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태곤-
dc.date.accessioned2018-11-15T08:41:29Z-
dc.date.available2018-11-15T08:41:29Z-
dc.date.issued2001-06-25-
dc.identifier.otherWRD-00190-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434-
dc.description.tableofcontents호주의유기농산물은 장기간에 걸쳐 축적된 유기농업에 관한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다. 금년 3월에 호주의 유기농산물 인증제도가 도입됨에 따라유기농산물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 최근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지금까지 소극적이었던 각 주정부에서도 유기농산물육성대책을 시작하고 있다.1. 향후 5년간 연간20%성장2월 하순에 캔버라에서개최된 '전망 2001'(OUTLOOK 2001) 의회자료에 의하면, 유전자변형식품을 경원하는 소비자동향을 배경으로 유기농산물의 수요는 해마다확대되고 있다. 생산액은 97년 1.5억 달러, 2000년에는 2.5억 달러로 최근 3년간에 1.7배로 확대되고 있다. 향후 5년간은 연간20%의 성장이 전망된다고 한다.현재, 가공품을 포함한유기농산물의 생산자수는 약 2,000명(전체 농장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약 1.8%), 식부면적은 약 765만ha(전체 농지면적에서 차지하는비율은 1.7%)이다. 식부면적으로는 세계 제1위이지만 미국 및 유럽의 국가들과 비교하면 전체 농업생산액에 차지하는 유기농산물의 시장점유율은낮은 편이다. 채소 및 과실의 생산이 가장 많고, 기타 곡물(소맥, 대맥, 수수 등), 축산물, 향초, 치즈, 와인, 벌꿀 등 다양한종류의 유기농산물의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타스매니아의 유기생산농가가 유기농법에 의한 블루베리를 원료로 한 와인양조계획을 발표하는 등새로운 유기시장 개척을 노린 활동도 보여진다.호주에서는 92년OPAC(유기농산물자문위원회)가 '유기 및 바이오다이나믹 농산물에 관한 전국규격'을 수립, 유기농산물에 관한 생산·가공·표시·검사 등의 기준을정하였다. 이 규격은 국내 수요가 그다지 높지 않다는 것에서 주로 수출용으로 설정된 것이다. 97년에는 당해 규격은 연방법 '수출관리법'에기초한 법적 근거가 주어져 위반자 벌칙이 설정되었다(국내용 기준은 미정비).현재에는 다음의 7개단체가 유기농산물 인증단체로 인정되고 있다.NASA(NationalAssociation for Sustainable Agriculture)BFA(Biological Farmer of Australia)BDRA(Bio-Dynamic Research Institute)OHGA(OriginalHerb Growers of Australia)TOP(TasmanianOrganic Dynamic Producers)OVAA(OrganicVignerons Association of Australia)OFC(OrganicFood Chain)이러한 인정조직은대부분이 협동조합, 협회 등 비영리단체이며, 전국 규격을 기초로 각각의 유기농산물에 관한 규정을 정해서 유기농산물ㆍ식품을 생산하는 자의 인정을실시하고 있다. 가공부문을 포함한 인정생산자수를 보면, BFA가 544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NASA의 483, OHGA의436이다(1999년).2. 유기농산물의성장과제유기농산물이 장래 크게성장하기 위한 과제도 많다.⑴ 해외에서 수요가많지만 생산농가가 전국에 산재하고 있기 때문에 통합된 수요량에 대응할 수 없다.⑵ 국내에서 소비자층이비교적 특수한 수요에 한정되어(건강지향, 환경보전옹호자,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계층 등), 국내수요가 부진하다.⑶ 유기농산물지향은생활양식이나 신념에 기초한 것이라는 이미지가 있으며, 유기생산으로 전환하는 농가수의 증가가 완만하다.⑷ 생산농가,도소매업자, 수출업자 등의 통일, 단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⑸ 유기농산물에 관한연구개발 등의 대응이 부족하다(농업연구ㆍ개발공사의 유기농산물에 관한 예산액은 연간 약 25만달러).또, 전술한 바와 같이국내시장 공급용 유기농산물의 생산에 관한 규칙이 없기 때문에 전국 규격으로 정해져 있는 인증조직으로의 등록의무도 없으며, 유기로 속여 국내시장에 제공하고 있는 생산자가 있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3. 호주유기연맹이 산업전략계획수립이러한 문제점에 대응하여유기농산물을 중요한 농업의 일부분으로서 성장시킬 것을 목적으로 생산농가, 가공업자, 도소매업자, 수출업자의 전국단체인 호주유기연맹(OFA)이작년 12월 '6개의 핵심부분으로 성립되는 2006년까지 향후 5개년 산업전략계획'을 수립하였다. 계획의 주요 사항은 다음과같다.⑴ 전체에서 차지하는유기농산물의 생산량, 소비량 및 유기생산자의 비율을 각각 4%까지 확대한다.⑵ 생산자, 도소매업자,수출업자 등의 통일, 단결을 도모한다.⑶ 유기농법을 연방정부의자연자원관리정책 및 환경관리정책과 연계시킨다.⑷ 수출을 포함한 전체매출액 10억 달러를 달성한다.⑸ 국내용 유기생산자의규제강화를 위한 법적 규제를 확립한다.2001년 10월에는전국 16개소에서의 관계자와 네트워크연구회 개최가 예정되어 있다.또, 지금까지 그다지적극적이지 않았던 각 주정부도 유기농산물의 육성에 주력하게 되었다. 특히, 빅토리아 주정부는 유기농산물의 연구개발비로 연간 26만달러, 서호주주정부는 15만달러의 예산을 확보하고, 퀸즈랜드 주정부도 산업포럼을 설립하는 등 유기농산물의 육성에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하였다.호주 농업은 윤작체계가확립되어 사용하는 농약 및 화학비료의 양이 상대적으로 낮은 유기에 가까운 농법도 많기 때문에 유기농산물이 크게 발전할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특히 일본을 비롯하여 호주의 유기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확대되는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안정적인생산공급시스템을 급속히 확립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이다.자료:http://www.maff.go.jp/soshiki/keizai/kokusai/kikaku..에서-
dc.publisherKREI-
dc.title호주 유기농산물 연간 20% 성장 전망-
dc.typeKREI 논문-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Files in This Item:
wrd-00190-219-.hwp (30.13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