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O의 세계 산림자원 평가결과

저자
손철호
출판년도
2002-03-29
목차
FAO는 세계 산림자원
평가보고서(Global Forest Resources Assesment 2000, FRA 2000)를 발간하여 세계 산림자원 현황에 대한
포괄적인 최신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 보고서는 세계적인 산림 관련 주요 이슈를 정리함과 아울러 산림자원을 지역별, 국가별로 자세히 정리하였는데
이 보고서에서 다루는 주요 주제로는 산림면적과 변화, 입목 축적과 목질 바이오매스, 인공림, 산림이외의 수목, 생물다양성, 산림관리, 보호림,
산불, 목재 및 비목재 임산물 등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주제들에 대한 요약결과를 소개한다. FRA 2000의 이러한 주제들에 대한 내용은 각
국으로부터 전달받은 자료와 더불어 최근의 인터넷 및 GIS 정보에 기초하여 작성되었기 때문에 기존의 어느 FAO 산림자원평가자료보다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자료는 전 세계의 213개 국가
가운데 160개 국가의 산림 및 임업 부문에 대하여 다루고 있으며, 이들 160개 국가의 산림면적은 전 세계 산림면적의 99%를 차지하고
있다.
1. 세계의 산림면적
FRA2000에서 적용하는 산림의
정의는 '최소 수관비율 10%'로 하며, 천연림과 인공림 모두를 포함하지만 기본적으로 농업적 생산을 위해 식재된 입목 즉, 과수는 제외한다. 이
정의는 1997년의 정부간산림패널(IPF)에서 합의된 것으로서 FRA2000을 작성을 위하여 모든 나라에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과거
FRA1980과 FRA1990에서는 산림의 정의로서 개발도상국의 경우 '최소 수관비율 10%'가 적용된 반면에 선진국의 경우 '최소 수관비율
20%'가 적용되어 산림에 대한 정의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보였었다.
새로운 산림정의를 기준으로 작성된
FRA2000에 의하면 2000년의 세계산림면적은 약39억ha로서 1인당으로 환산하면 대략 0.6ha 정도이며, 세계산림면적의 약95%는
천연림이고 나머지 5%는 인공림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새로운 산림정의를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에 동일하게 적용한 결과 2000년의 산림자원
평가결과는 1995년에 보고된 세계 산림면적보다 4억ha나 더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산림정의와 새로운 산림정의의 중간적인 위치인
'수관비율 10%∼20%'에 해당하는 산림이 많은 국가들에서 큰 영향을 받은 결과로서 그 대표적인 국가로서 오스트리아와 러시아를 들 수 있다.
그리고 FRA2000에서 산림면적이 늘어난 또 다른 이유는 최근 일부 국가에서 실시된 산림면적의 재산출 결과 기존의 결과보다 산림면적이 더
늘어났는데 이러한 개선 정보를 FRA2000에서 반영하였기 때문이다.
2. 세계 산림면적의 변화
(1990∼2000)
산림면적 변화의 주된 요소는 산림파괴, 조림,
이전 비산림지역의 산림으로의 자연적 확장이다. 산림파괴는 산림의 타용도 전용이나 장기간에 걸쳐서 수관(樹冠)율이 10%이하로 낮아져 산림에서
제외되는 경우이다. 조림은 이전에 산림이 아닌 지역에 새로이 산림을 조성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재조림은 기존의 산림 지역에 벌채 후 다시금
식재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산림의 자연적 확장은 산림의 인접지역에 위치한 미임지나 유휴지로의 자연적 식생천이과정에 의해 산림이 확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FRA2000에서 적용하는 산림의
정의와 기준으로 1990년대의 세계 산림면적 변화를 파악한 결과, 산림파괴는 연간 약 14.6백만ha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천연림의 연간
손실에서(연간 16.1백만ha, 매년 0.42%의 감소를 의미) 재조림되는 천연림면적을 뺀 순수 천연림감소를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과거
10년(1990∼2000) 동안 전체 천연림 가운데 4.2%가 소실되었으나 이 가운데 1.8%는 재조림됨으로서 산림면적에서 제외된 천연림는
2.4%이다. 그리고 세계 산림면적의 증가는 연간 5.2백만ha로서 이는 조림으로 1.6백만 ha, 산림의 자연적 확대로 3.6백만 ha가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1990년과 2000년 사이에 세계
산림면적은 매년 9.4백만 ha씩 감소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즉, 매년 14.6백만 ha의 산림파괴가 이루어진 반면에 5.2백만 ha의 산림이
신규로 조성되어 실제 감소된 산림면적은 9.4백만 ha인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매년 전세계산림면적의 0.22%가 줄어드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포르투칼 국토면적 만큼의 산림이 매년 사라지는 것과 같다. 그리고 1990년대 동안의 총 산림 감소 면적인 94백만 ha는 그 규모 면에서
베네수엘라의 국토면적 보다 더 넓다.
