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경환-
dc.contributor.other마상진-
dc.date.accessioned2018-11-15T08:21:18Z-
dc.date.available2018-11-21T01:20:35Z-
dc.date.issued2008-11-
dc.identifier.otherC2008-43-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5326-
dc.description.abstract최근 농어업의 국내외 여건이 급변하고 있다. 원유가격 폭등으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수요 증가로 국제 곡물가격이 상승하면서 식량부족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다. 또한 쇠고기 파동(광우병)에 이은 멜라민 파동으로 식품 안전성이 국내외적으로 커다란 관심사가 되었으며, 지구온난화에 대응한 녹색성장이 국제적으로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이러한 일련의 상황들은 앞으로 농어업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비록 농어업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양적 비중은 줄어들고 있지만, 그 가치와 기능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농어업은 물론 농어촌과 식품산업에 대하여 국민들이 제대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특히 미래사회의 주역이 될 학생들이 농어업·농어촌·식품산업에 대하여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농어업정책은 물론 국민들이 건강한 생활을 누리기 위한 기반을 조성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학생들은 농어업·농어촌·식품산업에 대하여 다양한 통로로 정보를 확보하지만 가장 중요한 수단은 교과서이다. 따라서 초·중등학교의 각종 교과서에서 농어업·농어촌·식품산업에 대하여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미래를 이끌어갈 초·중등학생들이 농어업·농어촌 및 식품산업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습득할 수 있도록 각급 교과서를 심층 분석하여 사실 왜곡, 부정적 이미지를 주는 내용에 대하여 개정방향이나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여 금후 교과서 개발 과정에 반영시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관련 제도 검토, 교육내용 체계화, 교과서 분석, 비농업분야 및 외국의 사례 검토 등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초·중등학교 교과서 개발 주기가 정시 개정에서 수시 개정으로 전환되고, 개발형태도 국정교과서에서 검정교과서로 전환되는 상황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내용들을 적기에 교과서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rategies on revising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xtbooks to better reflect the values and functions of agriculture, fishery and food industri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reviewed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revising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xtbooks, including related policies and regulations. This study developed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with agriculture, fishery and food industries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the delphi method. The contents consisted of six thematic areas: ① functions and values of agriculture, fishery, and food industries, ② production of agriculture and fishery, ③ processing and distribution of agriculture and fishery, ④ values and safety of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and foods, ⑤ agriculture, fisher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nd ⑥ agricultural and marine policies. Additionally, the proper learning levels of each content were identified based on a survey of 150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xtbooks to investigate what and how the contents are covered and whether there are any errors to be corrected. Finally,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this study investigated comparable cases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food education of Japan, agriculture in the classroom of USA as well as in non-agricultural sectors such as health education of department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The results of this study led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better cover the functions and values of agriculture, fishery, and food industries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xtbooks: ① incorporate agriculture, fishery and food industry related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 to students' learning levels; ② assemble, develop, assort and distribute educational materials related with agriculture, fishery and food industry; ③ enhance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textbook writers on agriculture, fishery and food industry; ④ develop textbooks that contain systematic educational contents on agriculture, fishery and food industry; ⑤ operate a standing committee to monitor textbooks 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⑥ build an administrative bas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uch projects.Researchers: Choi Kyeong-Hwan and Ma Sang-JinResearch period: 2008. 7. - 2008. 11.E-mail address: kyeong@krei.re.kr, msj@krei.re.k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서론초·중등학교 교과서 재·개정 제도농어업·농어촌·식품산업의 교육내용 체계화현행 초·중등학교 교과서의 농어업·농어촌·식품산업 내용분석농어업·농어촌·식품산업 교육내용의 초·중등학교 교과서 반영방안요약 및 결론-
dc.publisher한국농촌경제연구원-
dc.title초·중등학교의 농어업·농어촌 및 식품산업에 대한 교과서 개정방안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Strategies on Revising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xtbooks for Reflecting the Functions and Values of Agriculture, Fishery and Food Industries-
dc.typeKREI 보고서-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Kyeonghwa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Ma, Sangjin-
dc.embargo.terms9999-12-31-
dc.embargo.liftdate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수탁보고서 (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