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태곤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8:40:41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8:40:41Z | - |
dc.date.issued | 2001-02-17 | - |
dc.identifier.other | WRD-00100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344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2000년 1월부터 8월까지 중국의 농산물 수출입무역 총액은 175억 1,000만 달러로 작년 동기에 비해 32.2% 증가했다. 그 배경은 국내 시장화의 가속과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정책추진이다. 중국의 농산물 수출입은 2000년 대폭 증가했다. 세관 통계에 의하면 2000년 1∼8월, 전국의 농산물 수출입 무역총액은 175억 1,000만 달러로 작년동기에 비해 32.2% 증가했다. 2000년 1∼8월의 농산물 수출은 작년 동기에 비해 22.2% 증가, 수입은 49% 증가했으며, 무역흑자는 28억 4,000만 달러이다. 그 내역을 보면 채소 수출은 약 200만톤(16.8 %증가), 수출금액은 12억 8,200만 달러(10.8 % 증가), 수입은 약 5만 7,000톤 (21% 증가)이다. 과일 수출은 79만 5,000톤, 수출금액은 4억 5,000만 달러로 신장률 역시 30% 이상 증가하였다. 과일 수입은 약 61만 톤이며 67% 증가했다. 축산물과 수산물의 수출입도 역시 대폭 증가했다. 축산물은 수입이 수출을 상회하여 10억 2,3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수산물은 수출이 수입보다 많아 무역흑자는 12억 1,700만 달러였다. 농산물 수출의 규모가 가장 큰 山東省에서는 최근 몇 개의 외화획득 농업모델지역을 지정하고, 수출지향 농업을 노리고 있다. 예를 들면, 국영 외화획득 농업모델지역으로 설정된 煙台市에서는 시 전체가 채소와 과일 재배 및 농산물 가공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이 시에서는 2000년 채소와 과일 재배면적은 29만ha에 달하고 있으며(90년의 2배), 지구내 160만 호 농가수입의 65%가 농산물 수출과 가공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 농업부 자료에 의하면, 2000년 중국의 채소재배 면적은 2억 2,700만무(1무는 약 6.667아르)로 1999년보다 2,700만무 확대되었다. 이 배경에는 최근 일부 농산물 가격의 하락과 시장화의 가속, 그리고 식량수급 문제의 완화가 있다. 또 山東省과 같이 농업모델지구를 지정하여 농산물 수출확대를 도모하는 것도 큰 추진력이 되고있다. (資料:http://www.maff.go.jp/soshiki/keizai/kokusai/kikaku/20001205..에서) | - |
dc.publisher | KREI | - |
dc.title | 중국 농산물 수출입 대폭증가 | - |
dc.type | KREI 논문 | - |
wrd-00100.hwp
결과 데이터 / 25.52 kB / application/octet-str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