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마상진 | - |
dc.contributor.other | 김영생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8:02:30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8:02:30Z | - |
dc.date.issued | 2005-12 | - |
dc.identifier.other | R506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4908 | - |
dc.description.abstract | 이 연구는 농업인력의 전문성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현행 농업인 교육·훈련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농업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① 농업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문제를 진단하고, ② 농업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③ 농업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이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은 문헌고찰, 설문조사 및 면접조사, 전문가 자문 등이었다. 문헌고찰을 통해 농림부, 농촌진흥청 및 농협 등 농업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지원·제공 주체들의 농업인 교육·훈련 관련 정책 동향을 고찰하고 농업인 교육·훈련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또한 농업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 진단 및 요구 분석을 위해 773명의 농업인, 37개 농업인 교육·훈련 단체에 설문조사 및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농업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문제 진단은 CIPP 모형에 근거하여 상황요인, 투입요인, 과정요인, 산출요인의 4가지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농업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조사는 프로그램 내용, 프로그램 방법, 프로그램 관련 지원사항에 대하여 이루어졌다. 그리고 연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원내외 농업인 교육·훈련 관련 전문가 자문을 받았다. 농업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 진단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① 농업인들은 교육·훈련에 대하여 그 효과성을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② 농업인 교육·훈련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문제점 중에서 대상자별 프로그램 내용 차별화가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할 사항이었다. ③ 농업인 교육·훈련 기관에 교육·훈련 담당 인력이 충원될 필요가 있었다. ④ 농업인 교육·훈련 프로그램별 목표설정 및 내용선정이 능력중심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⑤ 농업인 교육·훈련 기관들은 프로그램 홍보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⑥ 프로그램 과정요인(프로그램 실시 시간과 장소, 강사, 교수학습방법)과 관련한 농업인 교육·훈련 기관들의 수요자 중심성이 다소 미흡하였다. ⑦ 각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활동이 다소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⑧ 교육 이수생들에 대한 사후관리가 미흡하였다. ⑨ 농업인 교육·훈련 기관들의 프로그램 운영 실태는 기관유형별로 일부 차이가 있었다. 한편, 농업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① 농업인들은 생산기술, 마케팅 이외에도 다양한 영농 영역에 대한 교육·훈련 요구가 있었다. ② 농업인들은 소규모 인원으로 구성된 교수학습과 견학식으로 진행되는 교수학습을 많이 선호하였다. ③ 농업인들은 그들의 현실과 특성을 이해하고 있는 강사를 선호하였다. ④ 농업인들은 프로그램 평가 방법으로 실습평가를 선호하였다. ⑤ 농업인들은 겨울철 교육·훈련과 단기 교육·훈련을 선호하였다. ⑥ 농업인들은 농업관련 공무원과 신문·방송 등을 통해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얻고 있었다. ⑦ 농업인들은 교육·훈련 비용에 대한 지원을 원하고 있었다. ⑧ 농업인들은 사후관리와 관련하여 교육·훈련과 연계된 적절한 영농정보의 제공을 가장 원하고 있었다. ⑨ 농업인들과 농업인 교육·훈련기관 담당자들은 최근 농림부가 교육·훈련 개선과 관련하여 제시한 정책들(온라인 교육, 인턴제, 농업인 자격제, 후견인제 등)에 대해 그 필요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⑩ 농업인들은 교육·훈련 프로그램 내용, 방법, 지원 등에 대하여 영농작목, 경영수준, 영농경력, 성별과 같은 특성에 따라 다른 요구를 하고 있었고, 특히 영농작목에 따른 차별화된 교육·훈련을 원하고 있었다. ⑪ 현행 농업인 교육·훈련 기관들이 제공하고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 현실은 농업인들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와 다소 괴리가 있었다. 관련 정책 및 연구 동향 검토, 문제 진단 및 요구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농업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훈련을 통해 농업인들의 전문성이 제고되기 위해서는 “원하는 농업인은 누구나”, 학계 및 현장 전문가들에 의해 능력중심으로 개발된 “최고의 내용”을, “최고의 전문가로부터”, 농업인들이 “필요로 하는 적시에”, “원하는 장소에서”, “최적의 방법으로” 경험함으로써 “영농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지향되어야 한다. 둘째,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훈련 프로그램 실현하기 위해서는 농업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상황요인, 투입요인, 과정요인, 산출요인 등을 동시에 고려하여 각 교육·훈련 기관과 정부 차원에서 협력적으로, 체제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셋째, 단기적으로는 상황요인과 관련하여 담당인력 보강, 프로그램 기획 활동 강화, 교육·훈련 기관간 네트워크 구축, 담당인력의 전문성 개발 및 교육·훈련 컨설팅 등의 활동이, 투입요인과 관련하여 능력중심 프로그램 내용 조직, 영농작목별 프로그램 운영, 프로그램 홍보 지원, 예산지원체제 개선 등의 활동이, 과정요인과 관련하여 현장 전문가 풀 지원, 공공기관의 교육·훈련 시설 지원, 현장학습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 개설시기 조정 등의 활동이, 산출요인과 관련하여 프로그램 평가와 이수생 사후관리 프로그램 연계, 기관 프로그램 평가 개선 등의 활동이 추진되어야 한다. 넷째, 중·장기적으로는 Blended Learning 중심의 농업인 교육·훈련 체제가 추진되어야 한다. 상황요인과 관련하여 농업인력개발 관련 연구, 기관 담당자들의 Blended Learning 운영관련 전문성 개발의 활동이, 투입요인과 관련하여 농업능력표준 개발, On-line 프로그램 개발 등의 활동이, 과정요인과 관련하여 전문가 풀 구축, On-line/Off-line/현장 학습 프로그램 운영, On-line 프로그램 개발 인프라 지원, 맞춤형 교육·훈련 가이드 실시 등의 활동이, 산출요인과 관련하여 농업인 영농 컨설팅, 교육·훈련 이력 관리 및 자격제 도입 등의 활동이 추진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방안의 추진을 위해서, 그리고 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부문에 대한 보완과 더불어 종합적인 농업인 교육·훈련 체계 정립을 위해 필요한 후속과제로 ① 농촌진흥기관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진단 연구, ② 지역 농협 및 품목별 협동조합 차원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진단 연구, ③ 다양한 현장학습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연구, ④ 농업인 교육·훈련 기관의 담당자들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 ⑤ 능력중심 교육·훈련 프로그램 내용 체계 또는 농업능력표준을 개발하는 연구, ⑥ 농업인 교육·훈련을 위한 On-line 프로그램과 Blended Learning 체제 도입을 위한 연구, ⑦ 농업인 개인의 교육이력을 체계화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 ⑧ 기관유형별로 교육·훈련 프로그램 진단하고 컨설팅하는데 근거가 되는 준거 개발 연구, ⑨ 농업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평가하는 연구, ⑩ 농업인의 학습 실태와 그에 따른 정책과제를 도출하는 연구 등을 제언하였다. | - |
