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KREI OA 정책
KREI 전자도서관
검색
Collections
KREI 연구자
Titles
Date
저자
KREI Repository
연구보고서
연구총서 (F)
지역농업과 복합영농
DC(XML)
XLS (EXCEL)
RIS (EndNote)
영문 제목
Diversified farming and Regional Agriculture
저자
허신행
; 
출판년도
1984-05
목차
제 1 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지역농업과 복합영농의 개념
지역의 개념 / 용어의 정리 / 지역농업의 정의
3. 연구의 범위와 구성
제 2 장 농업지대구분과 농작물재경분포
1. 농업지대의 개념과 형성
2. 농업지대 구분의 기준 및 방법
3. 한국의 기후 및 토지요소
기후 / 지형 / 토양
4. 선행연구의 고찰
기후요소에 의한 분류 / 토지요소에 의한 분류 / 자연조건에 의한 분류
5. 주요농작물의 재경면적분포와 주산지형성
미곡생산의 일반화와 비교우위성 / 대맥 생산지대의 축소 / 대두 생산면적의
분산과 감소 / 고추 생산지대의 점진적 형성 / 마늘 주산지의 삼분화 / 양파
주산지의 양극화 / 참깨 생산지대의 분산 / 들깨 생산지역의 확산 / 땅콩 주
산지의 분산화 / 유채 생산지대의 서남해안 한정 / 사과 생산지대의 확대 /
배 생산지대의 소비지지향
제 3 장 토지이용과 농업입지론
1. 토지의 개념과 이용
토지의 개념 / 토지이용론 / 국토이용의 현황과 전망
2. 토지이용 및 생산형태의 변동요인
판매시장 및 유교수요 / 시장거리 및 운송비용 / 전문화 및 비교우위성 / 농
업노동력 및 인구분포 / 산업구조의 변화
3. 산업입지론과 농산물 가공공장
단일원료와 단일시장 / 다수원료와 다수시장 / 과점하의 입지와 시장경계 /
완전경쟁하의 입지와 시장경계
4. 농업입지론과 지역간 교역
폰 튜넨의 고립국 / 지대와 농경지 이용모형 / 시장간 가격구조와 입지분화
/ 농산물의 지역간 교역
5. 수도권 농업생산의 환상지대
수도권 농업지역의 자연조건 / 부문별 생산분포와 특화계수 / 수도권 농업생
산의 환상체계의 경제적 함축성
제 4 장 농산물가격의 공간균형과 시장경계
1. 공간가격 균형이론
2. 시장경계와 공간가격
3. 생산시차와 공급지교차
4. 주요품목의 주산지와 출하시기
배추의 주산지와 출하시기 / 무의 주산지와 출하시기 / 오이의 주산지와 출
하시기 / 토마토의 주산지와 출하시기
5. 경제적 의미와 정책적 함축성
경제적 의미 / 정책적 함축성
제 5 장 지역농업설계와 지역복합영농
1. 지역농업설계의 필요성
설계의 개념과 함축성 / 생산기반의 효율적 정비 / 농업경영조직의 개선 /
농업생산기술의 개발 및 확대보급 / 공동판매의 유리성 추구 / 공공기관과의
협조관계 원활
2. 지역농업개발의 주체
행정기관 주도형 / 농협 주도형 / 지역농민 주도형 / 추진체계의 확립
3. 지역농업의 과제와 설계내용
지역농업개발과제 / 지역농업의 진단 / 지역농업개발방향과 영농유형의 설정
/ 지역농업반의 재편성 / 공공이용조직 및 협업의 모색 / 생산조정 및 공공
출하계획
4. 지역복합영농의 구상
복합영농의 배경과 지역복합영농 / 지역복합영농의 경제적 의미와 성립조건
/ 지역복합영농의 경영조직 / 지역복합영농의 적용과제
제 6 장 한국농업경영의 특성과 성장제약요인
1. 경지규모의 영세성과 이용상의 문제
농경지규모의 영세성 / 농지소유와 이용상의 모순 / 지가상승과 고율임차료
/ 농업생산기반의 미정비 / 농경지이용구조와 이용율하락
2. 농가인구 감소와 농업노동생산성의 저위
농가인구의 유출과 취업구조 변화 / 이농인구의 질과 잔유노동력의 생산성 /
농업노동력의 배분의 계절적 불균형
3. 농업자본재의 빈약과 유치성
농업고정자본의 빈약 / 주요 유동자본재의 소비실적 / 농업자본집약도와 자
본생산성 및 효율
4. 농업생산기술의 저위성
농산물류별 생산기술수준 / 생산기술수준의 국내외비교 / 기술개발의 방향과
새로운 영역
5. 농업경영의 형태와 조직
농업경영형태 / 농업경영조직 / 농업경영의 발전단계
제 7 장 소규모농가경제의 성장전략과 복합영농개척사례
1. 농경지조성에 의한 규모확대와 복합영농
2. 공동방목에 의한 규모확대와 복합영농
3. 연회식 집약영농에 의한 경영규모확대와 복합영농
도시근교 시설원예 : 년 7기작 / 작촌체계개선 / 집약사료작물 재배에 의한
낙농
4. 농기계 공동이용에 의한 경영 규모 확대
기계구입에 의한 차지 및 수화영농 / 기계화 영농단
5. 협업에 의한 경영개선과 복합영농
6. 협동조합의 선도적 지역농업개발
7.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책과제와 한계
발간물 유형
KREI 보고서
보고서 번호
S013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533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연구총서 (F)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공개 및 라이선스
공개 구분
공개
Files in This Item
지역농업과 복합영농.pdf
결과 데이터 / 11.21 MB / application/pdf
Download
BROWSE
Collections
Titles
저자
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