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세계 곡물 수급 및 가격 동향(2001. 12)

저자
성명환
출판년도
2001-12-24
목차
1.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1.1. 전체 곡물
2001/02년도 세계
전체 곡물 생산량은 전년대비 0.4% 증가한 18억 4,302만톤이 될 전망이며, 이는 전월 전망치보다도 약 833만톤 정도 증가한 수준이다.
주요 곡물인 쌀, 소맥, 옥수수의 생산량은 줄어들지만 보리, 호밀, 수수 등 기타 잡곡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어 세계 전체 생산량이 약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었다.
2001/02년도
총공급량은 전년 기말재고량 4억 8,727만톤과 생산량을 합친 23억 3,029만톤으로 전망되어 전년보다 약 2,858만톤 이상이 줄어들
전망이다. 이는 전년대비로는 1.2% 감소한 수준이지만, 전월대비로는 0.1% 증가한 수준이다.
2001/02년도 세계곡물
소비량은 전년보다 1.2% 늘어난 18억 9,384만톤으로 전망된다. 1999/00년도에는 생산량과 소비량이 거의 균형을 이루었으나
2000/01년도부터 소비량이 늘어나 2001/02년도에는 그 차이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세계 곡물 교역량(수출량
기준)도 전년대비 0.6% 줄어든 2억 6,659만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교역량이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5%가 될
전망이다.
곡물 소비량이 생산량을
5,000만톤 이상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001/02년도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10.4% 감소한 4억 3,645만톤 정도로 전월
전망치 보다도 1.1% 증가한 수준이다. 기말재고율도 2000/01년도 26.0%에서 23.0%로 3.0% 포인트 하락할
전망이다.
표 1 세계 전체 곡물의
수급동향
단위: 백만톤,
%


1999/00
200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율
2001.11
2001.12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산량
1,870.86
1,836.10
1,840.91
1,843.02
0.4
0.1
공급량
2,394.74
2,358.87
2,326.95
2,330.29
△1.2
0.1
소비량
1,871.98
1,871.60
1,895.36
1,893.84
1.2
△0.4
교역량
281.69
268.07
268.74
266.59
△0.6
△0.8
기말재고량
522.8
487.27
431.59
436.45
△10.4
1.1
기말재고율
27.9
26.0
22.8
23.0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81, Dec. 11, 2001.
1.2. 쌀
2001/02년도 쌀
생산량은 2000/01년보다 1.0% 줄어든 3억 9,282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쌀 생산량은 늘어나지만 중국과
일본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의 쌀 생산량은 전년보다 10.4% 증가할 전망이다.
2001/02년도 쌀
소비량은 전년대비 0.4% 늘어난 4억 438만톤으로 전년보다 약 173만톤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도 세계
전체 쌀 교역량은 전년대비 5.1% 즐어든 2,347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생산량에서 교역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6%로 전망된다.
수출량은 태국이 전년보다 약간 줄어든 700만톤 수준이나 베트남은 11.1% 증가한 400만톤, 미국도 약간 늘어난 269만톤 수준인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재고량은 늘어나지만
타이, 인도네시아, 중국, 일본의 재고량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어서 세계 쌀 기말재고량은 전년대비 8.4%가 줄어든 1억 2,575만톤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기말재고율은 31.1%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중국이 세계 쌀 재고량의 약 67.2%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 2 국제 쌀(정곡기준)
수급 동향
단위: 백만톤,
%


