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곡물 수급 및 가격 동향(2002. 2)
- 저자
- 성명환
- 출판년도
- 2002-03-05
- 목차
- 1.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1.1. 전체 곡물
2001/02년도 세계
전체 곡물 생산량은 전년 대비 0.2% 증가한 18억 4,058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전년 전망치보다도 약 342만 톤 정도 증가한
수준이다. 주요 곡물인 쌀, 소맥, 옥수수의 생산량은 전년보다 줄어들지만, 보리, 호밀, 수수 등 기타 잡곡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도
총공급량은 전년 기말재고량 4억 9,045만 톤과 생산량을 합친 23억 3,103만 톤으로, 전년보다 약 2,958만 톤 정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년 대비로는 1.3% 감소한 수준이다.
2001/02년도
세계곡물 소비량은 전년보다 0.9% 늘어난 18억 8,724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1999/00년도에는 생산량과 소비량이 거의 균형을
이루었으나 2000/01년도부터 소비량이 늘어나 2001/02년도에는 그 차이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표 1 세계 전체 곡물의 수급동향
단위: 백만 톤
구
분
1999/00
200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률(%)
2002.1
2002.2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1,870.98
1,837.16
1,841.60
1,840.58
0.2
△0.1
공 급
량
2,394.84
2,360.61
2,331.48
2,331.03
△1.3
0.0
소 비
량
1,871.39
1,870.17
1,896.28
1,887.24
0.9
0.1
교 역
량
281.50
272.32
267.27
266.82
△2.0
△0.2
기말재고량
532.5
490.45
445.19
443.79
△9.5
△0.3
기말재고율
28.5
26.2
23.6
23.5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83,
Feb. 8, 2002.
세계 곡물 교역량(수출량
기준)도 전년 대비 2.0% 줄어든 2억 6,682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교역량이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5%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곡물 소비량이 생산량을
4,666만 톤 정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001/02년도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9.5% 감소한 4억 4,379만 톤 정도로
전월 전망치 보다도 0.3% 감소한 수준이다. 기말재고율도 2000/01년도 26.2%에서 23.5%로 2.7% 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1.2. 쌀
2001/02년도 쌀
생산량은 2000/01년 보다 1.2% 줄어든 3억 9,220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쌀 생산량은 늘어나지만 중국과
일본, 태국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의 쌀 생산량은 전년보다 10.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도 쌀
소비량은 전년 대비 0.2% 늘어난 4억 373만 톤으로 전년보다 약 88만 톤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도 세계
전체 쌀 교역량은 전년 대비 6.5% 줄어든 2,340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생산량에서 교역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5.8%로
전망된다. 수출량은 타이가 전년보다 약간 줄어든 700만 톤 수준이나 베트남은 11.1% 증가한 400만 톤, 미국도 약간 늘어난 271만 톤
수준인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쌀 기말재고량은
전년 대비 8.4%가 줄어든 1억 2,600만 톤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재고량은 늘어나지만 타이, 인도네시아, 중국, 일본의
재고량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말재고율은 31.2%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중국이 세계 쌀 재고량의
약 67.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 2 국제 쌀(정곡기준) 수급 동향
단위: 백만 톤
구
분
1999/00
200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률(%)
2002.1
2002.2
전년 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408.45
396.99
392.61
392.20
△1.2
△0.1
공 급
량
541.52
540.38
529.62
529.73
△2.0
0.0
소 비
량
398.10
402.85
404.20
403.73
0.2
△0.1
교 역
량
24.09
25.02
23.40
23.40
△6.5
0.0
기말재고량
143.39
137.53
125.42
125.99
△8.4
0.5
기말재고율
36.0
34.1
31.0
31.2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83,
Feb. 8, 2002.
1.3. 소맥
세계 밀 생산량은
2000/01년 5억 8,283만 톤에서 2001/02년에는 전년 대비 0.7% 감소한 5억 7,864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러시아를 제외한 미국, 캐나다, 중국, 유럽 등 주요 소맥 생산국의 생산량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001/02년도 세계
밀 소비량은 2000/01년 5억 8,925만톤보다 약 126만 톤 늘어난 5억 9,051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밀의 국제 교역량은
1999/00년 1억 3,496만톤까지 늘어났으나, 2000/01년에는 1억 2,666만 톤으로 줄어들었다가 2001/02년에는 다시 1억
3,008만 톤으로 전년 대비 2.7%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에 대한 교역량의 비율은 22.5%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 소비량은
증가하나 생산량이 감소하여 기말재고량은 1억 5,231만 톤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주요 밀 생산국인 미국, 중국, EU의
재고량이 대폭 줄어들고, 기말재고율도 전년의 27.9%에서 25.8%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표 3 국제 소맥 수급 동향
단위: 백만
톤
구
분
1999/00
2000/01
2001/02
변동률(%)
2002.1
2002.2
전년 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585.97
582.83
578.45
578.64
△0.7
0.0
공 급
량
762.06
753.43
742.30
742.82
△1.4
0.1
소 비
량
591.46
589.25
588.87
590.51
0.2
0.3
교 역
량
134.96
126.66
129.98
130.08
2.7
0.1
기말재고량
170.60
164.18
153.43
152.31
△7.2
△0.7
기말재고율
28.8
27.9
26.1
25.8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83, Feb. 8, 2002.
1.4. 옥수수
2001/02년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5억 8,308만 톤으로 전년보다 0.4% 감소하며, 전월 전망치보다는 0.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중국, 멕시코,
동남아시아의 생산량은 약간 늘어나지만 미국의 생산량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001/02년의
소비량은 전년 대비 1.3% 증가한 6억 1,139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소비량이 생산량을 약 2,831만 톤 정도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옥수수 교역량의 경우
전년보다 9.3% 감소한 7,788만 톤,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4%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수출량 중 미국과 아르헨티나가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64.4%, 10.9%로 이들 두 국가가 75%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 옥수수의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18.4% 줄어든 1억 2,536만 톤으로 전년보다 약 2,832만 톤 정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아르헨티나의
기말재고량은 약간 늘어나지만 중국과 미국의 기말재고량이 대폭 줄어들고, 기말재고율도 전년보다 약 5.0% 포인트
줄어든 20.5%가 될 전망이다.
표 4 국제 옥수수 수급
동향 및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1999/00
200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률(%)
2002.1
2002.2
전년 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607.07
585.59
583.40
583.08
△0.4
△0.1
공 급
량
776.19
757.09
737.16
736.76
△2.7
△0.1
소 비
량
604.70
603.41
611.71
611.39
1.3
△0.1
교 역
량
85.79
85.83
77.97
77.88
△9.3
△0.1
기말재고량
171.50
153.68
125.45
125.36
△18.4
△0.1
기말재고율
28.4
- 발행처
- KREI
- 발간물 유형
- KREI 논문
- 보고서 번호
- WRD-00367
- 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611
-
Appears in Collections:
-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 공개 및 라이선스
-
- Files in This Ite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