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전망 2005 (II) : 한국농업의 도전과 전망
- 저자
- KREI
- 출판년도
- 2005-01
- 목차
- 제 3 부 전망 Ⅰ: 농업·농촌경제
제 11 장 농업여건 변화와 농업경제 전망 293
1. 세계경제 동향과 전망 293
2. 국내경제 동향과 전망 298
3. 농업성장과 농가소득 전망 302
제 12 장 DDA·FTA 추진 전망과 한국농업 317
I. FTA 추진 전망 317
1. 우리나라의 FTA 정책 317
2. FTA 추진 전망 319
3. FTA 협상과 농업부문 325
II. DDA 추진 전망 331
1. 농업협상의 경과 331
2. 기본 골격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332
3. 농업협상의 과제와 전망 337
4. 우리 농업의 대응 방향 344
제 13 장 농가경제 동향과 전망 347
1. 농가경제 동향 347
2. 농가구성 변화와 소득격차 354
3. 농가의 소비실태 363
4. 농가부채 동향과 상환능력 366
제 4 부 전망 Ⅱ: 곡물·임산물·축산물
제 14 장 곡물부문 동향과 전망 377
1. 세계 곡물수급 동향 377
2. 세계 곡물가격 동향 386
3. 세계 곡물무역의 특징 388
4. 한국의 곡물수급 동향과 전망 391
5. 한국의 곡물수입 동향과 특징 397
6. 요약 및 과제 401
제 15 장 임산부문 동향과 전망: 밤·표고 405
1. 밤 405
2. 표고버섯 418
제 16 장 축산물 수급 동향과 전망 431
종 합 431
1. 한육우 435
2. 젖 소 452
3. 돼 지 464
4. 산란계 473
5. 육 계 479
제 5 부 전망 Ⅲ: 채소·과일·과채
제 17 장 양념채소류 수급 동향과 전망 491
종 합 491
1. 고 추 493
2. 마 늘 504
3. 양 파 514
4. 대 파 523
5. 쪽 파 531
제 18 장 엽·근채류 수급 동향과 전망 539
종 합 539
1. 배 추 540
2. 무 550
3. 양배추 556
4. 당 근 561
5. 감 자 568
제 19 장 과일 수급 동향과 전망 577
종 합 578
1. 사 과 581
2. 배 590
3. 감 귤 599
4. 단 감 613
5. 포 도 622
6. 복숭아 634
7. 과일 소비실태 643
제 20 장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653
종 합 653
1. 오 이 656
2. 호 박 665
3. 참 외 675
4. 수 박 682
5. 딸 기 689
6. 토마토 697
- 발행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발간물 유형
- KREI 보고서
- 보고서 번호
- M060-2
- 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788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농업전망 (A)
- 공개 및 라이선스
-
- Files in This Ite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