마을 운동의 경제적 성과 1. 국민경제에 미친 영향 2. 마을경제에 미친 영향 제 7 장 새마을 운동의 평가 1. 새마을 운동의 조합평가 : 요약 2. 새마을 운동의 이론적 의미 3. 새마을 운동의 성공요인 제 8 장 80년대 농촌개발의 방향 : 결론 1. 농촌사회의 여건변화 2. 80년대 개발전략의 기조전환 3. 80년대 농촌운동의 발전과제 4. 결 론 부 록 Ⅰ : 농촌 새마을 운동에 대한 설문(농가 경영주 대상) 부 록 Ⅱ : 농촌 새마을 운동에 대한 설문(새마을 지도자 대상) 부 록 Ⅲ : 새마을 사업에 관한 의견조사(새마을 담당 공무원 대상) 부 록 Ⅳ : 마을의 사회 경제 실태조사-
dc.title한국의 종합농촌개발 : 새마을운동의 평가와 전망-
dc.title.alternativeIntegrated Rural Development in Korea: Evaluation of the Rural Saemaul Undong and its Perspective-
dc.typeKREI 보고서-
dc.contributor.alternativeNameWhang, Injoung-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연구총서 (F)
Files in This Item:
한국의 종합농촌개발 : 새마을운동의 평가와 전망.pdf (8.39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