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문순철-
dc.date.accessioned2018-11-15T08:42:44Z-
dc.date.available2018-11-15T08:42:44Z-
dc.date.issued2001-11-16-
dc.identifier.otherWRD-00319-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563-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중국의 관세통계의 분석에 따르면, 2001년 3분기까지 농산물(WTO규정+수산품) 수출입에서 수입이 수출에 비해 매우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3분기까지 농산물 수출입 총액은 201억 달러로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1%가 늘어났다. 그 가운데 수출액이 113억 달러로 전년도에 비해 0.9% 감소하였고, 수입액은 88억 달러로 전년대비 4% 증가하였다. 농산물 무역수지는 25.5억 달러로 전년도에 비해 14% 감소하였고, 농산물 무역이 전체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3%로 전년 대비 0.04% 감소하였다. 1. 곡물 곡물 수출입량이 모두 감소한 가운데, 수출이 많았다. 밀의 수입가격이 높아서 수입량이 대폭 감소했으나 수입액은 대폭 늘어났다. 수출입 품종구조도 비교적 큰 변화를 보였고, 쌀, 옥수수의 수입량이 대폭 증가하였고, 수출은 크게 줄어들었다. 곡물 순수출량이 감소하여 수출은 649만톤, 7.9억 달러로 전년도 같은 기간에 비해 각각 37.5%와 38.4% 감소하였다. 수입량은 232만톤으로 7%가 감소하였고 수입액은 4.2억 달러로 21%가 증가하였다. 이는 수입된 곡물이 고가임을 반영한 것이다. 곡물 순수출량은 417만톤으로 47%가 감소하였다. 쌀의 수출이 감소하고 수입이 증가하였다. 쌀의 수출은 133.7만톤, 2.2억 달러로 전년도에 비해 각각 43%와 50%가 줄었다. 수출의 54%는 코트디브와르, 11%는 쿠바, 8%는 이라크, 5%는 일본이었다. 쌀 수출 감소의 주요 원인은 러시아, 북한, 리비아에 대한 수출이 비교적 크게 줄어든데 있다. 수입은 거의 타이에서 이루어지는데 수입량은 17.6만톤, 0.7억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각각 25%와 16%가 줄어들었다. 전체적으로 쌀의 순수출은 116만톤으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48%가 감소하였다. 옥수수는 국내공급이 부족한 가운데, 수출이 감소하고 수입이 증가하였다. 수출은 453.8만톤, 4.7억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각각 42%와 40%가 감소하였다. 한국과 말레이시아가 주요한 옥수수 수출시장으로 수출량의 59%와 20%를 차지하였다. 올해는 두 국가에 대한 수출량이 비교적 크게 감소,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각각 40%와 35%가 줄어들었다. 수입은 작년의 0.2만톤에서 올해 3.2만톤으로 늘어났고, 주로 타이와 미국에서 수입하였다. 순수출량은 451만톤으로 작년에 비해 42%가 감소하였다. 밀은 수출량이 대폭 증가하였고 수입량은 대폭 줄어들었다. 수출은 48.2만톤, 0.7억 달러로 작년에 비해 각각 236%와 108%가 늘어났다. 수입량은 30만톤으로 작년에 비해 66%가 줄었으나 수입액은 0.6억 달러로 30%가 늘어났다. 이는 수입된 품종이 우수품종의 밀이라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밀의 순수출은 18만톤으로 작년에 비해 125% 줄어들었다. 금년도 한국과 필리핀에 대한 밀 수출은 매우 현저히 증가하였다. 특히 한국은 중국 밀의 최대 수출시장으로 자리잡아서 전체 수출의 52%를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이 홍콩으로 15%, 필리핀이 9%를 차지하였다. 밀의 수입은 59%가 미국, 31%가 오스트레일리아와 캐나다로부터 이루어졌다. 보리의 수입은 증가하여, 181만톤, 2.9억 달러가 수입되어 작년에 비해 22%와 20%가 늘어났다. 오스트레일리아와 캐나다로부터 주로 수입하며 각각 전체 수입량의 56%와 28%를 차지하였다. 올해 들어 이 두 국가로부터 수입된 양은 각각 70%와 68%가 증가하였고, 프랑스로부터 수입된 양은 12%를 차지하여 전년도에 비해 57%가 감소하였다. 2. 대두 3분기까지 콩 수입량은 1,117만톤, 22.5억 달러로 작년도에 비해 38%와 23% 늘어났다. 