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세계 곡물 수급 및 가격 동향(2001. 9)

저자
성명환
출판년도
2001-09-24
목차
1.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1.1. 전체 곡물
2001/02년도에는
쌀을 비롯한 소맥, 옥수수 생산량이 줄어들어 2001/02년도 세계 전체 곡물 생산량은 전년대비 0.6% 감소한 18억 2,139만톤이 될
전망이다. 이는 전월 전망치와 동일한 수준이다.
2001/02년도
총공급량은 전년 기말재고량 4억 8,904만톤과 생산량을 합친 23억 1,043만톤으로 전망되어 전년보다 약 4,200만톤이 줄어들 전망이다.
이는 전년보다 1.8% 줄어든 수준이다.
2001/02년도
세계곡물 소비량은 전년보다 1.5% 늘어난 18억 9,194만톤으로 전망된다. 1999/00년도에는 생산량과 소비량이 거의 균형을 이루었으나
2000/01년도부터 소비량이 늘어나 2001/02년도에는 그 차이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곡물 교역량(수출량
기준)도 전년대비 1.5% 늘어난 2억 6,487만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교역량이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5%가 될
전망이다.
곡물 소비량이 생산량을
약 7,000만톤 이상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001/02년도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14.4% 감소한 4억 1,849만톤 수준으로
전망된다. 기말재고율도 2000/01년도 26.2%에서 22.1%로 4% 포인트 이상 하락할 전망이다.
표1 세계 전체
곡물의 수급동향
1999/00
200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률
2001.8
2001.9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1,872.57
1,831.63
1,821.39
1,821.39
△0.6
0.0
공 급

