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EU 여성농업인의 취업동향

저자
김현주
출판년도
2001-05-29
목차
1997년도
유럽연합 15개국에서 여성농업인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은 전체 농업노동력의 약 40%, 전체 경영주의 약 20%를 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렇지만 농업에 있어서 여성농업인의 역할은 남성농업인의 역할과 비교했을 때 상당한 차이를 나타낸다. 룩셈부르크 소재 유럽공동체 통계청인
유로스타(Eurostat)가 펴낸 보고서는 여성농업인의 노동특성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여성농업노동력은 지난 20년이래 안정적
전체 전업농업노동력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국가마다 상이하다. 포루투갈은 1997년도에 47%, 그리스는 44%, 오스트리아는 42%로 평균치 40%를 상회하는
반면에 스페인과 아일랜드는 각각 29%, 덴마크, 영국은 각각 28%, 26%로 30%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럽연합 전체 농업인구
중 남유럽국의 농민 수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여성농민 3명 중 2명은 이탈리아와 그리스, 스페인, 포루두갈인이다.

표 1 농업노동력 중 여성의
비율(1997년)
유럽연합
15개국
벨기에
덴마크
독일
그리스
스페인
프랑스
아일랜드
이탈리아
뤽상부르그
네델란드
오스트리아
포루투갈
핀란드
스웨덴
영국
37%
35%
28%
35%
44%
29%
34%
29%
39%
36%
33%
42%
47%
37%
33%
26%
완전고용여성은 10명 중 1명을 약간
상회
유럽연합 15개국
농업경영체에 있어서의 노동은 특히 불완전 고용 상태를 나타낸다. 1997년 27%의 남성노동력과 12%의 전업여성노동력만이 완전고용의 상태이다.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국가간의 상황은 매우 상이하게 나타난다. 6개 회원국에서는 1997년도에 남성 과반수가 완전고용의 상태였지만 여성의
경우에는 유럽 15개국 어느 나라에서도 이러한 고용상태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렇지만 덴마크에서는 여성농민 중 40%가, 아일랜드, 핀란드에서는
각각 32%, 30%가 완전고용 상태에 있다. 반면에 그리스, 오스트리아, 이탈리아는 각각 4%, 6%, 7%가 완전고용 상태에
있다.
보다 명확히 말하자면,
1997년 유럽 연합 농업에 있어서 여성 과반수(54%)가 완전 고용상태 대비 노동시간 1/4 이하의 가용노동 조건에서 일하고 있다 (남성은
43%). 이러한 비율은 이탈리아(68%), 스페인(6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며, 뤽상부르그(7%)와 네델란드(22%)에서는 위의 국가들에
비해 상당히 낮게 나타난다.
표 2 여성과 남성의 노동시간(1997년)
유럽
연합
15개국
벨기에
덴마크
독일
그리스
스페인
프랑스
아일랜드
이탈리아
뤽상부르그
네델란드
오스트리아
포루투갈
핀란드
스웨덴
영국
완전고용
여성
12%
27%
40%
16%
4%
15%
21%
32%
7%
10%
21%
6%
10%
30%
11%
26%
남성
27%
61%
60%
42%
11%
22%
49%
57%
16%
57%
60%
23%
17%
36%
28%
51%
1/4 나절 이하
*
여성
54%
24%
24%
38%
58%
62%
34%
24%
68%
7%
22%
46%
44%
44%
57%
37%
*
남성
43%
19%
15%
32%
47%
53%
23%
15%
55%
7%
13%
47%
41%
37%
36%
26%
* 전업여성(남성)노동력의
경우임
5호중 1호는
여성농업경영주
농업노동력의
지위(경영주, 배우자, 다른 가족구성원, 임금노동자)는 남성과 여성간에 큰 차이를 보인다. 1997년 유럽연합의 여성농업인구 절반이
\\\"배우자\\\"의 지위인데 반해 남성은 60% 이상이 \\\"경영주\\\"의 지위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7년 유럽연합
15개국에서 7백만 명 가량이 경영주인 것으로 집계되었는데 이 중 19%가 여성이었다. 이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곳은 오스트리아(29%),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난 곳이 이탈리아(24%)이고, 네델란드(6%)와 덴마크(7%)에서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적으로도 적게 나타난
여성 경영주들은 마찬가지로 더 협소한 경영면적을 관리한다. 1997년 유럽연합 15개국에서 여성에 의해 경영되는 농업경영체 100곳 중 82곳은
\\\"소농\\\"으로, 3 곳만이 \\\"대농\\\"으로 분류되었다. 반면에 남성들의 농업경영체는 각각의 특성이 68%와 9%의 비율로
나타났다.
표 3 여성농업경영주의
비율(1997년)
유럽
연합
15개국
벨기에
덴마크
독일
그리스
스페인
프랑스
아일
랜드
이탈리아
윅상부르그
네델
란드
오스트리아
포루
투갈
핀란드
스웨덴
영국
19%
15%
7%
9%
20%
16%
21%
9%
24%
12%
6%
29%
19%
10%
10%
11%
(김현주 kimsisi@yahoo.com 지역아카데미)
발행처
KREI
발간물 유형
KREI 논문
보고서 번호
WRD-00160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404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