1999/00
200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율
2001.11
2001.12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산량
408.39
396.89
393.34
392.82
△1.0
△0.1
공급량
541.50
539.95
530.87
530.13
△1.8
△0.1
소비량
398.44
402.65
404.63
404.38
0.4
△0.1
교역량
24.09
24.72
23.82
23.47
△5.1
△1.5
기말재고량
143.06
137.31
126.25
125.75
△8.4
△0.4
기말재고율
35.9
34.1
31.2
31.1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81, Dec. 11, 2001.
1.3. 소맥
세계 밀 생산량은
2000/01년 5억 8,234만톤에서 2001/02년에는 전년대비 0.9% 감소한 5억 7,702만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러시아를
제외한 미국, 캐나다, 중국, 유럽 등 주요 소맥 생산국의 생산량이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이다.
2001/02년도 세계 밀
소비량은 2000/01년 5억 8,946만톤보다 약 658만톤 늘어난 5억 9,604만톤 수준이 될 전망이다.
밀의 국제 교역량은
1999/00년 1억 3,499만톤까지 늘어났으나, 2000/01년에는 1억 2,349만톤으로 줄어들었다가 2001/02년에는 다시 1억
2,913만톤으로 전년대비 4.6% 늘어날 전망이다. 생산량에 대한 교역량의 비율은 22.4%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 소비량은
증가하나 생산량이 감소하여 기말재고량은 전년대비 11.7% 감소한 1억 4,398만톤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주요 밀 생산국인
미국, 중국, EU의 재고량이 대폭 줄어들 전망이어서 기말재고율도 전년의 27.7%에서 24.2%로 크게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표 3 국제 소맥 수급
동향
단위: 백만톤,
%


1999/00
2000/01
2001/02
변동율
2001.11
2001.12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산량
585.93
582.34
575.08
577.02
△0.9
0.3
공급량
761.73
752.45
735.82
740.02
△1.7
0.6
소비량
591.62
589.46
595.57
596.04
1.1
0.1
교역량
134.99
123.49
128.81
129.13
4.6
0.2
기말재고량
170.11
163
140.26
143.98
△11.7
2.7
기말재고율
28.8
27.7
23.6
24.2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81, Dec. 11, 2001.
1.4. 옥수수
2001/02년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5억 8,606만톤으로 전년보다 0.1% 감소하며, 전월 전망치보다는 0.1% 감소할 전망이다. 이는 중국, 멕시코,
동남아시아의 생산량은 약간 늘어나지만 미국과 아르헨티나의 생산량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이다.
2001/02년의 소비량은
전년대비 1.1% 증가한 6억 1,245만톤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소비량이 생산량을 약 2,639만톤 정도를 초과할 전망이다.
옥수수 교역량의 경우
전년보다 7.9% 감소한 7,893만톤,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5%가 될 전망이다. 전체 수출량 중 미국과 아르헨티나가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66%, 11.4%로 이들 두 국가가 75% 이상을 차지할 전망이다.
2001/02년 옥수수의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17.3% 줄어든 1억 2,604만톤으로 전년보다 약 2,639만톤 정도 줄어들 전망이다. 아르헨티나의 기말재고량은 약간
늘어나지만 중국과 미국의 기말재고량이 대폭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에 기말재고율도 전년보다 약 4.6% 포인트 줄어든 20.6%가 될
전망이다.
표 4 국제 옥수수 수급
동향 및 전망
단위: 백만톤,
%


1999/00
200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율
2001.11
2001.12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산량
606.98
586.57
586.77
586.06
△0.1
△0.1
공급량
776.10
758.05
740.10
738.49
△2.6
△0.2
소비량
604.63
605.62
614.97
612.45
1.1
△0.4
교역량
85.82
85.70
81.23
78.93
△7.9
△2.8
기말재고량
171.48
152.43
125.14
126.04
△17.3
0.7
기말재고율
28.4
25.2
20.3
20.6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81, Dec. 11, 2001.
1.5. 대두
세계 대두 생산량은
2001/02년에 사상 최대인 1억 8,272만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중국을 제외한 주요대두 생산국의 생산량이 대부분 증가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대두 소비량은 전년보다
5.3% 늘어난 1억 8,218만톤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이 소비량을 약 50만톤 정도 상회할 전망이다.
2001/02년 세계 대두
교역량은 전년보다 6.4% 증가한 5,874만톤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교역량의 비중은 32.1%에 이를 전망이며, 전세계 수출량에서
미국이 46.3%, 브라질이 29.8%, 아르헨티나가 15.3%의 비중을 차지하여 이들 세 국가의 수출비중이 91.4%에 이를 전망이다.
2000/01년 대두의
기말 재고량은 2,915만톤으로 추정되어 전년의 2,860만톤과 비교하여 1.9% 정도 증가할 전망이다.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재고량은
줄어들지만 미국의 재고량이 33% 정도 늘어날 전망이기 때문이다.
표 5 국제 대두 수급 동향
및 전망
단위: 백만톤,
%

발행처
KREI
발간물 유형
KREI 논문
보고서 번호
WRD-00338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582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