이는 콩 가격이 대폭 내렸음을 반영한 것이다. 8∼9월에 들어서는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혀 없었고 동시에 아르헨티나와 브라질로부터 수입이 대폭 늘어났다. 현재 미국, 아르헨티나, 브라질로부터의 수입량은 각각 42%, 36%, 23%로, 2000년에 비해 미국은 12% 감소하고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은 각각 9%, 3%가 늘어났다. 3분기까지 콩 수출은 16.9만톤, 0.6억 달러로 전년도에 비해 1.1%, 14.2%가 늘어났다. 이는 중국 콩 수출가격이 상승하였음을 반영한 것이다. 또한 유전자변형 콩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유전자변형을 하지 않는 중국 콩의 수출 잠재력이 장차 매우 커질 것이다. 수출된 콩의 생산지는 73%가 黑龍江省이고 12%가 吉林省, 9%가 遼寧省이었다. 수출시장은 66%가 일본, 20%가 한국, 5%가 베트남이었다. 3. 경제작물 경제작물 가운데, 면화, 과일의 수입량이 증가하였고 수출량은 줄어들었다. 식용유는 이와 정반대였으며, 채소의 수출입은 계속 양호한 상태였다. 축산품의 수출입액은 모두 줄어들었다. 면화 수입량은 증가하고 수출량은 줄어들었다. 면화 수입은 8.2만톤으로 40%가 증가하였고 수입액은 0.6억 달러로 10%가 줄어들어, 면화의 국제가격이 내렸음을 반영하였다. 수출은 5.5만톤, 0.8억 달러로 작년에 비해 각각 80%와 73%가 줄어들었다. 식용유의 수입은 감소하였고 수출은 증가하였다. 수입은 124.8만톤, 3.6억 달러로 각각 6.7%와 29%가 감소하였으며, 수출은 10만톤, 0.5억 달러로 각각 46%와 16%가 늘어났다. 채소의 수출입은 모두 늘어났다. 수입은 7.3만톤, 0.6억 달러로 각각 6%, 13%가 늘어났고, 수입은 287.1만톤, 16.6억 달러로 각각 25%와 12%가 늘어났다. 과일은 수입이 줄고 수출이 증가하였다. 수입은 69만톤, 2.7억 달러로 각각 1.5%와 2% 줄어들었고, 수출은 93.9만톤, 5.3억 달러로 각각 6%와 7%가 증가하였다. 4. 축산품 축산품의 수출총액은 21.2억 달러로 2% 줄었고 수입액은 14.2억 달러로 7% 줄었다. 그 가운데 돼지의 수출은 11.2만톤으로 37% 늘어났고, 수입은 15만톤으로 8% 줄어들었다. 5. 지역별 무역동향 아시아 국가와는 수출이 감소하고 수입이 증가하였으며, 유럽에 대한 무역현황은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북미와의 수출입은 모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 국가로의 수출은 3% 감소하고 수입은 5% 늘어났다. 특히 일본과 한국과의 무역분쟁이 계속되어 일본에 대한 수출액은 3.8% 성장에 그쳤고, 한국에 대한 수출액은 오히려 3.3% 감소하였다. 동시에 나머지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수출액도 대폭 줄어드는 추세로 홍콩 2%, 말레이시아 20%, 인도네시아 45%, 인도 13%, 대만 22%의 수출 감소가 나타났다. 그러나 아시아는 여전히 중국 농산물의 주요 수출시장으로 전체 수출액의 71%를 차지하고 있다. 수입은 타이로부터의 수입 증가 68%를 제외하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일본, 인도, 한국, 대만 등으로부터의 수입액은 모두 줄어들었다. 유럽에 대한 농산물 무역은 아시아와는 정반대로, 수출이 11%가 증가하였고, 수입은 9%가 감소하였다. 북미는 수출입이 모두 늘어나 수출은 4.3%, 수입은 12% 늘어났다. 3분기까지 중국 농산물의 소비시장 분포는, 일본 35%, 홍콩 12%, 한국 10%, 미국 8%, 독일 3%로, 특히 미국과 독일로의 수출액이 3%와 9% 늘어났다. 농산물을 수입한 나라로는 미국 24%, 오스트레일리아 11%, 아르헨티나 6.6%, 캐나나 6.6%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 아르헨티나, 캐나다로부터의 수입량이 각각 13%, 21%, 8%로 증가하였다. 자료:中國農業部信息中心(http://www.agri.gov.cn)에서 (문순철 schmoon@krei.re.kr 북한농업연구센터)-
dc.publisherKREI-
dc.title중국 2001년 1∼3분기 농산물무역 동향-
dc.typeKREI 논문-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Files in This Item:
wrd-00319-359-.hwp (30.36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