2,395.36
2,352.27
2,310.43
2,310.43
△1.8
0.0
소 비

1,874.72
1,863.23
1,891.94
1,891.94
1.5
0.0
교 역

281.28
260.92
264.87
264.87
1.5
0.0
기말재고량
520.6
489.04
418.49
418.49
△14.4
0.0
기말재고율(%)
27.8
26.2
22.1
22.1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78, Sep.14, 2001.
1.2. 쌀
2001/02년도 쌀
생산량은 2000/01년와 비슷한 3억 9,444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과 일본 쌀 생산량은 줄어들지만 동남아시아 국가들(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의 쌀 생산량은 전년보다 8.9% 증가할 전망이다.
2001/02년도 쌀
소비량은 전년대비 1.0% 늘어난 4억 480만톤으로 전년보다 약 400만톤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도 세계 전체 쌀
교역량은 전년대비 0.4% 증가한 2,342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생산량에서 교역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5.9%로 전망된다.
수출량은 태국이 전년과
같은 670만톤 수준이나 베트남은 13.2% 증가한 430만톤, 미국도 약간 늘어난 271만톤 수준인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네시아의 쌀 수입량은
전년대비 23.1% 늘어난 160만톤으로 전망된다.
태국과 미국의 재고량은
늘어나지만 인도네시아, 중국, 일본의 재고량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어서 세계 쌀 기말재고량은 전년대비 7.5%가 줄어든 1억 2,723만톤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기말재고율은 31.4%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중국이 세계 쌀 재고량의 약 68%를 보유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 2 국제 쌀(정곡기준) 수급
동향
1999/00
200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률
2001.8
2001.9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산량
408.40
395.60
395.71
394.44
△0.3
△0.3
공급량
541.44
538.42
533.29
532.03
△1.2
△0.2
소비량
398.61
400.84
405.86
404.80
1.0
△0.3
교역량
24.06
23.33
23.09
23.42
0.4
1.4
기말재고량
142.82
137.59
127.44
127.23
△7.5
△0.2
기말재고율(%)
35.8
34.3
31.4
31.4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78, Sep. 14, 2001.
1.3. 소맥
세계 밀 생산량은
2000/01년 5억 7,905만톤에서 2001/02년에는 전년대비 1.4% 감소한 5억 7,107만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러시아의
생산량은 증가할 전망이나 미국, 캐나다, 중국, 유럽, 호주 등 주요 소맥 생산국의 생산량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이다.
2001/02년도 세계
밀 소비량은 2000/01년 5억 8,864만톤보다 약 642만톤 늘어난 5억 9,506만톤 수준이 될 전망이다.
밀의 국제 교역량은
1999/00년 1억 3,516만톤까지 늘어났으나, 2000/01년에는 1억 2,374만톤으로 줄어들었다가 2001/02년에는 다시 1억
2,854만톤으로 전년대비 3.9% 늘어날 전망이다. 생산량에 대한 교역량의 비율은 22.5%가 될 전망이다.
2001/02년 소비량은
증가하나 생산량이 감소하여 기말 재고량은 전년대비 15.1% 감소한 1억 3,448만톤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주요 밀
생산국인 미국, 중국, EU의 재고량이 대폭 줄어들 전망이어서 기말재고율도 전년의 26.9%에서 22.6%로 크게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표 3 국제 소맥
수급 동향
1999/00
200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률
2001.8
2001.9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산량
586.41
579.05
567.63
571.07
△1.4
0.6
공급량
761.07
747.11
725.34
729.54
△2.4
0.6
소비량
593.01
588.64
594.47
595.06
1.1
0.1
교역량
135.16
123.74
127.54
128.54
3.9
0.8
기말재고량
168.06
158.47
130.86
134.48
△15.1
2.8
기말재고율(%)
28.3
26.9
22.0
22.6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78, Sep. 14, 2001.
1.4. 옥수수
2001/02년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5억 7,919만톤으로 전년보다 1.2%, 전월 전망치보다는 0.3% 줄어들 전망이다. 이는 유럽, 멕시코, 동남아시아의
생산량은 약간 늘어나지만 옥수수 최대 생산국인 미국과 중국의 생산량이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이다.
2001/02년의
소비량은 전년대비 2.4% 증가한 6억 1,615만톤으로 전망된다. 전월 예측치 6억 1,366톤보다도 약 250만톤 늘어난 수준이다. 따라서
소비량이 생산량을 약 3,700만톤 정도를 초과할 전망이다.
옥수수 교역량의 경우
전년보다 1.2% 줄어든 8,148만톤이나,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 될 전망이다. 전체 교역량 중 미국과
아르헨티나가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61.6%, 13.5%로 이들 두 국가가 약 75% 이상을 차지할 전망이다.
2001/02년 옥수수의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23.8% 줄어든 1억 1,850만톤으로 전년보다 약 3,700만톤 정도 줄어들 전망이다. 아르헨티나, 유럽의 기말재고량은
약간 늘어나지만 중국과 미국의 기말재고량이 대폭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에 기말재고율도 전년보다 약 6.6% 포인트 줄어든 19.2%가 될
전망이다.
표 4 국제 옥수수 수급 동향
및 전망
1999/00
200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률
2001.8
2001.9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산량
606.93
586.43
581.10
579.19
△1.2
△0.3
공급량
776.05
757.37
737.66
734.65
△3.0
△0.4
소비량
605.11
601.91
613.66
616.15
2.4
0.4
교역량
85.83
82.47
80.17
81.48
△1.2
1.6
기말재고량
170.94
155.46
124.00
118.50
△23.8
△4.4
기말재고율(%)
28.2
25.8
20.2
19.2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78, Sep. 14,
2001.
1.5. 대두
세계 대두 생산량은
2001/02년에 사상 최대인 1억 7,544만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대두 생산국 생산량이 증가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대두 소비량은 전년보다
4.4% 늘어난 1억 7,787만톤으로 전망된다. 소비량이 생산량을 약 243만톤 정도 상회할 전망이다.
2001/02년 세계
대두 교역량은 전년보다 3.3% 증가한 5,554만톤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교역량의 비중은 31.7%에 이를 전망이며, 전세계
수출량에서 미국이 48.5%, 브라질이 28.4%, 아르헨티나가 13.5%의 비중을 차지하여 이들 세 국가의 수출비중이 90.4%에 이를
전망이다. 2001/02년도 미국의 수출비중은 줄어들고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비중은 약간 늘어날 전망이다.
2001/02년 대두의
기말 재고량은 2,618만톤으로 추정되어 전년의 2,937만톤과 비교하여 7.7% 정도 줄어들 전망이다. 그러나 소비량이 생산량보다 더 크게
늘어나 기말재고율은 전년의 16.7%에서 14.7%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표 5 국제 대두 수급 동향 및
전망
1999/00
2000/2001
(추정)
2001/2002(전망)
변동률
2001.8
2001.9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산량
159.85
172.11
176.84
175.44
1.9
△0.8
공급량
186.49
199.05
206.16
203.81
2.4
발행처
KREI
발간물 유형
KREI 논문
보고서 번호
WRD-00280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524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