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정빈-
dc.date.accessioned2018-11-15T08:39:48Z-
dc.date.available2018-11-15T08:39:48Z-
dc.date.issued2000-10-11-
dc.identifier.otherWRD-00004-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248-
dc.description.tableofcontents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EN">중국의 주요 농산물 수급현황1. 중국의 농업개황중국의 국토면적은 약 960만㎢로서 남북한 면적의44배이고, 경지면적은 약 9,497만 ha로 이는 세계 총경지면적의 7%에 달하며 총인구는12억 5천만 명으로 세계 인구의 22%를 차지하고 있다. 농촌인구는 약 8억 7천만 명으로총인구의 약 70%에 달하며, 1998년 국내 총생산액(GDP) 7조 9,396억元 중 농림수산업생산액은 2조 4,517억元으로 전체 국내총생산액의 약 31%를 차지하고 있고, 농림수산업생산액은다시 각각 농업 58%, 축산업 29%, 수산업 10%, 임업 3%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중국의농정은 최근 시장경제적 요소의 도입과 농산물 유통의 현대화, 그리고 곡물 생산확보 및 생산성 증대에 중점을 두고 있는 중이다.최근 중국의 농산물 수급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같다. 우선 식품수요 측면에서 볼 때, 지난 20여 년간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소득증대에따라 곡물류 중심의 식품소비에서 육류, 채소, 과일 등으로 다변화되는 등 소비 패턴의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연간 400㎏에도 못 미치는 1인당 평균 식량소비량과1억 명 내외의 절대 빈곤인구가 있다. 또한 중국의 주요 식품별 연평균 1인당소비량은한국과 일본에 아주 못 미치고 있으며 향후 중국의 경제발전과 소득증대에 따른 축산,과일, 채소류 등의 수요증대 및 소비 패턴의 다양화 가능성을 고려할 때 아직도 식품에대한 잠재적 수요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표 1 한·중·일 농업지표 비교(1998) 구 분 한 국(1) 중 국(2) 일 본 (2)/(1) 국토면적(천㎢) 경지면적(천ha) 호당경지면적(ha) 99 1,910 1.3 960 94,971 0.4 378 3,910 1.4 96.7 49.7 0.3 총인구(백만명)(A) 농촌인구(B) B/A(%) 경제활동인구(C) 농업취업인구(D) D/C(%) 46 4 8.7 23 2 8.7 1,248 868 69.5 742 508 68.5 126 5 3.9 67 3 4.5 27.1 217 - 32.3 254 농림수산업GDP비중(%) 6 31 2 2.9 자료:한국농림업주요통계(1999), 일본농림수산통계(2000), 중국통계연감(1999)표 2 한·중·일 주요 식품의 연평균 소비량(1998,kg/인) 품 목 한 국(A) 중 국(B) 일 본 B/A 곡 류 채 소 과 일 육 류 154.3 150.0 49.2 28.1 249.3 108.9 14.9 15.5 100.6 118.8 57.0 42.6 1.62 0.73 0.30 0.55 자 료 : 한국농림업주요통계(1999), 일본농림수산통계(2000), 중국통계연감(1999)식품공급 측면에서는 빈번히 발생하는 자연재해,경제개발 등으로 인한 비농업 부문의 토지수요 증가, 농업용 수자원의 만성적 부족및 산림 및 초지 회복정책(退耕換林)의 시행으로 식부면적이 감소하고 있어 급격한농산물 공급증대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구당 평균 경지면적이 0.4ha에 불과한영세소농 구조로서 빠른 생산성 증대 및 경쟁력 증가에 어려움이 있다.중국은 식량작물로서 쌀, 밀, 옥수수, 대두의 생산비중이 높으며, 쌀과 옥수수는 주로 수출되어 왔으나 밀과 대두는 수입되어 왔다.1978-98년간 연평균 곡물생산량은 2.63%씩 증가하였으며, 단위 수확량은 매년 2.93%씩증가하였다. 즉 지금까지 중국의 곡물생산증가는 전적으로 생산기술진보에 따른 단수증대에 의존해 왔다. 중국의 곡물 수출입은 연도별로 일관성이 없고 국내 생산의변화에 따라 크게 변화하는 특징이 있다. 최근 좋은 기후로 인한 높은 수확률과 1995년이후 곡물의 자급자족을 지향하는 새로운 농업정책(Grain Bag Policy)으로 1997/98년도는순수출국으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향후 인구 및 소득증가를 감안할 때 수요가 생산증가를 상회할 것이라는 예측이 일반적이다.표 3 중국의 곡물생산과 수출입 추이(10,000톤 연 도 생 산 량 수 입 량 수 출 량 순수입량 생산량대비 순수입비율(%) 1965 1970 1975 1978 1980 1985 1990 1995 1996 1997 1998 19,453 23,996 28,452 30,477 32,056 37,911 44,624 46,662 50,450 49,417 51,230 641 536 374 883 1,343 600 1,372 2,081 1,200 705 708 242 212 281 188 162 932 583 214 144 859 906 399 324 93 695 1,181 -332 789 1,867 1,056 -154 -198 2.1 1.4 0.3 2.3 3.7 -0.9 1.8 4.0 2.1 -0.3 -0.4 자료:중국 농업경제연구소장, KREI 발표자료(2000. 5. 22)2. 주요 품목별 수급현황최근 고품질 벼 재배면적은 증가하는 반면 밀과옥수수는 식량가격 하락으로 인한 농민의 생산 의욕 약화, 고소득 경제작물 재배선호 등에 기인하여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 중이다. 