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성명환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8:43:53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8:43:53Z | - |
dc.date.issued | 2002-06-03 | - |
dc.identifier.other | WRD-00438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682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곡물의 수급 동향과 전망 1.1. 전체곡물의 수급 동향과 전망 2002/03년도 세계 전체 곡물 생산량은 전년 대비 2.1% 증가한 18억 9,644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전년 전망치보다도 약 3,000만 톤 정도 증가한 수준이다. 주요 곡물인 쌀의 생산량은 전년보다 줄어들지만, 소맥과 옥수수 등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002/03년도 총공급량은 전년 기말재고량 4억 5,690만 톤과 생산량을 합친 23억 5,334만 톤으로, 전년보다 약 0.1%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002/03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전년보다 1.4% 늘어난 19억 2,015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1999/00년도에는 생산량과 소비량이 거의 균형을 이루었으나 2000/01년도부터 2001/02년도까지는 소비량이 생산량보다 더 큰 폭으로 늘어나 그 차이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2002/03년도에는 소비량과 생산량의 차이가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곡물 교역량(수출량 기준)도 전년 대비 0.8% 늘어나 2억 3,094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교역량이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2%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곡물 소비량이 생산량을 2,371만 톤 정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2002/03년도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5.2% 감소한 4억 3,318만 톤 정도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기말재고율도 2001/02년도 24.1%에서 22.6%로 1.5% 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 1 세계 전체 곡물의 수급동향(단위: 백만 톤) 구 분 2000/01 2001/02 (추정) 2002/03(전망) 2002. 5 전년 대비 변동률(%) 생 산 량 1,839.23 1,857.23 1,896.44 2.1 공 급 량 2,369.91 2,350.75 2,353.34 0.1 소 비 량 1,876.39 1,893.85 1,920.15 1.4 교 역 량 233.21 229.17 230.94 0.8 기말재고량 493.52 456.90 433.18 △5.2 기말재고율 26.3 24.1 22.6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86, May 10, 2002. 1.2. 쌀의 수급 동향과 전망 2002/03년도 쌀 생산량은 2001/02년 보다 0.3% 줄어든 3억 9,551만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의 쌀 생산량이 전년보다 2.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2/03년도 쌀 소비량은 전년 대비 0.8% 늘어난 4억 1,000만 톤으로 전년보다 약 300만 톤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2002/03년도 세계 전체 쌀 교역량은 전년 대비 4.8% 늘어난 2,550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생산량에서 교역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6.4%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의 수출량이 전년보다 2.1% 늘어난 288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쌀 기말재고량은 전년 대비 11.4%가 줄어든 1억 1,212만 톤 정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재고량은 늘어나지만 주요 쌀 생산국의 재고량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002/03년도 기말재고율은 27.3%로 2001/02년도의 31.1%보다 약 4% 포인트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표 2 국제 쌀(정곡기준) 수급 동향(단위: 백만 톤) 구 분 2000/01 2001/02 (추정) 2002/03(전망) 2002. 5 전년 대비 변동률(%) 생 산 량 397.33 396.53 395.51 △0.3 공 급 량 541.21 533.52 522.12 △2.1 소 비 량 404.23 406.91 410.00 0.8 교 역 량 24.64 24.33 25.50 4.8 기말재고량 136.99 126.61 112.12 △11.4 기말재고율 33.9 31.1 27.3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86, May 10, 2002. 1.3. 소맥의 수급 동향과 전망 2002/03년도 세계 밀 생산량은 5억 9,575만톤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01/02년 5억 8,064만 톤보다 2.6% 증가한 수준이다. 