dc.description.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rategies to improv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designed to enhance Korean farmers' farming professional skills. For the purpose, literature reviews, surveys, interviews, and experts reviews were carried out. The literature reviews on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olicies and the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have found the problems of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and suggested some strategic ideas to resolve these. Based on the survey of thiry seven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 practioners of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and the additional interviews of some of them, some specific evidences on the problems of current farmer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were found. The CIPP(context, input, process, and product) model was applied to this end. Based on the survey of 773 farmers and the additional interviews of some of them, farmers' specific needs were analyzed in terms of program contents, program methods, and program supports. Through agricultural education and training related experts reviews, the validities of survey instruments and study results were proved. This study suggested strategies to improve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such as basic direction, short-term strategies, and mid to long-term strategies. The basic direction of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should be customized for every farmer, which means every farmer could have an access to the best program contents, anywhere, at anytime, by the best way facilitated by the best experts. As short-term strategies, strategies which can be executed by both the institutes and the government without large-scale reform of current system were suggested. Each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 should supplement HRD practitioners; plan programs with thorough target population need assessment; develop program contents based on the specific farming; deliver livestock and crop-specific programs; perform various workplace learning programs; adjust program opening time; connect program evaluation to follow-up programs.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network of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develop HRD practitioners' competences and subsidize HRD consulting service of the institutes; support competence-based program development and program public relation(PR) of the institutes; build up the database of field oriented instruction experts and training facilities; adjust education and training budget system; improve program evaluation criteria. As mid to long-term strategies, strategies were proposed based on "Blended Learning" providing farmers with various forms of learning including on-line, off-line and workplace learning. While the mid and long-term strategies should also be executed by both the government and the institutes, the government should play a pivotal role such as developing on-line learning programs based on national farming ability standards; setting up the internet learning portal site for farmers; supplying the farmer consulting service; conducting the farm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searches; managing the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career passport; supporting on-line learning infrastructure of each institute. Farmer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should furnish the customized programs utilizing the programs, services, and infrastructures supported by the governmeat. Lastly, this study made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Researchers: Sang-jin Ma, Young-Saing Kim E-mail address: msj@krei.re.kr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 론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목적 4 3. 연구 범위와 방법 4 제2장 농업인 교육·훈련 정책 및 연구 동향 1. 정책 동향 17 2. 연구 동향 23 제3장 농업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문제 진단 1. 효과성과 문제점 41 2. 상황요인 46 3. 투입요인 51 4. 과정요인 58 5. 산출요인 64 6. 소결 67 제4장 농업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1. 내용 관련 요구 74 2. 방법 관련 요구 89 3. 지원 관련 요구 99 4. 교육·훈련 관련 정책에 대한 인식 102 5. 소결 106 제5장 농업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선방안 1. 기본 방향 113 2. 단기적 개선방안 116 3. 중·장기적 개선방안 133 4.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144 부록 1: 농업인 교육·훈련 프로그램 실태 조사지 149 부록 2: 농업인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요구 조사지 156 부록 3: 설문조사 대상 농업인 특성 164 부록 4: 농업인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농업인 특성별 요구 조사결과 169 부록 5: 농업인 교육·훈련 기관별 교육·훈련 프로그램 186 참고 문헌 202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농업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선방안 | - |
dc.title.alternative | Strategies of Improving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o Enhance Farmers' Farming Professional Skills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Ma, Sangjin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Youngsaing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