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농업 및 농가경제 전망 2009∼2019

저자
조영수;  박상미
출판년도
2009-09
초록
지난 상반기 글로벌 금융시장의 잠재적 불안요인에도 불구하고 각국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 등으로 세계경제가 회복할 조짐을 보임에 따라 국내 경제에 대한 전망이 지속적으로 수정되고 있다.
본 속보는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FAPRI(Food and Agricultural Policy Research Institute), EIA(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등 주요 전망기관의 최근 자료와 한국은행이 「2009년 하반기 경제전망」에서 제시한 거시경제지표 전망을 반영하여 올해 초 「농업전망 2009」에서 제공했던 농업 및 농가경제 전망을 수정한 내용을 담고 있다. 주요 전망 항목은 ①농업기반 및 농가교역조건, ②농업부문 부가가치, ③ 농가소득 등이다.
목차
요약
1. 머리말
2. 농업 및 농가소득 전망
부록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발간물 유형
KREI 이슈리포트
보고서 번호
PR00057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5460
Appears in Collections:
이슈페이퍼 > 농정포커스 (J)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