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민경택 | - |
dc.contributor.other | 석현덕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8:01:32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8:01:32Z | - |
dc.date.issued | 2005-10 | - |
dc.identifier.other | C2005-33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868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발주처:산림청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2 3. 연구 내용과 방법 3 제2장 우리나라 임산물 생산 현황과 수출체제 1. 밤 5 2. 표고 16 3. 송이 24 제3장 일본 임산물 시장조사 1. 일본 임산물 수입 시장의 특징과 SWOT 분석 33 2. 품목별 시장여건 37 3. 일본의 임산물 수입에 관한 비관세장벽 81 4. 일본의 농림산물 수출지원정책 84 제4장 중국 임산물 시장 조사 1. 중국에 대한 임산물 수출 가능성 89 2. 품목별 시장 여건 98 3. 중국의 임산물 수입에 대한 비관세장벽 120 4. 중국의 임산물 수출 지원 정책 123 5. 우리나라 임산물의 중국 수출전략 126 제5장 단기소득 임산물의 수출확대 전략 1. 임산물 수출확대를 위한 기본 방향과 목표 133 2. 단기소득 임산물의 수출전략 품목 선정 137 3. 임산물 수출확대를 위한 품목별 추진 전략 140 제6장 결론 및 요약 155 참고문헌 160 [부록] MCA와 CMS 비교 163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임산물 수출대상국의 비관세장벽 현황 및 전략품목 개발을 위한 시장조사 :밤, 표고, 송이를 중심으로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임산물 수출대상국의 비관세장벽 현황 및 전략품목 개발을 위한 시장조사 :밤, 표고, 송이를 중심으로.pdf
결과 데이터 / 1.72 M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