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철민 | - |
dc.contributor.other | 이명기 | - |
dc.contributor.other | 한호석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8:22:28Z | - |
dc.date.available | 2018-11-21T01:20:34Z | - |
dc.date.issued | 2008-12 | - |
dc.identifier.other | C2008-52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5426 | - |
dc.description.abstract | 농림수산업도 과학과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본래의 전통적인 의미와는 다른 형태를 띠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투입재, 가공산업 등 관련산업 부문의 발전에 힘입은 바가 크지만 관련산업 부문도 농림수산 생산부문 없이 발전하기 어려운 상호 의존관계에 있다. 농림수산업에서 본래의 생산기능보다 가공, 유통 등 관련 부분의 성장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다. 농업생산 부문이 전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나 투입재산업, 가공산업, 유통산업, 서비스산업 등 2, 3차 산업의 지원에 힘입어 부가가치는 크게 증가하였다. 일본 등 대부분 선진국의 경우 농림수산업의 개념을 생산부문에 국한시키기보다는 관련산업을 합친 농림수산업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농림수산업의 개념을 전통적인 생산부문에 국한시킬 경우 비중감소로 인해 사양산업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농림수산업의 개념을 선진국과 같이 생산부문에 한정하지 않고 관련산업 부문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대할 경우 성장산업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국내총생산(GDP)은 국가경제의 중요한 거시지표 가운데 하나이다. 농림수산업과 농림수산관련산업의 부가가치가 금액으로 얼마이고, 전체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인가 그리고 그 변화 추세 등은 정책 담당자나 관련 종사자에게 필수적인 자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통계가 아직 체계적으로 작성되지 않고 있다. 일본의 경우 농림수산성에서 이에 대한 통계를 주기적으로 발표하고, 미국은 농무부 경제연구소(ERS)에서 매년 분기별로 통계를 작성하고 있다. 이 연구는 농림수산관련산업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기존 국내외 농림수산관련산업의 부가가치 추정방법을 비교·검토함으로써 농림수산관련산업의 부가가치 추정방법을 개발하며, 개발된 추정방법에 의해 우리나라 농림수산관련산업의 부가가치와 종사자수를 추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여기서 추정된 수치가 개략적인 농림수산업과 농림수산관련산업의 크기 파악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제2장 농림수산관련산업의 개념과 포괄범위 제3장 농림수산관련산업의 부가가치 추정방법 제4장 농림수산관련산업의 부가가치 추계 결과 부록 : 2006년 농림수산관련산업 부가가치 및 종사자 세부산출 내역 참고문헌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농림수산관련산업의 부가가치 및 종사자수 추정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dc.embargo.terms | 9999-12-31 | - |
dc.embargo.liftdate | 9999-12-31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