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세계 유전자변형농산물(GMO) 식부동향

저자
김상현
출판년도
2000-04-18
목차
ISAAA(International Service for the Acquisition of
Agri-Biotech Applications)는 개도국에 유전자변형 농산물(GMO)을 보급하기 위해서 설립된 조직으로 미국, 유럽, 아프리카
등에 센터를 가지고 있다. ISAAA의 자료를 근거로 GMO에 대한 식부동향을 소개한다. ISAAA에 관한 정보는 ISAAA 홈페이지
www.isaaa.org 에서 입수할 수 있다.
1. 2000년 GMO 식부면적은
4,000만ha
GMO의 상업적 생산이 본격화 된 96년 이후, 세계적으로 GMO의 생산은 급속히
확대되어 2000년 생산면적은 96년의 25배인 4,300만ha로 전망되고 있다표1 참조.
그러나 99년 생산면적이
전년대비 1,210만ha나 증가한 것에 반해 2000년에는 단지 310만ha 정도 증가한 것으로 전년의 4분의 1수준에 그치고 있어 그 증가
추세가 둔화되고 있다. 2000년의 전년대비 증가율은 8%이다.
표 1 세계 GMO
식부면적
단위:
100만ha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면 적
0.0
1.7
11.0
27.8
39.9
43.0
2. 생산중심은 미국, 아르헨티나,
캐나다
GMO의 상업생산을 실시하고 있는 나라는 96년 6개국에서 98년에는 9개국,
99년에는 12개국에 달하고 있다표2 참조.
세계 GMO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국가별로 살펴보면, 미국 70%, 아르헨티나 21%, 캐나다 7%, 중국 1%이며, 이 4개국이 전체의 99%를 차지하고 있다.
나머지 8개국 가운데 10만ha 이상을 생산하고 있는 국가는 남아프리카와 호주 2개국이다.
표 2 국가별 GMO
생산면적
단위:
면적/100만ha
국명
1998
1999
2000
시장점유율(%)
미국
아르헨티나
캐나다
중국
남아프리카
호주
루마니아
멕시코
불가리아
스페인
독일
프랑스
포르투갈
20.5
4.3
2.8
0.1
0.1
0.1

0.1

0.1

0.1

28.7
6.7
4.0
0.3
0.1
0.1
0.1
0.1
0.1
0.1

0.1
0.1
30.3
8.8
3.0
0.5
0.2
0.2
0.1
0.1
0.1
0.1
0.1
0.1

70
21
7
1
1
1
1
1
1
1
1
10
0


27.8
39.9
43.0
100
주:0.1은 10만ha
미만, 1은 1% 미만, -는 당해년도 생산실적이 없는 것을 말한다.
2000년의 GMO
생산추세를 99년과 비교할 때 캐나다의 경우는 유전자변형 캐놀라의 생산감소로 인해서, 미국의 경우는 Bt콘의 생산감소로 인해서 GMO의 생산증가
추세가 둔화되고 있는 반면, 아르헨티나의 경우는 유전자변형 대두나 옥수수의 생산증가로, 중국의 경우는 Bt면화의 증가로 인해서 GMO의 생산증가
추세가 급증하고 있으며, 남아프리카에서도 유전자변형 옥수수나 면화의 생산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결과 GMO
생산면적을 선진국과 개도국으로 나눌 경우, 선진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97년 86%에서 2000년에는 78%로 감소하고 있다.
3. 제초제내성 대두 생산이
최대
2000년의 GMO
생산면적을 작물별로 살펴보면 대두가 2,500만ha, 옥수수가 1,000만ha, 면화가 500만ha, 캐놀라가 300만ha이며, 이러한 네 가지
작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99%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유전자변형 대두의
대부분은 제초제에 내성이 있는 roundup-ready 대두로 2000년에는 세계 총 생산량의 34%, 미국의 54%, 아르헨티나의 92%를
차지하고 있다.
2000년에 유전자변형
옥수수의 생산이 미국과 캐나다에서 감소했다. 그 이유로는 Bt 옥수수의 대상인 아와노메이가(옥수수에 괴멸적인 피해를 주는 해충)의 피해가
99년에는 비교적 적었으며, GMO에 대한 불투명한 장래성 등으로 인해 재배의지가 다소 약화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아르헨티나에서는 시장점유율이 5%에서 20%로 급증했고, 남아프리카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0년 세계 유전자변형 옥수수의 생산은
전체적으로는 감소하고 있지만,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시장점유율은 7%에 달하고 있다.
표 3 작물별 GMO 생산면적
및 시장점유율
단위:100만ha
대두
옥수수
면화
캐놀라
총식부면적
GMO식부면적
72
25
140
10
34
5
25
3
유전자변형 면화의 경우
2000년에는 전년대비 40%이상 증가하여 세계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이 16%에 달하고 있다. 국가별로는 미국과 중국의 점유율은 각각
72%, 10%를 차지하고 있다.
2000년산 유전자변형
캐놀라의 생산은 캐나다산 캐놀라의 생산 감소로 인해 감소하고 있다. 캐나다의 생산이 감소한 이유는 유전자변형이 아닌 보통 것을 포함한 캐놀라의
총생산이 감소하고 있고, 유전자변형이 아닌 제초제내성의 품종이 증가하고 있으며, 캐놀라 가격의 하락에 따라 값싼 보통 품종으로 대체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유전자변형 캐놀라의 시장점유율은 세계 총생산의 11%를 차지하고 있다.
(자료: JETRO, FoodAgriculture, no. 2319(2001. 1.
8)에서)
(김상현 ksh3615@krei.re.kr
국제농업실)
발행처
KREI
발간물 유형
KREI 논문
보고서 번호
WRD-00130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374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