표 1 연간 산림면적과 순변화량,
1999∼2000년(단위:백만 ha)
구분
산림 파괴
산림 증가
산림면적
순변화
열대림
비열대림
전체
-14.2
-0.4
-14.6
+1.9
+3.3
+5.2
-12.3
+2.9
-9.4
자료 :
FAO, 2001
FRA2000은 각 국에서 제공한
통계자료의 분석 결과이외에 태평양의 열대림을 대상으로 전체 열대 개발도상국에 있는 산림의 87%에 해당하는 산림에 대하여 통계적 조사방법에
기초한 리모트센싱 기법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리모트센싱 연구결과는 두 평가기간(1980년대와 1990년대) 동안의
산림 면적를 평가하는데 있어 처음으로 동일한 방법론을 적용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리모트센싱 조사 결과 열대림의
산림파괴는 산림의 농경지로의 전용이 직접적 원인이었으며, 연구결과 1980년대에는 연평균 9.2백만 ha에서 1990년대에 연평균 8.6백만
ha로 산림감소가 다소 줄어드는 추세를 나타났지만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각 국가로부터 얻은 통계의
분석결과와 리모트센싱 조사결과 간에는 매우 유사한 패턴을 보인 것으로 나타나 두 분석방법에 의한 근본적인 차이는 없었다.
표 2 세계 산림면적의 변화,
1990∼2000년(단위:백만 ha)
구분
천연림
인공림
총산림
감소
증가
순변화
증가
순변화
순변화
타용도
전용
재조림지
총감소
자연적 확대
재조림지⑴
조림지⑵
열대림
비열대림
세계산림
-14.2
-0.4
-14.6
-1.0
-0.5
-1.5
15.2
-0.9
-16.1
+1.0
+2.6
+3.6
-14.2
+1.7
-12.5
+1.0
+0.5
+1.5
+0.9
+0.7
+1.6
+1.9
+1.2
+3.1
-12.3
+2.9
-9.4
주:⑴천연림 가운데
벌채후 새롭게 나무를 식재하여 조성한 산림
⑵ 기존에 임지가 아닌 지역에 새롭게 나무를 식재하여 조성한
산림
자료:FAO, 2001
3. 입목축적과
바이오매스
목재 재적과 목질 바이오매스는 산림의 목재
공급과 탄소고정 가능성을 나타내는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산림의 총 입목축적(㎥)과 지상부의 목질바이오매스(톤)에 대하여 추정한 결과,
2000년의 세계 총산림축적은 386십억㎥, 총 지상부 목질바이오매스는 422십억 톤으로 이중 2/3은 남미에 분포하며 특히 브라질에 27%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의 ha당 지상부 목질바이오매스는 109톤으로 계산되었으며, 남미의 경우 세계평균보다 더 많은 ha당 128톤으로
나타났다. ha당 가장 많은 입목축적을 보이는 나라들은 남미(과테말라 355㎥/ha)와 중앙유럽(오스트리아 286㎥/ha)에 포함되어 있는데
전자는 높은 축적을 보이는 열대우림(熱帶雨林)이고 후자는 높은 축적을 얻기 위해 관리된 온대림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4. 인공림
인공림은 묘목식재 또는 파종식재에 의해 재조림
또는 조림으로 조성된 산림을 의미한다. 목재산업체를 위한 섬유의 공급원으로서 갈수록 그 중요성이 높아 가는 고무나무의 식재지를 FRA2000에서
FAO의 인공림 통계에 처음으로 포함하였다. 지구 전체적으로 천연림의 높은 손실에도 불구하고 신규 인공림조성은 주로 아시아와 남미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이 곳에서는 연간 4.5백만 ha 정도 신규 인공림이 조성되고 있다. 그리고 신규 인공림조성 가운데 약 70%인 3.1백만 ha
정도만이 조림에 성공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00년 현재 세계적으로 인공림은 187백만 ha 정도로 추산되며 아시아에는 이 가운데 62%로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다.
인공조림 수종은 소나무(20%),
류카립투스(10%)가 주종을 이루지만 갈수록 식재 수종의 다양성은 높아지고 있다. 목재가공산업체에 공급할 고무나무나 일반목재를 공급하는
산업조림은 세계 인공림면적의 48%를 차지하고, 연료제공이나 토양과 수원보호를 위한 비산업조림은 26%를 차지하며, 나머지 26%는 그 목적성이
명확하지 않다. 선진국에서의 인공조림에 대한 규정이 개발도상국에 비하여 명확하지 않는데 이는 대부분의 선진국들이 인공림과 천연림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FRA2000에 의하면 세계의
인공림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기준으로 상위 10개국은 중국 24%, 인도 18%, 러시아 9%, 미국 9%, 일본 6%, 인도네시아 5%,
브라질 3%, 타이 3%, 우크라이나 2%, 이란 1%의 순을 보였으며, 이들 국가들의 인공림면적을 합하면 세계 인공림면적의 80%가량을
차지한다.
