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세계 곡물 수급 및 가격 동향(2001. 7)

저자
성명환
출판년도
2001-07-16
목차
1.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1.1. 전체 곡물
2001/02년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이 2000/01년도 보다 늘고, 소맥이 약간 줄어들어 세계 전체 곡물 생산량은 전년대비 0.6% 증가한 18억 4,123만톤이 될
전망이다. 2001/02년도 총공급량은 전년 기말재고량 4억 8,780만톤과 생산량을 합친 23억 2,903만톤으로 전망되어 전년보다 약
2,150만톤이 줄어들 전망이다.
2001/02년도
세계곡물 소비량은 전년보다 1.5% 늘어난 18억 9,070만톤으로 전망된다. 세계 곡물 교역량(수출량 기준)도 전년대비 0.8% 늘어난 2억
6,131만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교역량이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2%가 될 전망이다.
곡물 소비량이 생산량을
약 4,947만톤 정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도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10.1% 감소한 4억 3,833만톤 정도인
것으로 전망된다.
표 1 세계 전체 곡물의
수급동향
단위: 백만톤
1999/00
2000/2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율(%)
2001. 6
2001.
7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1,872.44
1,830.56
1,846.68
1,841.23
0.6
△0.3
공 급

2,395.78
2,350.50
2,333.31
2,329.03
△0.9
△0.2
소 비

1,875.85
1,862.69
1,893.88
1,890.70
1.5
△0.2
교 역

281.15
259.18
264.23
261.31
0.8
△1.1
기 말 재 고

519.93
487.80
439.42
438.33
△10.1
△0.2
기말재고율(%)
27.7
26.2
23.2
23.2
자료: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76, July 11,
2001.
1.2. 쌀
2001/02년도 쌀
생산량은 2000/01년와 비슷한 3억 9,573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의 쌀 생산량은 늘어나지만 중국과 일본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도 쌀 소비량은 전년대비 1.2% 늘어난 4억 573만톤으로 전년보다 472만톤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도 세계
전체 쌀 교역량은 전년대비 1.7% 줄어든 2,300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생산량에서 교역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5.8%로 전망된다.
수출량은 전년대비 태국 109%, 베트남은 68% 증가 할 전망이다.
태국의 재고량은
늘어나지만 인도네시아, 중국, 일본의 재고량은 크게 줄어들 전망이어서 세계 쌀 기말재고량은 전년대비 7.3%가 줄어든 1억 2,720만톤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기말재고율은 31.4%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 2 국제 쌀(정곡기준) 수급
동향
단위:
백만톤
1999/00
(실적)
2000/2001
(추정)
2001/02
(전망)
변동율(%)
2001. 6
2001. 7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408.22
395.49
396.41
395.73
0.1
△0.2
공 급

541.26
538.20
530.80
532.93
△1.0
0.4
소 비

398.54
401.01
404.50
405.73
1.2
0.3
교 역

24.06
23.41
24.00
23.01
△1.7
△4.1
기 말 재 고

142.71
137.20
126.29
127.20
△7.3
0.7
기말재고율(%)
35.8
34.2
31.2
31.4
자료: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76, July 11,
2001.
1.3. 소맥
세계 밀 생산량은
2000/01년 5억 7,853만톤에서 2001/02년에는 전년대비 1.9% 감소한 5억 6,780만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호주와
러시아의 생산량은 증가할 전망이나 미국, 캐나다, 중국, 유럽 등 주요 소맥 생산국의 생산량이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이다.
2001/02년도 세계
밀 소비량은 2000/01년 5억 8,861만톤보다 약 394만톤 늘어난 5억 9,255만톤 수준이 될 전망이다. 밀의 국제 교역량은
1999/00년 1억 3,511만톤까지 늘어났으나, 2000/01년에는 1억 2,330만톤으로 줄어들었다가 2001/02년에 1억
2,709만톤으로 약간 늘어날 전망이며, 생산량에 대한 교역량의 비율은 22.4%가 될 전망이다.
2001/02년에는
소비량이 증가하고 생산량의 감소하여 기말 재고량은 전년대비 15.7% 감소한 1억 3,300만톤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중국과
EU의 재고량이 대폭 줄어들 전망이어서, 기말재고율도 전년의 26.8%에서 22.4%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표 3 국제 소맥 수급
동향
단위: 백만톤
1999/00
(실적)
2000/2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율(%)
2001. 6
2001.7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586.78
578.53
569.35
567.80
△1.9
△0.3
공 급

761.41
746.36
726.01
725.55
△2.8
△0.1
소 비

593.58
588.61
593.75
592.55
0.7
△0.2
교 역

135.11
123.30
127.63
127.09
3.1
△0.4
기 말 재 고

167.83
157.75
132.27
133.00
△15.7
0.6
기말재고율(%)
28.3
26.8
22.3
22.4
자료: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76, July. 11,
2001.
1.4. 옥수수
2001/02년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5억 9,743만톤으로 전년보다 2.1% 늘어날 전망이다. 이는 중국과 아르헨티나의 생산량은 약간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들의
생산량이 증가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2001/02년의
소비량은 전년대비 2.2% 증가한 6억 1,186만톤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옥수수의 교역량의 경우 전년보다 0.1% 줄어든 7,811만톤이며,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경우 13.1%로 전망된다. 전체 교역량 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64.2%에 이를
전망이다.
2001/02년 옥수수의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대폭 줄어든 1억 4,195만톤으로 전망된다. 아르헨티나, 유럽의 기말재고량은 늘어나지만 중국과 미국의 기말재고량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며, 기말재고율은 전년보다 2.9% 포인트 줄어든 23.2%가 될 전망이다.
표 4 국제 옥수수 수급 동향
및 전망
단위:
백만톤
1999/00
(실적)
2000/2001
(추정)
2001/02
(전망)
변동율(%)
2001. 6
2001. 7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606.45
584.88
598.53
597.43
2.1
△0.2
공 급

775.57
755.25
756.48
753.81
△0.2
△0.4
소 비

605.21
598.86
613.36
611.86
2.2
△0.2
교 역

85.56
78.17
79.24
78.11
△0.1
△1.4
기 말 재 고

170.37
156.38
143.12
141.95
△9.2
△0.8
기말재고율(%)
28.2
26.1
23.3
23.2
자료: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76, July. 11,
2001.
1.5. 대두
세계 대두 생산량은
2001/02년에 사상 최대인 1억 7,720만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중국과 아르헨티나의 생산량은 약간 줄어드나 미국과 브라질의
생산량이 증가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대두 소비량은 전년보다 4.5% 늘어난 1억 7,784만톤으로 전망된다.
2001/02년 세계
대두 교역량은 전년보다 4.8% 증가한 5,498만톤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교역량의 비중은 31.0%에 이를 전망이며, 전세계
수출량에서 미국이 50.2%, 브라질이 27.0%, 아르헨티나가 13.0%의 비중을 차지하여 이들 세 국가의 수출비중이 90.2%에 이를
전망이다.
발행처
KREI
발간물 유형
KREI 논문
보고서 번호
WRD-00218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462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