쌀의 경우는 우리나라와 인접한동북 3성 및 만주지방을 중심으로 조생종 인디카 품종에서 고품질종인 자포니카 쌀로생산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표 4 최근 중국의 주요 곡물 생산 및 수출입 동향 단위: 만톤 품목 생 산 량 수 출 량 수입량 1996 1997 1998 1996 1997 1998 1996 1997 1998 쌀 19,510 20,074 19,871 26 94 375 76 33 24 밀 11,057 12,329 10,973 0 0 0 831 186 149 옥수수 12,747 10,431 13,295 16 661 469 44 0 25 자료:중국 통계연감 및 농업경제연구소장 KREI 발표자료표 5 최근 중국의 유지류 생산 및 수출입 동향 단위: 천톤 품 목 생 산 량 수 출 량 수 입 량 1996 1997 1998 1996 1997 1998 1996 1997 1998 대 두 13,500 13,222 14,730 222 195 180 795 2,274 3,300 대두박 6,051 6,952 8,600 100 24 7 1,550 3,750 4,300 대두유 1,150 1,390 1,772 66 80 20 1,445 1,674 2,000 자료:USDA-ERS, China Situation and Outlook Series, 1998유지작물 중 대두는 최근 수요는 증가하나 생산이감소추세에 있어 수입이 증가하고 있다. 대두의 생산 감소원인은 수익률 저하로 재배를기피하고, 수입증가로 가격이 하락하는 악순환이 계속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콩깻묵의 경우 국내가격이 국제가격보다 높고 국내수요가 많기 때문에 수요량의 1/3가량이 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중국은 축산물의 세계 최대 생산국이면서 동시에소비국으로서 상대적으로 생산대비 교역규모는 미미한 수준이다. 중국은 돼지고기,양고기, 계란의 세계 최대 생산국이며 가금육은 세계 제2위, 쇠고기는 제3위의 생산국이나축산물의 대외교역량이 적은 이유는 정부의 육류 자급정책으로 인해 축산물 수입이제한되어 왔기 때문이다. 돼지고기 생산은 정부의 생산장려정책(1985년 이후 시장가격화)과소득증가로 1979년 1000만 톤 수준에서 1996년 이후 40백만 톤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축산물 소비측면에서는 돼지고기가 전체 동물성단백질 섭취 중 50%를 차지하는 최대소비품목이고 그 다음은 계란(16.8%), 어류(15.8%), 가금육(11.7%), 쇠고기(3,3%),양고기(2.3%) 등의 순이다.중국이 세계 최대 축산물 생산국이나 막대한 수의인구를 고려하면 1인당 축산물 소비를 통한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은 낮은 수준이다.중국의 1인당 동물성 단백질 소비량은 미국, 일본, 대만, 한국 등에 비해 매우 낮아미국의 1/10, 일본의 1/7, 대만의 1/8, 한국의 1/5로 계측되어 향후 경제발전과 소득증대에따라 축산물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USDA ERS, 1998).현재 중국 정부는 농산물의 부가가치 제고와 수출시장을겨냥해 과일류에 대한 생산을 장려하고 있으며 중국의 WTO 가입으로 곡물 수입이확대되면 기존의 곡물 재배면적이 경제작물인 과일류 재배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되어중국의 과일 생산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1).표 6 최근 중국의 축산물 생산 및 수출입 동향 단위: 천톤 품 목 생 산 량 수 출 량 수 입 량 1996 1997 1998 1996 1997 1998 1996 1997 1998 돼지고기 40,375 42,500 44,000 192 150 90 2 3 3 쇠 고 기 4,946 5,400 5,800 79 60 50 3 3 7 양 고 기 2,400 2,600 2,900 8 8 8 3 3 3 가 금 육 10,746 11,500 12,500 410 435 430 850 900 850 계 란 312,640 336,000 360,000 715 957 1,110 3 5 5 자료:USDA-ERS, China Situation and Outlook Series, 1998 주:계란의 수치단위는 백만개임.표 7 과채류의 식부면적 및 생산량(1,000ha, 1,000톤) 연 도 채 소 과 일 사 과 감 귤 배 포 도 바나나 식부면적 생산량 식부면적 생산량 1980 1985 1990 1995 1998 3,163 4,753 6,338 9,515 12,293 - - - - - 1,783 2,736 5,179 8,098 8,535 6,792 11,639 18,744 42,146 54,528 2,363 3,614 4,319 14,007 19,480 712 1,808 4,854 8,224 8,590 1,466 2,136 2,352 4,942 7,275 110 361 858 1,741 2,358 61 631 1,455 3,125 3,518 자료:중국통계연감, 1999.과일류 생산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은 1998년기준으로 사과(37.7%), 감귤류(15.8%), 배(13.3%), 바나나(6.5%), 포도(4.3%)의 순이며,한·중간 주요 경쟁과실은 사과, 배, 복숭아, 포도, 감귤 등이나, 현재까지 중국은식물검역상 수입금지 지역으로 지정되어 수입이 규제되어 왔다. 채소류 식부면적은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며 생산도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임정빈 jeongbin@krei.re.kr 국제농업연구실)1) 중국 내 과일생산 추이는 1980년 679만 톤에서 85년 1,164만톤, 90년 1,874 만톤, 98년 5,453만 톤으로 증가하였다.-
dc.publisherKREI-
dc.title중국의 주요 농산물 수급현황-
dc.typeKREI 논문-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Files in This Item:
wrd-00004.hwp (114.22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