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성명환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8:43:38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8:43:38Z | - |
dc.date.issued | 2002-04-22 | - |
dc.identifier.other | WRD-00413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657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전체 곡물의 수급 동향과 전망 2001/02년도 세계 전체 곡물 생산량은 전년 대비 0.8% 증가한 18억 5,342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전년 전망치보다도 약 1,500만 톤 정도 증가한 수준이다. 주요 곡물인 쌀과 소맥의 생산량은 전년보다 줄어들지만, 옥수수 등 기타 잡곡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도 총공급량은 전년 기말재고량 4억 8,888만 톤과 생산량을 합친 23억 4,230만 톤으로, 전년보다 1,000만 톤 이상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년 대비로는 0.9% 감소한 수준이다. 2001/02년도 세계곡물 소비량은 전년보다 1.0% 늘어난 18억 9,214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1999/00년도에는 생산량과 소비량이 거의 균형을 이루었으나 2000/01년도부터 소비량이 늘어나 2001/02년도에는 그 차이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곡물 교역량(수출량 기준)도 전년 대비 2.1% 줄어든 2억 6,641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전월 전망치보다도 0.1% 낮은 수준이다. 교역량이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4%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표 1 세계 전체 곡물의 수급동향(단위: 백만 톤) 구 분 1999/00 200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률(%) 2002.3 2002.4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1,871.26 1,838.87 1,849.51 1,853.42 0.8 0.2 공 급 량 2,395.33 2,362.55 2,338.30 2,342.30 △0.9 0.2 소 비 량 1,871.65 1,873.66 1,889.88 1,892.14 1.0 0.1 교 역 량 281.01 272.08 266.79 266.41 △2.1 △0.1 기말재고량 532.68 488.88 448.43 450.15 △7.9 0.4 기말재고율 28.0 26.1 23.7 23.8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85, April 10, 2002. 곡물 소비량이 생산량을 3,872만 톤 정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001/02년도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7.9% 감소한 4억 5,015만 톤 정도로 전월 전망치 보다도 0.4% 증가한 수준이다. 기말재고율도 2000/01년도 26.1%에서 23.8%로 2.3% 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2. 쌀의 수급 동향과 전망 2001/02년도 쌀 생산량은 2000/01년 보다 0.6% 줄어든 3억 9,522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쌀 생산량은 늘어나지만 중국과 일본, 태국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의 쌀 생산량은 전년보다 10.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도 쌀 소비량은 전년 대비 0.5% 늘어난 4억 595만 톤으로 전년보다 약 200만 톤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표 2 국제 쌀(정곡기준) 수급 동향(단위: 백만 톤) 구 분 1999/00 200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률(%) 2002.3 2002.4 전년 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408.69 397.42 395.32 395.22 △0.6 0.0 공 급 량 541.99 541.29 532.07 532.51 △1.6 0.1 소 비 량 398.12 404.00 405.53 405.95 0.5 0.1 교 역 량 23.99 25.65 23.96 23.51 △4.4 2.3 기말재고량 143.87 137.29 126.55 126.56 △7.8 0.0 기말재고율 36.1 34.0 31.2 31.2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85, April 10, 2002. 2001/02년도 세계 전체 쌀 교역량은 전년 대비 4.4% 줄어든 2,351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생산량에서 교역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5.9%로 전망된다. 수출량은 태국과 베트남이 전년보다 약간 줄어든 각각 725만 톤, 350만톤 수준이나, 미국의 수출량은 약간 늘어나 271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쌀 기말재고량은 전년 대비 7.8%가 줄어든 1억 2,656만 톤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재고량은 늘어나지만 태국, 인도네시아, 중국, 일본의 재고량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말재고율은 31.2%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중국이 세계 쌀 재고량의 약 66.6%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3. 소맥의 수급 동향과 전망 세계 밀 생산량은 2000/01년 5억 8,373만 톤에서 2001/02년에는 전년 대비 0.6% 감소한 5억 8,032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러시아를 제외한 미국, 캐나다, 중국, 유럽 등 주요 소맥 생산국의 생산량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001/02년도 세계 밀 소비량은 2000/01년 5억 8,942만톤보다 약 44만 톤 감소한 5억 8,898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밀의 국제 교역량은 1999/00년 1억 3,495만톤까지 늘어났으나, 2000/01년에는 1억 2,628만 톤으로 줄어들었다가 2001/02년에는 다시 1억 2,890만 톤으로 전년 대비 2.1%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에 대한 교역량의 비율은 22.2%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 소비량은 감소하나 생산량이 증가하여 기말재고량은 1억 5,591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주요 밀 생산국인 미국, 중국, EU의 재고량이 대폭 줄어들고, 기말재고율도 전년의 27.9%에서 26.5%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표 3 국제 소맥 수급 동향(단위: 백만 톤) 구 분 1999/00 2000/01 2001/02 변동률(%) 2002.3 2002.4 전년 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586.16 583.73 579.03 580.32 △0.6 0.2 공 급 량 761.77 754.00 743.16 744.89 △1.2 0.2 소 비 량 591.50 589.42 588.89 588.98 △0.1 0.0 교 역 량 134.95 126.28 129.70 128.90 2.1 △0.6 기말재고량 170.27 164.57 154.27 155.91 △5.3 1.1 기말재고율 28.8 27.9 26.2 26.5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85, April 10, 2002. 4. 옥수수의 수급 동향과 전망 2001/02년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5억 8,945만 톤으로 전년보다 0.8% 증가하며, 전월 전망치보다는 0.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과 아르헨티나의 생산량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나 중국, 멕시코, 동남아시아, EU의 생산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001/02년의 소비량은 전년 대비 1.4% 증가한 6억 1,351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소비량이 생산량을 2,400만 톤 이상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옥수수 교역량의 경우 전년보다 9.6% 감소한 7,796만 톤,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2%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수출량 중 미국과 아르헨티나가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62.7%, 10.6%로 이들 두 국가가 73.3%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 옥수수 소비량이 생산량보다 더 크게 늘어나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15.9% 줄어든 1억 2,742만 톤으로 전년보다 2,400만 톤 이상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아르헨티나의 기말재고량은 약간 늘어나지만 중국과 미국의 기말재고량이 대폭 줄어들고, 기말재고율도 전년보다 4.2% 포인트 줄어든 20.8%가 될 전망이다. 표 4 국제 옥수수 수급 동향 및 전망(단위: 백만 톤) 구 분 1999/00 2000/01 (추정) 2001/02(전망) 변동률(%) 2002.3 2002.4 전년 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606.77 585.05 587.29 589.45 0.8 0.4 공 급 량 775.89 756.52 740.20 740.93 △2.1 0.1 소 비 량 604.43 605.04 611.98 613.51 1.4 0.3 교 역 량 85.78 86.25 77.21 77.96 △9.6 1.0 기말재고량 171.47 151.48 128.22 127.42 △15.9 △0.6 기말재고율 28.4 25.0 21.0 20.8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85, April 10, 2002. 5. 대두의 수급 동향과 전망 | - |
dc.publisher | KREI | - |
dc.title | 세계 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2002. 4) | - |
dc.type | KREI 논문 | - |
wrd-00413-457-.hwp
결과 데이터 / 59.83 kB / application/octet-str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