5. 목재공급 및
비목재임산물
세계적 구축자료(DB), 통계정보, GIS
기술 등의 통합 이용을 통해 얻어진 결과에 의하면 세계 산림의 51%는 목재의 잠재적인 공급지로 가능하게 하는 교통기간시설(철도, 도로,
항만)로부터 10km 이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비율은 목재의 잠재적인 공급 가능 산림을 교통 기간시설로부터 40km 이내의 산림으로 확대할
경우 전체 산림면적의 73%로 증가한다. 가장 높은 접근성을 보이는 지역은 아열대산림지역으로서 도로로부터 10km 이내에 분포하는 산림이 전체
산림의 73%를 차지하며, 반면에 가장 어려운 접급성을 보이는 지역은 한대 지역으로서 도로로부터 10km이내에 위치한 산림의 비율이 34%에
그친 것으로 평가되었다.
세계 많은 나라에서 특히 저소득국가에서
비목재임산물은 식량과 주요수입원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아시아지역에서는 비목재임산물에 대한 자료수집이 용이한데 이는 다른 지역에
비하여 이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목재 이용 수준을 보이기 때문이며, 이 지역에서 비목재임산물은 오랫동안 국가와 지역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왔다.
6. 기타 산림 관련 내용
6.1. 산림 이외의
수목
FRA2000에서는 산림이나
임지로 분류되지 않는 땅에 서 있는 나무를 산림 이외의 수목(Tree outside the forest, TOF)으로 정의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처음으로 실시하였다. 그 동안 이러한 TOF는 농촌인구의 생계 특히, 여성에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 인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산림자원의 평가나 의사결정과정에서 간과되었던 게 사실이다. 이는 단편적인 정보만으로 결론을 도출한다는 것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 TOF를
평가하는데 있어 전통적인 방법이건 아니면 리모트세싱 방법이건 간에 어느 것도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자료수집의 복잡성과 한계성을
잘 말해 주고 있다.
6.2. 생물다양성
FRA2000에서는
산림생물다양성의 일련의 지표를 다루고 있으며, 새로운 산림지도는 산림단절에 관한 최신의 자료와 산림의 건강과 다양성에 관련된 지표를 제공하고
있다. 더욱이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산림의 공간적 특성에 대한 효과와 위험에 처해 있는 수종에 대한 연구에 대해서도
FRA2000에서 다루고 있다.
6.3. 산림관리
지속 가능한 산림관리를 촉진하려는 시도로 많은
나라에서 산림관리계획을 수립하였다. 많은 나라들이 지속 가능한 산림관리에 대한 기준 및 지표를 자체적으로 평가하고 모니터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FRA2000은 산림관리의 모든 지표에 대한 상세한 평가를 실시하지 않았다. 이는 앞으로 더 많은 지표를 포함한 산림관리평가를 위해서 오히려 더
유리한 측면도 있다.
FRA2000에 의하면
산림관리계획 하의 산림면적은 선진국의 경우 전체 산림의 89%를 차지하며, 개발도상국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열대림의 경우 123백만 ha 정도가
산림관리계획에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산림관리계획의 정확한 이행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6.4. 보호림
세계산림면적의 12.4%는
세계보전위원회(IUCN)에 의해서 정의된 보호지역 범주에 해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UNEP 세계보전모니터링센타(UNEP-WCMC)가
FAO를 위해 준비한 보호지역지도와 FRA2000 임상지도를 중첩하여 산출한 것으로서 각 국이 FAO에 보고한 보호지역내 산림면적의 산출결과보다
다소 낮은 결과를 보였다.
6.5. 산불
비록 50개국(아프리카에서는 1개국도 포함
안됨)에 대한 자료에 국한되었지만, 1990∼2000년 동안에 일어난 산불의 수가 과거보다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엘니뇨와 같은
기후현상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엘니뇨는 특히 습하거나 온대지역에서 가뭄을 야기하는데 이는 산불발생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산불은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임지정리를 위한
주요도구로서 그리고 목장이나 방목지 개선을 위한 관리도구로서 활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이용형태는 산림의 야생산불로 집계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자료 : Global Forest
Resources Assesment 2000에서
(손철호 shon9@krei.re.kr
02-3299-4195 산림정책연구실)
발행처
KREI
발간물 유형
KREI 논문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626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Files in This Item:
wrd-00382-423-.hwp (37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