미국과 러시아를 제외한 캐나다, 중국, 유럽 등 주요 소맥 생산국의 생산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002/03년도 세계 밀 소비량은 2001/02년 5억 8,794만 톤보다 약 850만 톤 증가한 5억 9,648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밀의 국제 교역량은 2001/02년 1억 712만 톤까지 늘어났으나, 2002/03년에는 1억 587만 톤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에 대한 교역량의 비율은 17.8%로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2002/03년 기말재고량은 1억 6,242만 톤으로 전년보다 0.4%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과 중국의 재고량이 대폭 줄어들고, 기말재고율도 전년의 27.7%에서 27.2%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표 3 국제 소맥 수급 동향(단위: 백만 톤) 구 분 2000/01 2001/02 (추정) 2002/03(전망) 2002. 5 전년 대비 변동률(%) 생 산 량 583.88 580.64 595.75 2.6 공 급 량 760.98 751.10 758.90 1.0 소 비 량 590.52 587.94 596.48 1.5 교 역 량 102.78 107.12 105.87 △1.2 기말재고량 170.46 163.15 162.42 △0.4 기말재고율 28.9 27.7 27.2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86, May 10, 2002. 1.4. 옥수수의 수급 동향과 전망 2002/03년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6억 1,495만 톤으로 전년보다 4.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르헨티나의 생산량은 크게 줄어드나 중국, 미국, EU의 생산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002/03년의 소비량은 전년 대비 1.6% 증가한 6억 2,567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소비량이 생산량을 1,000만 톤 이상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옥수수 교역량의 경우 전년보다 2.2% 증가한 7,138만 톤,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1.6%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수출량 중 미국과 아르헨티나가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74.7%, 9.1%로 이들 두 국가가 약 84%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2/03년 옥수수 소비량이 생산량을 초과하기 때문에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8.6% 줄어든 1억 1,372만 톤으로 즐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년보다 1,000만 톤 이상 줄어든 수준이다. 주요 옥수수 생산국인 중국, 미국, 아르헨티나, EU의 기말재고량이 대폭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이다. 2002/03년도 기말재고율도 전년보다 2% 포인트 줄어든 18.2%가 될 전망이다. 표 4 국제 옥수수 수급 동향 및 전망(단위: 백만 톤) 구 분 2000/01 2001/02 (추정) 2002/03(전망) 2002. 5 전년 대비 변동률(%) 생 산 량 585.05 589.46 614.95 4.3 공 급 량 756.93 740.20 739.39 △0.1 소 비 량 606.18 615.76 625.67 1.6 교 역 량 77.40 69.85 71.38 2.2 기말재고량 150.74 124.44 113.72 △8.6 기말재고율 24.9 20.2 18.2 자료: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86, May 10, 2002. 1.5. 대두의 수급 동향과 전망 세계 대두 생산량은 2001/02년에 사상 최대인 1억 8,413만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주요 대두 생산국의 생산량이 대부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특히 브라질의 생산량이 전년 대비 11.5%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대두 소비량은 전년보다 6.4% 늘어난 1억 8,414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량과 소비량이 거의 균형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 세계 대두 교역량은 전년보다 3.4% 증가한 5,734만 톤 될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교역량의 비중은 31.1%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전 세계 수출량에서 미국이 48.3%, 브라질이 29.8%, 아르헨티나가 13.4%의 비중을 차지하여 이들 세 국가의 수출비중이 91.6%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01/02년 대두의 기말 재고량은 2,944만 톤으로 전망되어 전년의 2,906만 톤과 비교하여 1.3%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기말재고율은 소비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전년보다 약 1% 포인트 낮은 16.0%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표 5 국제 대두 수급 동향 및 전망(단위: 백만 톤) 구 분 1999/00 2000/2001 (추정) 2001/2002(전망) 변동률(%) 2002. 4 2002. 5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159.90 175.08 184.75 184.13 5.2 △0.3 공 급 량 186.41 202.00 213.81 213.19 5.5 △0.3 소 비 량 160.73 173.00 184.76 184.14 6.4 △0.3 교 역 량 46.72 55.44 58.29 57.34 3.4 △1.6 기말재고량 26.92 29.06 29.43 29.44 <FONT face="바탕,HCI Tulip" color=black | - |
dc.publisher | KREI | - |
dc.title | 세계 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2002. 5) | - |
dc.type | KREI 논문 | - |
wrd-00438-482-.hwp
결과 데이터 / 62.04 kB / application/octet-stream