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의 다문화가정 실태와 정책방향

영문 제목
Current Situation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and Policy Tasks
저자
박대식최경은
출판년도
2008-11
초록
최근 농촌에서 다문화가정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결혼이민자들은 농촌사회의 새로운 구성원으로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기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가정의 사회문화적 적응과 가족의 안정성 강화, 사회통합이 중요한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첫째, 농촌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의 생활실태 및 문제점을 영농 및 기타 경제활동, 사회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파악하고, 둘째, 국내외의 다문화가정 관련 정책 및 사업을 검토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셋째, 농업·농촌의 특수성을 고려할 뿐만 아니라 다문화주의적 시각에서 도출한 농촌 다문화가정 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연구방법은 농업·농촌의 특수성을 고려한 정책방향을 도출하기 위해서 농촌(읍·면)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국제결혼 과정 및 결혼생활 실태, 영농 및 기타 경제활동, 사회참여 및 사회복지 실태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서 파악하였으며, 설문조사로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은 심층 면접조사 및 관찰을 실시하였다. 한편 관련 행정조직 담당자와의 면접조사와 외국 사례조사 등을 통해서 국내·외의 다문화가정 지원 실태를 파악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investigate current situation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centering on farming and other economic activities, social welfare services; 2) to identify the curr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related policies; 3) to suggest policy tasks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The major research methods were the field survey, in-depth interview,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existing data, and so on.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among 400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Existing related data were collected by searching the data of related research institutes and 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among 20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ies, percentage, mean were used to organize and summarize the data.
According to the field survey, 43.2% of the femal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not(or rarely) participating in farming. Only a small percentage(7.5%) of the femal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participating non-farm economic activities. 79.1 percent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had the farm land of 2ha or less. 53.6 percent of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had the annual household income of 20 million won or less.
Major policy tasks from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are ①improvement of multi-cultural family related laws; ② construction of cyber support system, ③ provision of precise information and pre-education, ④ improvement of service delivery system, ⑤ reinforcement of Korean and mother tongue education, ⑥ improvement of agricultural education, ⑦ construction of agricultural foundation and support for agricultural succession generation, ⑧ support of agribusiness and non-farming activities, ⑨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system and expansion of social welfare services.
Researchers: Dae-Shik Park, Kyung-Eun Choi
Research Period : 2008.1. ~ 2008.11.
E-mail Address: pds8382@krei.re.kr
목차
서론
다문화 관련 이론적 검토
다문화가정의 형성 경로와 현황
국제결혼 과정 및 결혼생활 실태
영농 및 기타 경제활동 실태
사회참여 및 사회복지 실태
다문화가정 관련 지원의 현황과 문제점
외국의 다문화가정 정책
농촌 다문화가정 정책의 개선방향
요약 및 결론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발간물 유형
KREI 보고서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5360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 (R)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Files in This Item:
농촌의 다문화가정 실태와 정책방향.pdf (2.51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