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세계 곡물 수급 동향(2002. 3)

저자
성명환
출판년도
2002-04-02
목차
1. 전체 곡물의 수급 동향
및 전망
2001/02년도 세계 전체 곡물 생산량은 전년 대비 0.5% 증가한
18억 4,951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전월
전망치보다도 약 900만 톤 정도 증가한 수준이다. 쌀과 소맥의 생산량은 전년보다 줄어들지만, 옥수수 등 기타 잡곡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도
총공급량은 전년 기말재고량 4억 8,879만 톤과 생산량을 합친 23억 3,830만 톤으로, 전년보다 약 2,500만 톤 정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전년 대비로는 1.1% 감소하였지만 전월 전망치보다는 0.3% 늘어난
수준이다.
2001/02년도
세계곡물 소비량은 전년보다 0.8% 늘어난 18억 8,988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1999/00년도에는 생산량과 소비량이 거의 균형을
이루었으나 2000/01년도부터 소비량이 늘어나고 생산량은 줄어들어 2001/02년도에는 그 차이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곡물 교역량(수출량
기준)도 전년 대비 2.0% 줄어든 2억 6,679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교역량이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0/01년의
14.8%에서 2001/02년에는 14.4%로 하락될 것으로 전망이다. 최근 곡물 교역량의 비중은 계속 하락하는 추세이다.
곡물 소비량이 생산량을
4,000만 톤 이상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001/02년도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8.3% 감소한 4억 4,843만 톤 정도이나
전월 전망치 보다도 1% 증가한 수준이다. 기말재고율도 2000/01년도 26.1%에서 23.7%로 2.4% 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 1 세계 전체 곡물의
수급동향
단위: 백만



1999/00
200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률(%)
2002.2
2002.3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1,871.07
1,840.25
1,840.58
1,849.51
0.5
0.5
공 급

2,394.29
2,363.28
2,331.03
2,338.30
△1.1
0.3
소 비

1,871.25
1,874.49
1,887.24
1,889.88
0.8
0.1
교 역

281.01
272.19
266.82
266.79
△2.0
0.0
기말재고량
532.03
488.79
443.79
448.43
△8.3
1.0
기말재고율
28.0
26.1
23.5
23.7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84,
Mar. 8, 2002.
2. 쌀의 수급 동향 및
전망
2001/02년도 쌀
생산량은 2000/01년 보다 0.5% 줄어든 3억 9,532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의 쌀 생산량은 약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의 쌀 생산량은 전년보다 10.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중국, 일본과 태국의 생산량은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표 2 국제 쌀(정곡기준)
수급 동향
단위: 백만



1999/00
200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률(%)
2002.2
2002.3
전년 대비
전월대비
생 산

408.67
397.39
392.20
395.32
△0.5
0.8
공 급

541.70
540.98
529.73
532.07
△1.6
0.4
소 비

398.12
404.23
403.73
405.53
0.3
0.4
교 역

23.99
25.63
23.40
23.96
△6.5
2.4
기말재고량
143.59
136.75
125.99
126.55
△7.5
0.4
기말재고율
36.1
33.8
31.2
31.2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84,
Mar. 8, 2002.
2001/02년도 쌀
소비량은 전년 대비 0.3% 늘어난 4억 553만 톤으로 전년보다 약 13만 톤 정도, 전월 전망치보다는 약 180만 톤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도 세계
전체 쌀 교역량은 전년 대비 6.5% 줄어든 2,396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생산량에서 교역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6.1%로
전망된다. 수출량은 태국이 전년보다 약간 줄어든 725만 톤 수준이나 베트남은 12.4% 증가한 400만 톤, 미국도 0.7% 늘어난 271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쌀 기말재고량은
전년 대비 7.5%가 줄어든 1억 2,655만 톤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재고량은 대폭 늘어나지만 태국, 인도네시아, 중국, 일본의
재고량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말재고율은 31.2%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중국이 세계 쌀 재고량의
약 66.6%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3. 소맥의 수급 동향 및
전망
세계 밀 생산량은
2000/01년 5억 8,220만 톤에서 2001/02년에는 전년 대비 0.7% 감소한 5억 7,903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러시아를 제외한 미국, 캐나다, 중국, 유럽 등 주요 소맥 생산국의 생산량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001/02년도 세계
밀 소비량은 2000/01년 5억 8,907만톤보다 약 18만 톤 감소한 5억 8,889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월
전망치보다는 160만 톤 이상이 줄어든 수준이다.
밀의 국제 교역량은
1999/00년 1억 3,495만 톤까지 늘어났으나, 2000/01년에는 1억 2,674만 톤으로 줄어들었다가 2001/02년에는 다시 1억
2,970만 톤으로 전년 대비 2.3%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에 대한 교역량의 비율은 22.5%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 생산량이
소비량보다 더 크게 감소하여 기말재고량은 1억 5,427만 톤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주요 밀 생산국인 미국, 중국, EU의
재고량이 대폭 줄어들고, 기말재고율도 전년의 27.9%에서 26.2%로 1.7% 포인트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표 3 국제 소맥 수급
동향
단위: 백만



1999/00
2000/01
2001/02
변동률(%)
2002.2
2002.3
전년 대비
전월대비
생 산

585.97
582.20
578.64
579.03
△0.7
0.1
공 급

761.36
753.20
742.82
743.16
△1.3
0.0
소 비

591.36
589.07
590.51
588.89
0.0
△0.3
교 역

134.95
126.74
130.08
129.70
2.3
△0.3
기말재고량
170.00
164.13
152.31
154.27
△6.0
1.3
기말재고율
28.7
27.9
25.8
26.2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84, Mar. 8, 2002.
4. 옥수수의 수급 동향 및
전망
2001/02년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5억 8,729만 톤으로 전년보다 0.3% 증가하며, 전월 전망치보다는 0.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과 아르헨티나의
생산량은 크게 줄어들지만 중국, 멕시코, 동남아시아, 유럽의 생산량은 약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001/02년의 소비량은 전년 대비 1.3% 증가한 6억 1,198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소비량이 생산량을 약 2,469만 톤 정도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옥수수 교역량의 경우
전년보다 10% 감소한 7,721만 톤,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1%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수출량 중 미국과 아르헨티나가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63.3%, 9.7%로 이들 두 국가가 7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 옥수수의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16.1% 줄어든 1억 2,822만 톤으로 전년보다 약 2,469만 톤 정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아르헨티나의
기말재고량은 늘어나지만 중국과 미국의 기말재고량이 대폭 줄어들고, 기말재고율도 전년보다 약 4.3% 포인트 줄어든
21.0%가 될 전망이다.
표 4 국제 옥수수 수급
동향 및 전망
단위: 백만

구 분
1999/00
200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률(%)
2002.2
2002.3
전년 대비
전월대비
생 산

606.92
585.69
583.08
587.29
0.3
0.7
공 급

776.04
757.19
736.76
740.20
△2.2
0.5
소 비

604.55
604.28
611.39
611.98
1.3
0.1
교 역

85.78
86.00
77.88
77.21
△10.0
△0.9
기말재고량
171.50
152.91
125.36
128.22
△16.1
2.3
기말재고율
28.4
25.3
20.5
21.0
발행처
KREI
발간물 유형
KREI 논문
보고서 번호
WRD-00388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632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